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2 No.4 pp.247-256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4.32.4.03

Growth Response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nd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Seedlings Under Varying Culture Conditions in Plug Production
꼬리말발도리와 가침박달의 플러그 육묘에서 재배조건에 따른 유묘의 생육

Yong Seung Roh1, Mi Jin Jeong2, Won Woo Cho2, Yong Kweon Yoo3,4*

1Gangjin-gun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 Gangjin-gun 59223, Korea
2Division of Gardening Plant Resource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11186, Korea
3The Institute of Natural Resource Development,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Korea
4Major of Horticulture, School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Korea

노용승1, 정미진2, 조원우2, 유용권3,4*

1전라남도 강진군농업기술센터
2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3국립목포대학교 자연자원개발연구소
4국립목포대학교 원예산림학부 원예전공
Correspondence to Yong Kweon Yoo Tel: +82-61-450-2372 E-mail: yooyong@mokpo.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6884-163x
27/09/2024 15/10/2024

Abstract


The paniculate Korean deutzia (Deutzia paniculata Nakai) and Korean pearl bush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are rare flowering shrubs native to Korea, with white blooms appearing in May–June and April–May, respectively. These plants hold high conservation and ornamental value, necessitating their development as horticultural crops. This study examined the growth responses of these species under plug seedling production, focusing on plug tray cell size, medium composition, and fertilization levels to establish an effective propagation system. For the paniculate Korean deutzia, smaller plug tray cells resulted in poorer growth, whereas the best growth was observed in the 105-cell tray, based on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width, and fresh shoot and root weight. A medium with a 20:80 ratio of peat moss to perlite produced the best growth, whereas 100% perlite resulted in the poorest growth. For the Korean pearl bush, the best seedling growth occurred in media with 100:0 and 75:25 ratios of peat moss to perlite, with poorer shoot and root growth observed in 100% perlite. Additionally, increased fertilization levels resulted in improved shoot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with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being irrigation with 6.24 g of Hyponex (N:P:K = 20:20:20) per plug tray during the nursery period for high-quality seedling production. Therefore, seedling growth was best when using a medium with a 20:80 ratio of peat moss and perlite in a 105-hole plug tray in the paniculate Korean deutzia, and when applying Hyponex 6.24g during the nusery period in media with 100:0 or 75:25 ratios in the Korean pearl bush.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와 가침박달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은 각각 5~6월과 4~5월에 흰색 꽃이 피는 화목관목으로 한국의 희귀식물이며, 관상가치가 높아 원예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꼬리말발 도리와 가침박달의 종자를 이용한 번식체계를 확립하고자 플러 그 육묘에서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 배지조성, 시비수준에 따른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꼬리말발도리는 플러그 트레이 의 셀 크기가 작아질수록 유묘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105구의 셀 크기에서 초장, 엽장과 엽폭,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 등 생육 이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배지의 조성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를 20:80로 혼합한 처리에서 줄기와 뿌리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 였고, 펄라이트 단용인 0:100 처리에서 유묘의 생육이 가장 불 량하였다. 가침박달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00:0과 75:25 로 혼합한 배지에서 유묘의 생육이 가장 좋았고, 펄라이트 단 용인 0:100 배지에서 유묘의 줄기뿐만 아니라 뿌리의 생육 도 가장 불량하였다. 그리고, 육묘 기간동안 시비수준이 증가 함에 따라 유묘의 줄기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엽록소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가침박달은 플러그 트레이 당 Hyponex (N:P:K=20:20:20) 6.24.g을 관주하는 것이 고품질 묘를 생산 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꼬리말발도리는 105공 플러 그 트레이에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20:80 비율의 배지를 사용 하는 것이, 가침박달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100:0과 75:25 비율의 배지에서 육묘기간동안 Hyponex 6.24g를 시비하는 것이 유묘 생육에 가장 적합하였다.



초록


    서 언

    특산식물은 일정한 지역에만 자라는 그 지역의 고유식물을 말하며, 산림청에서는 한반도의 자연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해온 한국에서만 자라는 한국특산식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407종을 지정한 바 있다(Kim 2004). 특산식물들은 특정 미소서식지(microhabitat)에서만 적응해서 생육하고 있으며, 개체군의 생육환경과 증식에 대한 연구들이 규명되지 않아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종들이 많다.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 는 한국특산식물 중 하나로 영명이 paniculate Korean deutzia 이고, 수국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당년에 자란 가지에서 5~6월에 흰색의 꽃잎을 지닌 원추화서로 개화한다(Son et al. 2013). 2008년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한국의 희귀식물로서 위기종(endangered species)으로 분류하였으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일부 지역에서만 자생하고 있어 분포 범위가 제한적이며, 개체수가 매우 적어 보존 대책이 필요하다(Jung et al. 2020;Korean National Arboretum 2012). 가침박달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은 영명이 Korean pearl bush이며, 산기슭이나 계곡에 자생하는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4~5월에 총상화서로 흰색 꽃이 피고, 꽃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내음성, 내한성, 내병성 등이 강하여 원예용으로 이용가치가 매우 크다(Koh 2006;Lee et al. 1987). 한국의 경상북도,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강원도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희귀식물 약관심종(least concerned)으로 분류하여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보전이 필요하고 하였다 (Kim et al. 2014;Korean National Arboretum 2012).

    이러한 한국의 희귀식물들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번식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낙엽관목은 주로 종자나 삽목 번식에 의해 증식하는데(Kang et al. 2018;Yoon 2016), 종자번식의 경우 최근에는 플러그 육묘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Lee et al. 2008). 플러그 육묘는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 배지조성, 시비조건, 광과 온도와 같은 재배환경, 육묘 기간 등에 따라 유묘의 생육에 차이를 보인다. 자생 산수국(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은 플러그 50구의 셀 크기가 162구나 200구보다 초장, 엽장과 엽폭, 엽수, 뿌리길이 등의 생육이 좋았다고 보고하였다(Lee et al. 2008). 진달래와 철쭉의 경우에도 플러그 288구의 트레이보다 128구와 200구에서 육묘한 것이 초장, 엽수, 건물중 등의 생육이 양호하였다고 하였다(Yoo et al. 2004).

    플러그 육묘시 배지로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와 같은 용토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용토들의 혼합 비율과 물리성에 따라 유묘의 생육에 차이를 보인다. 정향풀(Amsonia elliptica)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3:1 보다 4:1 처리에서 유묘의 생육이 증가하였다고 하였고(Lee et al. 2021), 부산꼬리풀(Veronica pusanensis)의 경우에도 펄라 이트보다 피트모스의 비율이 높은 배지에서 유묘의 생육이 우수하였다고 하였다(Oh et al. 2022).

    또한 플러그 육묘시 시비수준에 따라 유묘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데, 큰구와꼬리풀(V. pyrethrina)은 수용성 복합비료 (Peters professional, N:P:K=20:20:20, ICL Professional Horticulture, USA)를 500~2000mg・L-1 처리한 것이 대조구 보다 유묘의 생육이 우수하였는데, 처리농도 간에는 생육에 차이가 없었다(Kwon et al. 2021). 그러나 부산꼬리풀은 500m g・L-1의 농도보다 1000~2000mg・L-1의 농도로 처리한 것이 유묘의 생육이 좋았다고 하였다(Oh et al. 2022).

    지금까지 플러그 육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채소류와 초본 화훼류에서 진행되었고, 산수국과 철쭉을 제외한 관목 화목류에서는 연구된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목 화목으로 정원용 소재로 개발가치가 있는 꼬리말발도리와 가침박달의 종자를 이용한 육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플러그 육묘에 따른 셀 크기, 배지조성 및 시비수준 등 재배 조건에 따른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의 공시 재료인 꼬리말발도리와 가침박달의 종자는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에서 분양받아 재료로 사용하였고, 파종 및 육묘는 국립목포대학교 부속농장의 2연동 비닐하우스 (660m2)에서 실시하였다.

    셀 크기와 배지조성에 따른 꼬리말발도리의 유묘 생육

    꼬리말발도리의 종자를 플러그 트레이(28×54cm, Bumnong, Co., Ltd., Jeongeup, Korea) 셀 크기 50구(구당 73mL), 105구(구당 30mL), 162구(구당 15mL), 200구(구당 10mL), 288 구(구당 8mL)에 원예용상토(Biosangto®, Heungnong, Co., Ltd., Seosan, Korea)를 충진한 후 종자를 1구에 한 개씩, 플러그 트레이 한판을 1반복으로 하여 처리당 3반복으로 4월 29일 에 파종하였다. 파종 후 관수는 관행에 따라 실시했으며, 파종 65일 후에 초장, 엽장과 엽폭, 엽수,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배지조성에 따른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해 피트모스(Lithuanian Peatmoss, Klasmann- Deilmann GmbH, Germany)와 펄라이트(Parat No.3, Kyungdongone Co., Ltd, Korea)를 사용하였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 을 100:0, 80:20, 60:40, 40:60, 20:80, 0:100으로 처리하였고, 플러그 트레이 105구에 배지를 충진한 후 종자를 1구에 한 개씩, 플러그 트레이 한판을 1반복으로 하여, 처리당 3반복으 로 5월 11일에 파종하였다. 생육조사는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배지조성과 시비수준에 따른 가치박달의 유묘 생육

    배지조성에 따른 유묘의 생육을 조사는 꼬리말발도리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였고,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을 100:0, 75:25, 50:50, 25:75, 0:100으로 처리하였다. 플러그 트레이는 위의 꼬리말발도리 실험과 황금줄사철의 플러그 육묘(Park et al. 2021)에서 묘의 생장이 우수했던 105구를 사용하여 꼬리 말발도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5월 18일에 파종하였고, 파종 60일 후에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시비수준에 따른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해 105구 플러그 트레이에 용토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75:25의 부피 비율로 혼합한 배지에 종자를 5월 18일에 파종하였고, 파종 방법은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시비는 Hyponex(Professional N:P:K=20:20:20, HYPONeX JAPAN Ltd., Osaka, Japan)를 트레이 당 총 0, 0.78, 1.56, 3.12, 6.24g을 처리하였으며, 파종 15일 후부터 15일 간격으로 3회 분시(split application), 회당 400mL 물에 녹여 플러그 배지에 관주하였다. 파종 60일 후에 유묘의 생육과 엽록소 함량을 조사하였고, 엽록소 함량은 가장 넓은 잎에서 엽록소측정기(SPAD, SPAD-502Plus,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생육조사 자료들은 IBM SPSS Statistics 프로그램(Version 22.0 software, IBM Corp., Armonk, New York, USA)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각 처리 간의 평균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95% 신뢰 수준에서 유의성을 비교하였다.

    결 과

    셀 크기와 배지조성에 따른 꼬리말발도리의 유묘 생육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에 따라 꼬리말발도리의 종자를 파종하여 65일 후에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전반적으로 162구, 200구 및 288구의 셀 크기에서 유묘의 생육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반면에 105구의 셀 크기에서 초장이 4.6cm, 엽장 3.3cm, 엽폭 1.9cm, 엽수 7.0개로 나타나 생육이 우수하였고,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도 다른 처리들보다 무거웠다. 50구 처리는 105구 셀 크기보다 유묘의 생육이 약간 억제되었다(Fig. 1). 따라서 꼬리말발도리는 105구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하는 것이 유묘의 생육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라 꼬리말발도리의 종자를 파종하여 65일 후에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펄라이트 단용인 0:100의 처리에서 초장, 엽수,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에서 생육이 가장 불량하였다(Table 2).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20:80 처리가 다른 처리들보다 초장이 4.4cm로 가장 길었고, 줄기의 생체중(2.9g)과 건물중(0.43g)에서 더 양호한 생육 상태를 보여 주었다(Fig. 2). 그러나, 엽수, 엽장과 엽폭, 뿌리의 건물중 등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꼬리말발도리의 플러그 육묘에는 종자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20:80의 비율로 혼합한 배지에 파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지조성과 시비수준에 따른 꼬리말발도리의 유묘 생육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라 가침박달의 종자를 파종하여 60일 후의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전반적으로 펄라이트를 단용으로 처리했던 0:100의 배지에서 초장, 엽장, 엽폭, 엽수,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 생육이 가장 불량하였다(Table 3). 반면에, 피트모스의 혼합 비율이 높은 100:0, 75:25, 50:50 혼합배지에서 유묘의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이들 처리 간에는 초장, 엽장과 엽폭, 엽수 등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Fig. 3). 그러나 줄기의 건물중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100:0과 75:25 혼합배지에서 각각 0.69와 0.66g 으로 50:50 배지(0.60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침박달의 플러그 육묘에는 종자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00:0과 75:25의 비율로 혼합한 배지에 파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플러그 트레이 105구에 가침박달 종자를 파종한 후 Hyponex (N:P:K=20:20:20)를 농도별로 시비하여 파종 60일 후에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가침박달의 유묘는 시비하지 않은 무처리에서 가장 생육이 불량하였으며, Hyponex 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줄기의 생육이 양호하였으며(Table 4), 엽록소의 함량도 증가하였다(Fig. 4). 그러나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Hyponex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yponex 3.12g 처리는 초장, 엽장, 엽수,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엽록소 함량 등에서 6.24g 처리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엽장, 줄기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에서 6.24g 처리보다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나타났다 (Fig. 5). 따라서 가침박달은 플러그 육묘시 플러그 트레이당 N-P-K 20-20-20 복합비료를 6.24g 처리하는 것이 유묘의 생육에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 찰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유묘 생육

    플러그 트레이는 셀의 크기에 따라 32구에서 512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배지의 용적량과 화학성에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물의 플러그 육묘시 유묘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의 특산식물인 큰구와꼬리풀과 부산꼬리풀의 경우에도 72구(구당 34mL) 셀 크기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한 것이 200구(구당 10mL)보다 초장, 엽수, 뿌리길이 등의 생육이 양호하였다고 하였다(Kwon et al. 2021;Oh et al. 2022). 또한 한국 자생식물인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와 부추(A. tuberosum) ‘그린벨트’의 플러그 육묘시에도 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유묘의 초장, 엽수, 뿌리길이 등이 감소하였다고 하였다(Kim et al. 2001;Park et al. 2023). 이와 같이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가 작으면 셀의 용적량이 적게 되어 근권의 생육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상토의 양이 적어 양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뿌리와 줄기의 생육이 저하된다(Jang et al. 2022;Lee et al. 2021). 그러나, 갯부추(A. pseudojaponica)와 강부추(A. thunbergii for. rheophytum)는 50구와 72구의 셀 크기에서는 유묘의 생육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ark et al. 2023). 본 연구에서 꼬리말발도리의 플러그 육묘에 있어서도 셀 크기가 큰 50구보다 105구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유묘의 생육이 더 좋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셀 크기가 너무 클 경우 배지 내의 수분함량이 많아 과습으로 인하여 뿌리의 호흡이 억제되어 생육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지조성에 따른 유묘의 생육

    토양의 종류와 조성에 따라 배지의 물리성이 변하기 때문에 플러그 육묘에서 배지의 조성은 유묘의 생육에 큰 영향을 준다. 큰구와꼬리풀과 부산꼬리풀은 플러그 육묘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4:1인 배지에서(Kwon et al. 2021;Oh et al. 2022), 거베라는 코코피트와 펄라이트를 1:1로 혼합한 배지에서 유묘의 생육이 양호하였다고 하였다(Cho et al. 2003). 그러나,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3:1이나 4:1인 배지에서 유묘의 생육에 차이가 없었다(Jang et al. 2022). 이와 같이 플러그 육묘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유묘의 생육에 적합한 배지 조성에는 차이 가 있다.

    꼬리말발도리의 자생지는 계곡부 인접한 경사면이나 바위틈 또는 자갈이 많은 너덜지대에 생육하며, 유기물 함량이 11.3% 인 토양에서 생육한다(Jung et al. 2016;Jung et al. 2020). 즉, 꼬리말발도리는 통기성이 좋으면서 어느 정도 유기물이 포함된 토양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생육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토양 종류 중 펄라이트는 통기성과 배수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피트모스는 수태와 억새 등이 장기간 탄화되어 만들어진 수분보유능이 높은 유기질 토양이다(Lee et al. 2006;Shim et al. 2016;Wilson 1985). 본 연구에서 꼬리말발도리의 유묘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20:80인 배지에 서 가장 양호한 생육을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펄라이트 의 함량이 높아 통기성이 양호하면서 유기물인 피트모스가 20% 포함된 배지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침박달이 분포되어 있는 자생지 토양은 유기물 함량이 15~25%로 많고, pH가 3.9~5.5의 산성이라고 하였는데(Kim et al. 2014;Koh 2006;Song et al. 2016), 이는 꼬리말발도리에 비해 가침박달은 상대적으로 유기물의 함량이 높고, 산성 토양에서 잘 생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부산꼬리풀의 경우 플러그 육묘에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1로 혼합한 배지보다 4:1로 혼합한 배지에서 엽장, 엽폭, 마디수,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 등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수분보유능이 우수한 피트모스의 비율이 더 높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Oh et al. 2022). 본 연구에서 사용한 펄라이트는 가밀도가 높고, 수분함량이 낮으며, pH가 중성이며,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Kim and Yoo 2014) 가침박달의 유묘 생육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반면에 피트모스는 90% 이상의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고, pH가 3.8~5.0로 산성이며, 수분함량 이 높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Kim 2003;Kim and Kim 2011;Lee et al. 2006;Shin et al. 2012). 본 연구에서 가침박달의 유묘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100:0과 75:25의 배지에서 가장 양호한 생육을 나타낸 것은 피트모스가 유기물 함량이 많고, pH가 낮으며, 높은 수분보유능을 갖추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비수준에 따른 유묘의 생육

    육묘 기간 중에 Hyponex의 시비는 유묘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나는데, 금꿩의다리(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와 자주꿩의다리(T. uchiyamai)의 플러그 육묘에서 Hyponex(N:P:K=6:10:5) 1,000배액의 관주처리는 무처리나 500배액과 2000배액으로 희석하여 처리한 것보다 유묘의 초장 및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에서 양호한 생육 모습을 보여주었다(Lee et al. 2015). 또한 털부처꽃(L. salicaria)의 경우에도 플러그 육묘시 Hyponex (N:P:K=6.5:6:19) 1000mg・L-1의 농도로 관주처리하면 무처리보다 유묘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며, 따라서 고품질의 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절한 시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Jang et al. 2022). 그러나 육묘시 적절한 비료의 종류와 시비 농도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Hyponex와 동일한 성분을 지닌 Peters Professional 복합비료(N:P:K=20:20:20)는 부산꼬리풀 육묘시 1000mg・L-1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유묘의 줄기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Oh et al. 2022), 큰구과꼬리풀은 500~2000 mg・L-1의 농도에서 유묘의 생육에 차이가 없었다고 하였다(Kwon et al. 2021).

    또한 육묘 기간 중에 시비는 정향풀,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등과 같이 줄기와 뿌리의 생육을 동시에 촉진시키는 경우도 있으나(Lee et al. 2015;Lee et al. 2021), 식물 종류에 따라서는 뿌리의 생육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경우도 많다. 변산향유, 참두메부추, 큰구와꼬리풀, 부산꼬리풀의 경우 Hyponex나 Peters Professional 복합비료를 1000 또는 2000mg・L-1 시비했을 때, 무처리보다 초장, 엽장, 엽폭, 엽수 등 지상부 생육에는 효과적이었으나, 뿌리수, 뿌리길이,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의 지하부의 생육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Kwon et al. 2021;Lee et al. 2022;Oh et al. 2022;Park et al. 2023). 본 연구에서도 가침박달은 플러그 육묘시 트레이 당 Hyponex (N:P:K=20:20:20)를 기준으로 6.24g의 관주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했을 때, 뿌리의 생육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유묘의 초장, 엽장과 엽폭, 줄기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 줄기의 생육이 크게 촉진되었고, 엽록소 함량이 높아져 고품질의 묘를 생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사 사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as part of “Development of Breeding Models for Native Garden Plants in the New Climate Regime(KNA1-5-1-24-1)”.

    Figure

    FRJ-32-4-247_F1.gif

    Shoot and root growth according to plug tray cell size at 65 days after sowing in Deutzia paniculata.

    FRJ-32-4-247_F2.gif

    Shoot and root growth according to media composition of peat moss and perlite at 65 days after sowing in Deutzia paniculata.

    FRJ-32-4-247_F3.gif

    Shoot and root growth according to media composition of peat moss and perlite at 60 days after sowing in Exochorda serratifolia.

    FRJ-32-4-247_F4.gif

    Chlorophyll contents according to Hyponex concentration levels at 60 days after sowing in Exochorda serratifolia. The bars represent SE and lowercase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FRJ-32-4-247_F5.gif

    Shoot and root growth according to Hyponex concentration levels at 60 days after sowing in Exochorda serratifolia.

    Table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plug tray cell size at 65 days after sowing in Deutzia paniculata.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media composition of peat moss and perlite at 65 days after sowing in Deutzia paniculata.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media composition of peat moss and perlite at 60 days after sowing in Exochorda serratifolia.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Hyponex concentration levels at 60 days after sowing in Exochorda serratifolia.

    zHyponex Professional, N:P:K=20:20:20.
    yTray : 105-cell plug tray.
    x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Reference

    1. Cho MS, Ye BK, Park YY, Jun HJ ( 2003) Effects of plug cell size and media on gerbera seedling growth. Korean J Environ Agric 22:60-64
    2. Jang BK, Yeon SH, Lee SI, Park K, Jeong MJ, Cho W, Cho JS, Lee CH ( 2022) Seedling growth of Lythrum salicaria L. by soil types, plug tray cell size, number of seeds per cell, liquid fertilizer, and shading level. Flower Res J 30:113-120
    3. Jung JY, Ahn JB, Yun HG, Jung SY, Shin HT, Son SW ( 2020) Geographical distribution range and grow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 Korean endemic plant. J Korean Env Res Tech 23:1-16
    4. Jung JY, Pi JH, Park JG, Jeong MJ, Kim EH, Seo GU, Lee CH, Son SW ( 2016)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s an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o 49:31-41
    5. Kang HC, Hwang DY, Ha YM ( 2018) Vegetative propag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melanchier spp. with high value as fruit tree for landscaping. J Korean Inst Land Archi 46:111-119
    6. Kim CK, Oh JY, Kang SJ ( 2001) Effect of plug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 J Korean Soc Hortic Sci 42:167-170
    7. Kim HS, Kim KH ( 2011)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ubstra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eat moss, perlite and vermiculite. Korean J Soil Sci Fert 44:321-330
    8. Kim KA, Cheon KS, Yoo KO ( 2014)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7:155-173
    9. Kim LY ( 2003) Characteristics of cocopeat and peatmoss. Soil & Fertilizer 13:14-21
    10. Kim MY (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Korea, pp 6-7
    11. Kim SK, Yoo YK ( 2014) Mixing ratio of peat moss, coco peat, and perlite affec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dia and growth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Hortic Sci Technol 42:15-27
    12. Koh SD ( 2006)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ochorda serratifolia community. Bull Sci Ed 22:1-24
    13. Korean National Arboretum ( 2012) Rare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14. Kwon HH, Oh HJ, Kim JH, Kim SY ( 2021) Development of raising seedling technology for Veronica pyrethrina Nakai using plug trays. J People Plants Environ 24: 499-507
    15. Lee HH, Ha SK, Kim BH, Seol YJ, Kim KH ( 2006) Optimum physical condition of peatmoss-based substrate for growth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lug seedlings. Kor J Hort Sci Technol 24: 322-329
    16. Lee KE, Han KP, Park WG, Kim IS ( 1987) A study on the wild Exochorda erratifolia for landscape horticultural cultivation. J Korean Inst Land Archi 15:139-148
    17. Lee SI, Park JW, Kwon YE, Kim SY, Cho WW, Jeong MJ ( 2022) Effects of seedling container, soil composition, seeding rates and fertilizer condition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Korean J Plant Res 35:29-35
    18. Lee SI, Yeon SH, Cho JS, Kim SY, Cho WW, Jeong MJ, Lee CH ( 2021) Effective techniques for seedling production of Amsonia elliptica (Thumb.) Roem. & Schult. Korean J Plant Res 34:470-477
    19. Lee SY, Kim KJ, Lee JS ( 2008)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native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Flower Res J 16:134-142
    20. Lee WH, Lee SY, Kang JH, Lee TJ, Kim KS ( 2015) Effect of fertilizer levels and shading rate on seeding growth of Thalictrum Species Native to Korea. J Korean Env Res Tech 18:83-89
    21. Oh HJ, Kwon HH, Kim JH, Cho WW, Kim SY ( 2022) Growth characteristics by plug tray cell size, soil type, and fertilizer concentration for plug seedling production of Veronica pusanensis Y.N. Lee. J People Plants Environ 25:143-152
    22. Park CH, Kim JM, Yun SM, Lim YJ, Yoon MJ, Jang BK ( 2023)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the efficient growth of seedlings of Allium spirale Willd. Flower Res J 31:159-165
    23. Park JH, Yoon YH, Ju JH ( 2021) Effect of cell size and seedling raising stage on growth of cuttings form Euonymus fortunei ‘Emerald and Gold’ seedlings in a plug tray. J Environ Sci Intern 30:685-691
    24. Shim CY, Kim CH, Park IS, Choi JM ( 201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blends of peatmoss and perlite and the selection of rooting media for different growing season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4:886-897
    25. Shin BK, Son JE, Choi JM (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tmoss and coir dust currently used as root medium components for crop production in Korean plant factories. J Bio-Environ Cont 21: 362-371
    26. Son SW, Choi KS, Park KT, Kim EH, Park SJ ( 2013)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Korean rare and endemic species, Deutzia pdaniculata Nakai, as revealed by ISSR markers. Korean J Plant Res 26:619-627
    27. Song JH, Kong MJ, Oak MK, Hong SP ( 2016) A study on the distributi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il condition of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Korean J Environ Eco 30:929-938
    28. Wilson GCS ( 1985) New perlite system for tomatoes and cucumbers. Acta Hortic 172:151-156
    29. Yoo BS, Kim WH, Lee DW, Oh YN, Lee KS, Lee JS ( 2004) Effects of growth by plug growth medium, cell size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deciduous azale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2:89 (Abstr)
    30. Yoon JW ( 2016)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of Wikstroemia ganpi in Korea. PhD-thesis, Yeungnam Univ, Korea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