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2 No.1 pp.21-27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4.32.1.03

Impact of Plug Tray Cell Size, Seeding Rate, Fertilizer Concentration, and Shading Ratio on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Seedling Growth
플러그 트레이 셀 사이즈, 셀 당 파종량, 추비농도 및 차광정도가 가는잎향유의 유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ang In Lee1, Bo-Kook Jang2, Soo Ho Yeon3, Cheol Hee Lee4, Wonwoo Cho1, Ju-Sung Cho4*
1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2Department of Horticul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3Ingredient R&D Center, KOLMAR BNH, Jecheon 27116, Korea
4Division of Animal, Horticultural and Food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8644, Korea

이상인1, 장보국2, 연수호3, 이철희4, 조원우1, 조주성4*
1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2국립순천대학교 원예학과
3콜마비앤에이치 소재연구센터
4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Correspondence to Ju-Sung Cho Tel: +82-43-261-2529 E-mail: jsc@chungbuk.ac.kr
09/03/2023 25/03/2024

Abstract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known for its beautiful flower shape and unique essential oil scent, is increasingly in demand as an ornamental plant for potting and ground cov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lug tray cell size, seeding rate per cell,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 and shading ratio on the growth of E. angustifolia seedlings. The study found that seedling plant length, leaf number, number of nodes, root length, and fresh weight of the above-ground par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cell capacity of the plug tray cell size increased. The best growth was observed with two seeds per cell, with growth decreasing as the seeding amount increased. As the shading ratio increased, plant length increased, and the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and number of nodes were optimal at 55% shading. The best growth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1000-fold liquid fertilizer during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most effective to fill the 162 cell trays with horticultural substrate during the E. angustifolia seedling, then sow two seeds per cell and apply foliar fertilization with 1000-fold liquid fertilizer at 55% shading in the nursery.




가는잎향유[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는 화형이 아름답고, 정유 특유의 향기가 좋아서 분화용 및 지피용 관상식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전초에는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가는잎향유의 육묘에 미치는 플러그 트레이 셀 사이즈, 파종립수, 차광정도, 추비농도 등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플러그 트레이 셀 사이즈는 용량이 증가할수록 유묘의 초장, 엽수, 마디수, 근장, 지상부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파종 립수는 2립 파종 시 가장 효율적이었고,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생육이 감소하였다. 차광정도가 높아질수록 초장은 증가하였고, 경직경, 엽수, 마디수는 55% 차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추비 처리 시공시비료 1000배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서 가는잎향유의 육묘 시 162셀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채운 다음 셀 당 2립 파종한 후 55% 차광막이 설치된 육묘상에서 공시비료 1000배로 엽면시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초록


    서 언

    최근 식물 키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반려식물, 식집사와 같은 신조어들이 생겨나고 있다(Song et al. 2020;Yeon et al. 2022). 실내식물로 키우는 식물은 원예종이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나 새로운 식물소재를 찾는 사람들이 점차 늘면서 자생식물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기존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식물은 대부분 외국에서 도입된 귀화식물로 수입비중 또는 생산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Bang and Kim 2013). 국내 분화류 야생화의 판매금액 증가율은 전년 대비 18년도부터 58.3%, 10.6%, 32.9%씩 증가하는 추세로 이는 야생화 판매품목의 고급화를 주도하고 있다(MAFRA 2019, 2020, 2021). 이와 같이 분화용 야생화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야생화를 활용하고 개발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가는잎향유[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는 꿀풀과 향유속 식물이다. 향유속 식물은 대부분 1년생으로 40여종의 식물이 아시아 온대, 일부 열대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et al. 2015), 국내 향유속 식물은 가는잎향유, 변산향유(E. byeonsanensis M.Kim), 좀향유(E. minima Nakai), 꽃향유(E. splendens Nakai ex F.Maek.), 향유[E. ciliata (Thunb.) Hyl.] 등 11종이 분포한다(Choi et al. 2012). 가는잎향유는 바위틈에서 자생하고 크기는 50cm정도로 잎은 길게 마주나기하며 선형으로 길이는 2~7cm, 폭은 1.5~5mm로 잎의 뒷면에는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9~10월 가을에 피며 연한 홍색의 꽃이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이삭꽃차례로 2.5~5cm정도 크기로 달린다. 또한 향유속 식물 가운데 꽃향유, 애기향유(E. serotina Kom.), 향유와 가는잎향유를 포함하여 방향 성분을 갖는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전초를 향유라 부르며 약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Choi et al. 2012;KPNI 2022).

    이와 같이 관상용, 약용으로 활용도가 높은 식물을 육묘하기 위해서 다양한 재배환경요인에 따른 영향을 확인해야 한다. 유묘는 플러그 트레이 셀 당 용적량이 차이가 나므로 토양 내 양수분의 함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하부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Kim et al. 2013), 파종량에 따른 묘의 생육(Lee et al. 1998;Mo et al. 2014), 생육을 촉진할 수 있는 비료의 농도(Han et al. 2011;Kang et al. 2005), 적정 차광정도(Bang et al. 2004;Park et al. 2011)에 따라 생육이 변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변산향유 (E. byeonsanensis)(Lee et al. 2022), 정향풀(Amsonia elliptica) (Lee et al. 2021), 황기(Astraglus membranaceus)(Jeong et al. 2020),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Lee et al. 2020) 등 자생식물의 생육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피 및 분화용으로 관상소재 개발 가능성이 우수한 가는잎향유의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육묘환경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공시재료

    공시식물인 가는잎향유의 종자는 2017년 9월에 산림청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온실에서 채종한 다음 건조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4℃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공시상토는 원예상토(Hanareum, Shinsung Mineral Co., Ltd., Goesan, Korea)로 원재료는 코코피트 51.5%, 피트모스 10%, 제오라이트 10%, 펄라이트 15%, 질석 13%, 부식산 0.1%, 비료 0.4%이다. 공시비료는 4종복합비료(N-P2O5-K2O=6.5-6-19, Hyponex Japan Co. Ltd., Osaka, Japan), 공시플러그트레이는 162(15mL), 200(10mL), 288(5mL)셀 플러그 트레이(Jeongeup, Bomnong Co., Ltd., Korea), 공시차광은 55%와 75% 차광막(청호산업, Pocheon, Korea)을 구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조건

    가는잎향유의 육묘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플러그 트레이 셀 사이즈, 셀 당 파종량, 추비농도 및 차광조건을 달리하였으며, 처리구별 대조구를 설정하였다. 대조구는 원예상토를 200셀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한 다음 셀당 파종량을 4립으로 파종하였다. 또한 차광은 무차광하였으며, 공시비료를 500배 (mg·L-1) 농도로 희석하여 2, 4 및 6주차에 엽면시비하였다. 파종한 플러그 트레이를 2018년 4월 3일부터 8주간 유리온실에 완전임의배치하여 재배하였으며, 실험기간동안 유리온실 내 온습도는 Fig. 1과 같다.

    육묘조건 조사를 위한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1) 플러그 트레이 셀 처리구를 162, 200 및 288셀 사이즈로 설정하였으며, 플러그 트레이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2) 플러그 트레이 셀 당 파종량 실험은 셀 당 1, 2, 4 및 6립을 파종하여 처리구를 구분하였다. 파종량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3) 추비농도별 실험은 공시비료의 처리 농도에 따라 공시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0mg·L-1), 500배(500mg·L-1), 1,000배(1000mg·L-1) 희석 처리구를 2, 4 및 6주차에 재배된 유묘를 대상으로 시비하였다. 추비농도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4) 차광조건은 유리온실에 0%(132.9μmol·m-2·s-1,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PPFD), 55%(74.9 PPFD), 75%(25.6 PPFD) 차광막을 설치하여 파종한 플러그 트레이를 배치하였다. 차광조건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플러그 트레이 셀 사이즈, 셀 당 파종량, 추비농도 및 차광실험에 사용한 처리구는 플러그 트레이 당 10셀을 기준으로 3반복하여 각 처리구 당 30셀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조사내용

    가는잎향유의 초장(cm), 근장(cm), 엽수, 경직경(mm) 및 마디수를 눈금자와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CD-15CX, Mitutoyo Corp., Kawasaki, Japan)로 직접 측정하였다. 지하부와 지상부의 생체중은 전자저울(Dragon 204/S, Mettler Toledo Co. Ltd., Greifensee,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각 처리구별 측정항목은 10개체 3반복하여 평균 및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이후 SAS 프로그램(Statistical Analysis System, 9.4 Version, SAS Institute, Cary, NC, USA)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플러그 트레이 셀 사이즈 별 생육 차이

    가는잎향유는 파종용기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묘의 생육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Table 1). 초장, 엽수, 근장은 용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288셀(14.4cm, 8.8ea, 4.1cm), 200셀 (16.7cm, 9.6ea, 4.7cm), 162셀(18.6cm, 10.5ea, 5.1cm)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경직경의 경우 0.61~0.62mm로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디수와 지상부 생체중은 200셀와 288셀 트레이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배지부피가 커질수록 토마토의 육묘기 생육이 빨라져 플러그 묘의 생산과 수확속도가 증가한 결과(Kim et al. 2013), 오이(Cucumis sativus L.) 육묘 시 트레이 셀의 크기가 커질수록 생육이 증가한 결과(Jang et al. 2014), 플러 그 셀의 크기가 커질수록 황기의 생육이 우수한 결과(Jeong et al. 2020), 그리고 트레이 셀의 크기에 비례하여 고추(Capsicum annuum L.)의 생육이 증진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Shin et al. 2000). 이와 같은 결과는 가는잎향유의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고, 공시작물의 생육을 고려할 때, 162셀이 가는잎향유 육묘에 적절한 트레이 셀 용량으로 판단되었다.

    파종량 별 생육 차이

    파종량을 달리하여 육묘한 결과 개체당 생육은 대조구인 4립과 비교하여 1립 파종 처리구에서 개체당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셀 당 파종량이 많아질수록 개체별 생육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Table 2). 초장, 경직경, 엽수는 1립과 2립 파종에서 차이가 없었고, 엽수, 마디수, 근장은 4립과 6립 파종구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개체별 지상부 생체중은 1립을 기준으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약 2립 23.1%, 4립 59.5%, 6립은 69.8% 감소하였고, 지하부 생체중은 1립 파종과 비교하여 약 2립 29.0%, 4립 61.1%, 6립은 78% 감소하였다. 반면 셀 당 총 지상부의 생체중은 1립 처리구와 비교할 때, 2립, 4립 및 6립 처리구는 각각 19.9%, 33.1%, 50.9% 씩 증가하였고,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각각 6.4%, 17.6%, 24.9% 씩 증가하였다. 묘의 소질은 정식 후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작물의 생육이 변하게 된다. Jeong et al.(2020)의 연구에서 황기는 셀 당 파종량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생육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콩(Glycine max L.), 유채(Brassica napus L.)와 같은 작물도 줄기직경, 개체당 분지수가 감소하였다(Cho and Song 1995;Kang et al. 1998). 이와 같은 결과는 셀 당 파종 립 수가 증가할수록 개체간 양분 경합이 일어나 생육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파종밀도가 높아질 경우 Lee et al.(1998)의 연구에서는 뿌리 생장이 억제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는 단위 면적당 파종량에 따라 개체 생육과 밀집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Urbaniak et al. 2008). 따라서 가는잎향유는 생육감소가 적고 풍성하게 육묘 할 수 있는 셀 당 2립 파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추비농도 별 생육 차이

    무처리와 공시비료 500배 처리는 생육에 큰 차이가 없었다(Table 3). 무처리구와 비교할 때, 공시비료 1000배 처리구의 초장과 엽수는 각각 5.4%와 25.3%씩 증가하였다. 능유바위솔(Orostachys 'Nungyu bawisol')의 경우 공시비료를 시비할 경우 농도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촉진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Chon et al. 2011). 또한 Lee et al.(2021)의 연구에서도 정향풀에 공시비료 처리시 유묘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따라서 육묘 시 공시비료를 1000배로 엽면시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차광정도 별 생육 차이

    가는잎향유는 대조구인 무차광을 기준으로 55% 차광에서 재배된 유묘의 경직경과 엽수는 0.66mm와 11.0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75% 차광은 0.41mm와 9.9개로 감소하였다(Table 4). 마디수, 근장, 지하부의 생체중은 무차광을 기준으로 55% 차광은 각각 5.1%, 1.1%, 31.9% 감소하였고 75% 차광은 각각 14.7%, 14.5%, 32.3% 억제되었다. 한편 75% 차광 처리구에서 초장이 증가한 결과는 도장에 의한 것으로 이는 경직경과 마디수의 감소로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차광율이 높아질수록 도장으로 앵초(Primula sieboldi)의 초장이 증가한 결과와 일치하였다(Suh et al. 2004). 식물종마다 식물체 유지 및 생장을 위한 광포화점도 다르기 때문에 광포화점 이하로 차광 시 생육이 억제될 수 있어, 적정 차광정도를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Gardner et al. 1985). 또한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50% 차광에서 엽수, 엽폭, 줄기길이가 증가하였다(Park et al. 2011).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는 50~70% 차광에서 전반적으로 생육이 증가하였으나, 더 높은 차광에서는 생육이 억제되었다(Bang et al. 2004). 이러한 결과는 가는잎향유의 차광정도 별 생육 경향과 일치하였으며, 비비추(Hosta longipes),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관중(Dryiopteris crassirhizoma) 의 차광 재배 연구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Kim and Lee 2009).

    사 사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신 관상식물(new ornamental crops) 고품질 재배기술 개발, KNA1-2-33, 17-8”의 사업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Figure

    FRJ-32-1-21_F1.gif

    Change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experimental period in glasshouse at 2018.

    Table

    Effect of different size of seedling containers on seedling growth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zTreatments were as follows; 162 (162 cells/plug tray cell size), 200 (200 cells/plug tray cell size) and 288 (288 cells/plug tray cell size).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p</i> < 0.05.

    Effect of sawed seed numbers per cell on seedling growth of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zTreatments were as follows; 1 (1 seed/cell), 2 (2 seeds/cell), 4 (4 seeds/cell) and 6 (6 seed/cell).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p</i> < 0.05.

    Effect of different additional fertilizer on seedling growth of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zTreatments were as follows; hyponex 0-fold, 500-fold and 1000-fold liquid fertilizer.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p</i> < 0.05.

    Effect of different shading ratio on seedling growth of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zTreatments were as follows; 0% (132.9 μmol·m<sup>-2</sup>·s<sup>-1</sup>), 55% (74.9 μmol·m<sup>-2</sup>·s<sup>-1</sup>) and 75% (25.6 μmol·m<sup>-2</sup>·s<sup>-1</sup>) shading.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p</i> < 0.05.

    Reference

    1. Bang KJ , Ju JH , Han SW (2004) Effects of different shading levels on the growth of the native fern Polystichum lepidocaulon. J Korean Inst Landsc Architec 31:73-76
    2. Bang S , Kim YH (2013) Application of Korean native plants on plant materials and kinds of design of floral arts. Kor Soc Floral Art Design 28:203-229
    3. Cho NK , Song CK (1995) Effects of seeding rate on the growing response and fresh weight of soiling rape. Subtrop Agric Cheju Nat Univ 12:61-66
    4. Choi CH , Han KS , Lee JS , So SK , Hwang Y , Kim MY (2012) A new species of Elsholtzia (Lamiaceae): E. byeonsanensis M. Kim. Korean J Pl Taxon 42:197-201
    5. Chon YS , Lee SW , Jeong KJ , Ha SH , Bae JH , Yun JG (2011) Growth and quality affect by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in potted Orostachys ‘Nungyu bawisol’. J Bio-Environ Cont 20:357-364
    6. Gardner FP , Pearce RB , Mitchell RL (1985) Photosynthesis. In: Gardner FP, Pearce RB, Mitchell RL (eds) Physiology of crop plants. Iowa State Univ, Iowa, USA, pp 3-30
    7. Han SJ , Kim JS , Ko JA , Eun JS (2011)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properties of media in response to nitrogen and potassium concentration in fertilization solution on the substrate culture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J Agric Life Sci 42:33-42
    8. Jang YA , Lee HJ , Choi CS , Um YC , Lee SG (2014)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cion and pumpkin rootstock under different levels of light intensity and plug cell size under an artificial lighting condition. J Bio-Environ Cont 23:383-390
    9. Jeong HW , Kim HM , Lee HR , Kim HM , Hwang SJ (2020) Growth of Astragalus membranaceus during nursery period as affected by different plug tray cell size, number of seeds per cell, irrigation interval, and EC level of nutrient solution. Hortic Sci Technol 38:210-217
    10. Kang SW , Suh JN , Park CH (2005) Effect of water soluble and slow release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pot carnation in C-channel mat irrigation system. J Bio-Environ Cont 14:212-217
    11. Kang YK , Ko MR , Cho NK , Park YM (1998) Effect of plant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Cheju island. Korean J Crop Sci 43:44-48
    12. Kim GS , Lee JS (2009) Growth reaction of some ground cover plant in Korean native greening according to shading levels. Flower Res J 17:75-80
    13. Kim SE , Lee MH , Ahn BJ , Kim YS (2013) Effects of spacing and plug cell size on seedling quality and yield and qualities of tomatoes. J Bio-Environ Cont 22:256-261
    14. Kim TK , Kim HC , Song JY , Lee HS , Ko SH , Lee YM , Song CK (2015) Cutting propagation and seedling growth effect according to fertilizer application of Elsholtzia minima Nakai. Korean J Plant Res 28:243-252
    15. Korean Plant Names Index (KPNI) (2022) Accessed Jun. 2022,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8986
    16. Lee JC , Ahn DJ , Byen JS , Cheon SK , Kim CS (1998) Effect of seeding rate on growth and yield of ginseng plant in direct-sowing culture. J Ginseng Res 22:299-303
    17. Lee SI , Park JW , Kwon YE , Kim SY , Cho WW , Jeong MJ (2022) Effects of seedling container, soil composition, seedling rates and fertilizer condition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Korean J Plant Res 35:29-35
    18. Lee SI , Yeon SH , Cho JS , Jeong MJ , Lee CH (2020) Optimization of cultivation conditions on effective seedling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 Yamaz. J Bio-Environ Cont 29:181-188
    19. Lee SI , Yeon SH , Cho JS , Kim SY , Cho WW , Jeong MJ , Lee CH (2021) Effective techniques for seedling production of 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 Korean J Plant Res 34:470-477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9) Status of Floriculture in 2018. Sejong, Korea, p 18
    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20) Status of Floriculture in 2019. Sejong, Korea, p 18
    2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21) Status of Floriculture in 2020. Sejong, Korea, p 18
    23. Mo HS , Park HW , Jang IB , Yu J , Park KC , Hyun DY , Lee EH , Kim KH (2014) Effect of sowing density and number of seeds sown on Panax ginseng C.A. Meyer seedling stands under direct sowing cultivation in blue plastic greenhouse. Korea J Med Crop Sci 22: 469-474
    24. Park BM , Kim CH , Bae JH , Shin JR (2011)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soil properties,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igularia stenocephala. J Bio-Environ Cont 20:352-356
    25. Shin YA , Kim KY , Kim YC , Seo TC , Chung JH , Park HY (2000) Effect of plug cell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red pepper. J Kor Soc Hortic Sci 41:49-52
    26. Song JH , Yang S , Choi G , Moon BC (2020) Analysis on the trends of Korean health functional food patent based on the medicinal plant resources. Korean Herb Med Inf 8:25-44
    27. Suh JT , Hong SY , Yoo DL , Kim SJ , Nam CW , Ryu SY (2004) Optimum shading condition for pot cultivation of wild-flowers. Indoor Landsc 6:45-52
    28. Urbaniak SD , Caldwell CD , Zheljazkov VD , Lada R , Luan L (2008) The effect of seeding rate, seeding date and seeder type on the performance of Camelina sativa L. in the maritime provinces of Canada. Can J Plant Sci 88:501-508
    29. Yeon JY , Kim MJ , Lee KM , Park SH , Kim WS (2022) Comparative analysis of planting characteristics by garden type. Flower Res J 30:18-25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