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1 No.3 pp.159-165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3.31.3.05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the Efficient Growth of Seedlings of Allium spirale Willd.
자생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의 효과적인 육묘를 위한 생육환경조건

Chung Hwa Park1†, Jeong Min Kim1†, Sae Mi Yun2, Yeon Jin Lim1, Mi Jeong Yoon1, Bo-Kook Jang1,3*
1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2Garden Plant Nursery Team, Sejong National Arboretum, Sejong 30106, Korea
3Department of Horticul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박충화1†, 김정민1†, 윤새미2, 임연진1, 윤미정1, 장보국1,3*
1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2국립세종수목원 정원소재연구실 정원식물양묘팀
3순천대학교 원예학과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ence to Bo-Kook Jang Tel: +82-61-750-3243 E-mail: jangbk@scnu.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7981-0676

12/03/2023 22/08/2023

Abstract


Allium spirale Willd. is valuable as it is an ornamental and edible plant. However, the research concerning the growth conditions for raising the seedlings of A. spirale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edling plug tray cell sizes, light shading rates, and fertilization treatments on the growth of seedlings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was the best in the 105-cell plug tray, which had the largest tray volume. Of the growth indicators tested, plant growth and root length were relatively high under 60% shade. Applying 100 mg of the fast-acting coated fertilizer [DO-PRO (N:P:K = 12:8:12 + 6CaO)] per cell resulted in the highest root number and length values. The short-acting liquid fertilizer [Peters (N:P:K = 20:20:20)], when applied at 8 mL twice a week rather than once a week, resulted in an enhanced plant length and increased number of leaves. Therefore, applying 100 mg of the fast-acting solid fertilizer and 8 mL of the short-acting liquid fertilizer per cell twice a week was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initial growth of seedlings. Thus, the most effective growth conditions were sowing in a 105-cell plug tray filled with horticultural substrate, addition of 100 mg of DO-PRO or 8 mL of Peters twice a week, and cultivation under 60% shading.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는 관상 및 식용식물로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참두메부추의 육묘를 위한 생육조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육묘 플러그 셀 크기, 차광율 및 시비처리가 참두메부추의 유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플러그 셀 크기는 용 적이 가장 큰 105셀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생육지표 중 초장과 근장은 60% 차광처리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 되어 생육이 우수하였다. 속효성 고형비료[DO-Peters(N:P:K= 20:20:20)는 셀 당 100mg을 시비했을 때 근수와 근장의 수치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속효성 액체비료 Peters(N:P:K= 20:20:20)는 8mL씩 주 2회 시비한 처리구에서 초장과 엽수 의 수치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참두메부추 유묘의 초기 생육에 있어서 속효성 고형비료는 100mg, 액체비료는 8mL를 주 2회 시비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참두메부추는 원예상토가 충진된 105셀 플러그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한 후 DO-PRO 100mg 또는 Peters 8mL를 주 2회 엽면시비하면서 60% 차광조건에서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초록


    서 언

    수선화과(Amaryllidaceae) 부추속(Allium)의 참두메부추 (A. spirale Willd.)는 강원도 해안가 모래땅 인근 일조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8월말에서 9월 사이에 산형화서의 보랏빛 꽃이 피어 관상식물로 이용이 가능하다(Park et al. 2023). 또한, 참두메부추는 두메부추 (A. dumebuchum H.J. Choi)와 유사하게 1개의 구근이 분구의 증식을 통해서(KNA 202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재 형태가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관상 가치가 인정되며 두메 부추와 함께 정원식물로의 활용도가 높다(Guh et al. 2015). 최근 나고야의정서의 발효 및 생물 유전자원의 가치 제고로 인해 자생식물 활용 및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생식물의 관상소재 활용 및 산업화를 위해 산마늘(A. microdictyon Prokh.), 정향풀(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그리고 좀향유(Elsholtzia minima Nakai) 의 시비처리, 파종립수, 차광정도 등 처리조건에 따른 초기 생육 반응에 대한 결과가 보고되었다(Kim et al. 2015;Lee et al. 2021;Park and Bae 2012). 자생 부추속 육묘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육묘일 수와 플러그 셀의 크기가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Kim et al. 2001), 용기 크기와 차광처리에 따른 유묘 뿌리발달(Jeon et al. 2015)이 있으며, Ku et al.(2019)는 토양배지의 pH가 자생 부추류의 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다. 참두메부추는 관상 및 정원 소재식물로써 이용가치가 높으나 육묘를 위한 생육환경조건 구명 및 고품질 유묘 생산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참두메부추를 관상식물로 이용하고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적정 육묘조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참두메부추는 2019년 9월 자생지인 강원도 강릉시에서 채집한 후(Fig. 1), 경기도 양평군 소재의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부속 시험포장에서 보전하면서 2020년 10월에 채종하였다. 이후 종자를 정선하여 종자저장고(4℃)에 저온저장한 후 2021년 4월에 파종하였다.

    플러그 셀 크기 조건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실험은 105, 128, 162셀(부피 30, 21, 15cm3/셀)(Bumnong Co., Ltd., Jeongeup, Korea) 플 러그 트레이를 사용하였으며 상업용 원예상토(Hs, Hanareum No.2, Shinsung Mineral Co., Ltd., Goesan, Korea)를 채 워 처리하였다. 실험은 플러그 트레이 처리구 당 10셀, 3반복으로 총 30셀이 사용되었다.

    차광 조건

    차광실험은 파종 후 발아하기 시작한 일주일 이후에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내 차광율이 0, 30, 60%로 설정된 Shading plot에 차광수준별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사용된 파종 플러그는 105셀 트레이였으며, 각 셀 당 1립씩 파종하 여 처리구별 30셀을 이용하였다.

    시비 조건

    양분처리를 위해 1,000mg·L-1 농도의 액상 Peters(Peters professional, ICL Specialty Fertilizers, USA, N:P:K=20:20:20) 를 처리하였으며, 파종 4주부터 주 1회, 2회 엽면 시비로 진행하였다. 또한,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고 있는 과립형 복합 비료 DO-PRO(DO-PRO 2023, DO-PRO 12, Yara, Norway, N:P:K = 12:8:12+6CaO)를 셀 당 0.1g, 0.2g 시비하였다. 처리구는 10셀씩 3반복으로 총 30셀이 사용되었다. 대조구는 105셀 플러그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채워 넣은 후 1셀당 1립의 종자를 파종한 것으로 하였다.

    조사방법 및 통계처리

    참두메부추를 75일간 육묘한 후 플러그 셀 크기, 차광율, 시비처리에 따른 초장(cm), 엽수(ea), 근수(ea), 근장(cm)을 조사하였고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생중량(g)과 건중량(g) 을 측정하였다. 초장은 하배축에서 신초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Drying Oven(OF-02G, Jeio Tech Co. Ltd., Daejeon, Korea)에서 75℃, 72시간 건조된 시료의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발아 및 생장 데이터는 SAS 9.4(SAS Inst.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처리 평균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환경조건

    참두메부추의 육묘에 미치는 플러그 셀 크기, 차광율, 시비 처리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21년 4월 8일 참두메부추 종자를 파종하여 6월 21일까지 75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차광처리를 제외한 다른 처리조건들은 55% 흑색 차광막이 설치 된 재배플롯에서 수행되었으며 data logger(Watchdog 1000 Series Micro Stations, Spectrum Tech. Inc., USA)를 통해 온도, 상대 습도, 광량을 수집하였다. 이후 실험이 수행된 기간 동안의 최고, 최저, 그리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Fig. 2).

    결과 및 고찰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육묘기 생육

    플러그 셀 크기에 따라 참두메부추를 육묘한 결과, 162셀 대비 105셀에서는 초장 23.6%, 엽수 12.9%, 근수 10.9%, 근장 108.3%로 증가하여 근수를 제외한 나머지 생육지표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고 128셀 대비 105셀에서는 초장 19.2%, 엽수 12.9%, 근수 5.8%로 증가폭의 차이가 162셀 보다 크지 않았다(Table 1, Fig. 3). 근수는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고, 근장은 105셀(7.5cm)과 128셀(7.8cm) 이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되어 162셀(3.6cm) 처리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중량과 건중량은 각각 105셀(0.2, 0.1, 0.03, 0.01g/plant), 128셀(0.3, 0.1, 0.01, 0.01g/plant), 162셀(0.1, 0.1, 0.02, 0.01g/plant)이었고 처리당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162셀의 플러그 트레이 환경에서 참두메부추는 초장(5.5cm), 엽수(3.1ea), 근장(3.6cm)의 생육지표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부추(A. tuberosum Rottler ex Spreng.) ‘그린벨트’는 셀 크기가 클수록 초장 및 근장이 길었으며 엽수, 근수, 생체중도 높게 조사되었고 또한 육묘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 향이 뚜렷하였다(Kim et al. 2001). 두메부추와 산부추(A. thunbergii G.Don)는 뿌리의 투영단면적과 표면적이 용적이 큰 128구에서 더 발달했으며 뿌리의 평균 직경은 200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됐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세근의 발달이 저조하여 나타난 결과였다(Jeon et al. 2015). 좀향유는 플러그 트레이의 셀 용적량이 증가할수록 유묘의 생육도 비례 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Lee et al. 2021), 자생 약용 식물인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산두근 (Sophora tonkinensis Gagnep.), 그리고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또한 플러그 셀 크기가 커질수록 생육지표가 우 수하였다(Oh et al. 2014).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참두메부추 또한 처리 중 용적이 가장 큰 105셀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 하는 것이 초기 생육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차광율에 따른 육묘기 생육

    참두메부추를 차광율에 따라 육묘한 결과, 무차광 대비 60% 차광처리에서 초장 87.7%, 엽수 5.5%, 근장 26.0%로 생육지표가 증가하였고 초장과 근장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조사되었다. 무차광 대비 30% 차광처리에서는 초장과 근장이 각각 28.0, 9.5%로 증가하였으나 엽수와 근수 는 3.8, 8.0개로 동일하였다(Table 2). 차광율에 따른 생중량 과 건중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참두메부추의 자생지는 주로 해안가 인근의 양지바른 모래땅이며 그 밖의 척박한 환 경에서도 잘 자란다는 특징이 있다(Park et al. 2022). 차광율에 따른 참두메부추의 생육지표를 살펴보면 차광율이 증가 할수록 초장과 근장의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참두메부추의 초장 및 뿌리의 길이생장을 위해서는 60% 차광처리가 초기 육묘환경으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비교적 산속이나 산기슭의 그늘진 곳에서 자생하는 자주꿩의다리는 75% 차광처리 보다 55% 차광처리 시 신초길이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생육이 우수하였다(Lee et al. 2015). 산마늘은 80% 차광 처리구에서 엽장이 무처리구보다 약 3cm 이상 높게 측정되었고 엽폭 또한 무처리구의 7.3cm 보다 80% 차광 처리구에서 10.1cm로 조사되어 차광율이 증가할수록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ark and Bae 2012). 반면,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는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은 75%의 높은 차광처리에서 지하부의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고(Song et al. 2014) 산부추와 두메부 추는 참두메부추와는 다르게 전체 뿌리길이가 모든 용기에서 차광율이 높아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Jeon et al. 2015). 이를 미루어 보아, 동일한 부추속 식물이라도 뿌리생 장과 식물체가 요구하는 적정 광조건이 각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적절한 차광조건이 참두메부추의 우수한 초기 생육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시비처리에 따른 육묘기 생육

    시비처리에 따라 참두메부추를 육묘한 결과 속효성인 고형 비료(DO-PRO) 0.1, 0.2g 처리는 각각 초장(9.9, 9.9cm), 엽수(4.6, 4.8ea), 지상부 생체중(0.4, 0.4g/plant)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은 고형비료 두 처리에서 측정값이 각각 9.9cm, 0.4g으로 동일하였다. 속효 성인 액체비료(Peters)를 8mL씩 주 1회, 2회 엽면시비한 처리구는 각각 초장(8.5, 9.2cm), 엽수(3.8, 4.2ea)로 조사되어 대조구의 초장(5.5cm)과 엽수(3.5ea)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았 고 액체비료 시비처리 중에서 비교했을 때, 주 2회 시비한 처리구의 지상부 생육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액체비료 시비횟수에 따른 참두메부추의 생육지표에 관한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두메부추의 시비처리에 따른 결과로 근수, 근장, 그리고 지하부 생중량과 건중량은 처리 당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본 실험에 사용한 고형비료는 과채류 및 과수류에 적합한 복합비료로서 흡수 이용률이 높은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DO-PRO, 2023). 또한, 속효성 비료이지만 코트비료 제형이므로 시비처리 시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참두메부추 유묘에 고형비료를 셀 당 0.1, 0.2g 시비했을 때 초장과 엽수는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근수와 근장이 0.1g 시비처리에서 각각 9.8개, 8.2cm로 높게 측정되었다. 능유바위솔(Orostachys ‘Nungyu bawisol’)은 분화재배를 위해 육묘 시, 육묘기간에 따라 Hyponex 육묘용(N:P:K, 15:30:15)과 생장용(N:P:K, 20:20:20)을 1,000배 또는 2,000배 시비하였고 그 결과, 액비농도가 높고 처리횟수가 많을수록 생육이 촉진되는 현상이 나타났다(Chon et al. 2011).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 은 Hyponex 미분(N:P:K, 6.5:6:19) 시비 처리에서 대조구 (500배)와 250배 액비처리 시 생육지표상 뚜렷한 차이가 없 었으며 1,000배 Hyponex 시비처리를 하였을 때 초장, 줄기 직경, 그리고 근장의 수치가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Jang et al. 2022). 부산꼬리풀(Veronica pusanensis Y.N.Lee) 과 큰구와꼬리풀(V. pyrethrina Nakai)은 액체비료(Peters professional)를 시비처리하여 육묘할 때, 초장과 초폭을 비롯한 생육지표가 대조구보다 높게 조사되었다(Kwon et al. 2021;Oh et al. 2022). 참두메부추는 1,000mg・L-1 농도의 액체비료 8mL를 주 2회 엽면시비 했을 때 초장이 9.2cm, 엽수가 4.2개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지상부 생중량은 0.3g 으로 조사되어 고형비료를 셀 당 0.1g 시비한 처리구 다음으로 생육이 양호했다.

    마늘(A. sativum L.)에서 질소(200kg・ha-1)의 시비는 구근 당 clove의 수, 무게 그리고 수확량 등을 향상시켰고 추가적으로 황(60kg・ha-1)을 조합하여 시비처리 했을 때 20개의 clove 생체중과 같은 수확량 매개변수를 상당히 높게 나타 냈다(Farooqui et al. 2009). 칼륨의 경우, 마늘의 영양소 (N, P, K, S, Ca, Mg, B, Na)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200kg・ ha-1 시비처리 시, 최대 구근 생산량이 나타났다(Jiku et al. 2020). 양파(A. cepa L.)에 질소비료 시비(>115kg・ha-1) 할 경우, 구근 길이에 영향 없이 추대를 늦추고 구근 직경 및 바이오매스 수율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었다(Abdissa et al. 2011). 칼륨비료의 시용은 양파의 초장과 엽장을 비롯한 평균 구근 무게 및 길이 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되었다 (Bekele 2018). 부추를 노지 이식 재배할 때에는 중성비료를 시 비해야 하며, 추비는 100m2당 질소 4.6kg, 칼륨 5.0kg를 2∼3 회 나누어 시용하는 것이 알맞다고 알려져 있다(Nongsaro, 2023). 한편, 세포의 신장과 분얼에 필요한 원소인 칼슘은 비독성 무기영양 성분이며 다른 무기원소의 고농도 독성을 제거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GNARES 2020).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참두메부추의 최적 시비 권장량 구명을 위해서는 필수원 소 함량을 보다 다양하게 조합하여 시용하고, 재배토양에 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참두메부추 유묘는 105셀 플러그 트레이 처리에서 초장과 엽수가 증가하였고 60% 차광처리 시 초장과 근장이 높게 조사되었다. 시비처리에서는 속효성 고형비료를 셀 당 0.1g 처 리 또는 1,000㎎·L-1 농도의 속효성 액체비료를 8mL씩 주 2 회 시비처리 하였을 때 근수와 근장이 높게 측정되어 참두메 부추 유묘의 뿌리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참두메부추를 관상식물로 활용하고 산업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105셀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한 묘를 60% 차광조건 아래에서 속효성 고형비료 0.1g 또는 속효성 액체비료 8mL를 주 2회 시비하여 육묘하는 것이 적정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자생 부추속 식물의 활용 증진 및 재배기술 연구(KNA1-2-35, 19-3)”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Figure

    FRJ-31-3-159_F1.gif

    The photograph of Allium spirale Willd. in a native habitat. The photograph was taken on 19 September 2019 at Gangneung-si in Gangwon-do, Korea.

    FRJ-31-3-159_F2.gif

    Maximum, average, and minimum values of temperature (A), and average relative humidity (B)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t cultivation plot of Korea National Arboretum in Yangpyeong, from 2021.

    FRJ-31-3-159_F3.gif

    Growth of Allium spirale Willd. seedlings by different treatments. A: plug tray cell size; B: shading ratio; C: additional fertilizer. Scale bars = 5 cm.

    Table

    Effect of different size of plug tray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spirale Willd.

    z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Effect of shading ratio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spirale Willd.

    z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Effect of additional fertilizer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spirale Willd.

    z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yDO-PRO (12:8:12 + 6CaO).

    Reference

    1. Abdissa Y , Tekalign T , Pant LM (2011) Growth, bulb yield and quality of onion (Allium cepa L.) as influenced by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vertisol I. growth attributes, biomass production and bulb yield. Afr J Agric Res 6:3252-3258
    2. Bekele M (2018)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potassium fertilization on yield, quality and storage life of onion (Allium cepa L.) at Jimma, Southwestern Ethiopia. J Food Sci Nutr 1:32-39
    3. Chon YS , Lee SW , Jeong KJ , Ha SH , Bae JH , Yun JG (2011) Growth and qualit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in potted Orostachys ‘Nungyubawisol’. J Bio-Env Con 20:357-364
    4. DO-PRO (2023) YARA Knowledge grows. Accessed Jun. 2023, https://www.yara.kr/crop-nutrition/fertiliser-products/yaramila/12/
    5. Farooqui MA , Naruka IS , Rathore SS , Singh PP , Shaktawat RPS (2009) Effect of nitrogen and sulphur levels on growth and yield of garlic (Allium sativum L.). Asian J Food Agro-Ind Special Issue : S18-23
    6. GNARES (2020) Accessed Aug. 2023, https://www.gnares.go.kr/startup/00001/00021.web?amode=view&idx=4008&cpage=625
    7. Guh JO , Kim CS , Oh CJ , Kuk YI , Kwon OD , Park KH , Lee SW (2015) The natural benefits of Korean flora: As for food relief and health care. Resource Plant Research Group, Seoul, pp 244-256
    8. Jang BK , Yeon SH , Lee SI , Park K , Jeong MJ , Cho W , Cho JS , Lee CH (2022) Seedling growth of Lythrum salicaria L. by soil types, plug tray cell size, number of seeds per cell, liquid fertilizer, and shading level. Flower Res J 30:113-120
    9. Jeon KS , Song KS , Kim DY , Choi KS , Kim CH , Park YB , Kim JJ (2015) Characteristics of root development of Allium thunbergii and Allium senescens seedlings by container size and shading treatment. Korean Soc Agri Mach 20:455-456 (Abstr)
    10. Jiku MAS , Alimuzzaman M , Singha A , Rahaman MA , Ganapati RK , Alam MA , Sinha SR (2020) Response and produ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by different levels of potassium fertilizer in farm soils. BNRC 44:1-9
    11. Kim CK , Oh JY , Kang SJ (2001) Effect of plug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 Hortic Sci Technol 42:167-170
    12. Kim TK , Kim HC , Song JY , Lee HS , Ko SH , Lee YM , Song CK (2015) Cutting propagation and seedling growth effect according to fertilizer application of Elsholtzia minima Nakai. Korean J Plant Res 28:243-252
    13.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22) Accessed Mar. 2023,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3049
    14. Ku HH , Lee SG , Chiang MH , Choi JL , Lee SE (2019) Effects of pH of soil medium on the growth and nutrient absorption of cultivated and native Chinese chives plants. Korean J Environ Biol 37:42-47
    15. Kwon HH , Oh HJ , Kim JH , Kim SY (2021) Development of raising seedling technology for Veronica pyrethrina Nakai using plug trays. J People Plants Environ 24: 499-507
    16. Lee SI , Yeon SH , Cho JS , Kim SY , Cho WW , Jeong MJ , Lee CH (2021) Effective techniques for seedling production of 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 Korean J Plant Res 34:470-477
    17. Lee WH , Lee SY , Kang JH , Lee TJ , Kim KS (2015) Effect of fertilizer levels and shading rate on seeding growth of Thalictrum species native to Korea. J Korean Env Res Tech 18:83-89
    18. Nongsaro (2023) Accessed Aug. 2023,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ZLQwIXORLx2txoEG4DtF2c90Zi6wM5oo5QKW4Ilh4w6n43V60G8exTt1V8IimLXU.nongsaro-web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22170
    19. Oh HJ , Kwon HH , Kim JH , Cho WW , Kim SY (2022) Growth characteristics by plug tray cell size, soil type, and fertilizer concentration for plug seedling production of Veronica pusanensis YN Lee. J People Plants Environ 25:143-152
    20. Oh HJ , Park YG , Park JE , Jeong BR (2014) Effect of cell size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plug seedling of three indigenous medicinal plants. J Bio-Env Con 23:71-76
    21. Park BM , Bae JH (2012)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Makino. J Bio-Env Con 21:281-285
    22. Park CH , Kim JM , Shin US , Jang BK , Choi HJ , Lim YJ (2022) Effect of holding solutions on cut flower quality and vase life of Allium spirale Willd. and A. pseudojaponicum Makino, native to Korea. Flower Res J 30:194-204
    23. Song KS , Jeon KS , Yoon JH , Kim CH , Park YB , Kim JJ (2014)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root development of Peucedanum japonicum seedling by shading rate and container siz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2:384-390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