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0 No.4 pp.166-171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2.30.4.01

The Growth of Chrysanthemum morifolium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Superabsorbent Polymer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배율에 따른 국화 생육

Young Hyun Kwon1†, Si Young Oh1†, Seung Hyuk Yang1, Seung Mo Kong2, Yang Ho Na1*, Yong Ha Rhie1*
1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Pai Chai University, Daejeon 35345, Korea
2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Hannam University, Daejeon 34054, Republic of Korea

권 영현1†, 오 시영1†, 양 승혁1, 공 승모2, 나 양호1*, 이 용하1*
1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2한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 Correspondence to Yong Ha Rhie Tel: +82-42-520-5018 E-mail: rhie@pcu.ac.kr
26/09/2022 14/11/2022

Abstract


Plant drought stress may be reduced by superabsorbent polymer (SAP) by improving the water retention of the soil and substr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rowth of Chrysanthemum morifolium with wat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the SAP.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automated irrigation system using a soil moisture sensor to measure the soil moisture. The SAP was mixed at 0 (control), 0.05, 0.1, and 0.2% of the volume ratio of the substrate,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of each treatment was kept constant at 0.50 m3・m-3. Plant growth was investigated using plant height, width, root length, and the days of flowering as variables. According to the SAP 0, 0.05, 0.1, and 0.2% treat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plant height, width, and fresh weight. However, the treatment of SAP 0.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in root dry weight. The total amount of water was 43.5, 37.2, 30.1, and 29.4 L in the treatments of SAP 0, 0.05, 0.1, and 0.2%,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rowth of chrysanthemums according to the amount of SAP under the same soil moisture conditions. Still, the amount of water used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through SAP by enhancing water holding capacity.




본 연구는 SAP를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분화 생산에 활용하고 SAP의 혼합 비율에 따른 물 사용량과 국화 의 생육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SAP를 배지의 부피비인 0, 0.05, 0.1, 0.2%로 섞었으며 각각의 처리구는 토양수분함 량 0.50m3・m-3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국화의 성장은 초장, 초폭, 뿌리 길이, 개화소요일수를 조사하였다. SAP 0, 0.05, 0.1, 0.2% 처리구에 따르면 식물체의 초장, 초폭, 생체중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하부 건물중에서 는 0.2% SAP 처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 기간 동안 SAP의 혼합 비율에 따라 사용되는 관수량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관수량은 0, 0.05, 0.1, 0.2% SAP 처리에서 각각 43.5, 37.2, 30.1, 29.4L이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토 양수분조건하에서 SAP의 양에 따른 국화의 생육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SAP를 통해 토양의 보수력을 향상시켜 사용되는 물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초록


    서 언

    토양수분은 식물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분이 부 족할 때 생리활성을 제한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수력 증진, 토 양구조 안정 및 물리성 개선 등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토양 의 유효수분 범위를 확대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Kim et al. 2013).

    고흡수성 폴리머(Superabsorbent Polymer, SAP)는 토양 의 보수력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방안으로 여겨진다. SAP는 흰 분말 형태이며 자기 무게의 200~1000배까지 물을 흡수하여 겔(gel) 상태가 되는 물질이다(Jang et al. 2021). SAP는 농 업, 원예분야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Kim et al. 2013;Lepoutre et al. 1976). SAP는 토양의 보수력을 증진 시키는 효과 뿐 아니라 토양구조의 공극을 만들어 토양의 물 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Po 1994). SAP는 토양용적수분함량 을 증가시키며 토양 표면에서의 증발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El-Dewiny 2011). 또한 수분흡수력과 수분보유력을 유지하 는 능력이 뛰어나 관수 횟수를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Akhter et al. 2004).

    국화는 국내외에서 인기가 높은 상업용 화훼작물로 우리 나라에서는 가을에 자연 개화하며, 화아형성과 발달이 짧은 일장에 의해 유도되는 대표적인 단일식물이다(Cathey and Borthwick 1961). 분화용 국화는 크게 가든멈과 포트멈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든멈은 주로 노지에서 가을에 한 작형만 집 중 출하되며, 포트멈은 시설 내에서 암막과 전조시설을 활용 하여 10cm 내외의 소형화분에서 연중 출하되는 재배특성이 있다(Won et al. 2012). 포트멈은 형태적으로 절화용 국화에 비해 분지성이 우수하며 절간길이가 비교적 짧은 초형을 가지 고 있다(Crater 1992).

    효율적인 물관리는 온실 재배에서 생산비용 절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화훼작물 재배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한편 토 양수분센서를 활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은 토양수분을 모니터링 하여 관수를 제어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Nemali and van Iersel 2006), 상업용 종묘장에서 일반적인 표준관 개와 토양수분센서를 사용한 관수를 비교하였을 때 물사용량 을 최대 83% 절약할 수 있다(Van Iersel et al. 2009).

    다양한 수분함량 내에서 국화의 최적 재배 연구가 진행되 었으며, 토양 수분장력이 -1.5 및 -3.5kPa로 유지되는 조건 이 국화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물 사용을 최소화하였다 (Lieth and Burger 1989). 가든멈 국화의 관행적인 재배 방 식과 토양수분센서를 통해 토양수분함량을 조절한 자동관수 시스템방식을 비교하였을 때 8~34.9%의 물을 절약할 수 있 었다(Rhie et al. 2018). 하지만 국화 재배에 SAP를 활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더욱이 토양수분센서를 활용한 자동 관수시스템내에서의 연구도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비율의 SAP를 배지에 첨가하고 분화용 국화인 ‘포트멈’의 생육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토양수분센서를 활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을 활용하여 SAP가 첨 가된 배지의 재배기간 물 사용량을 비교하고 물 사용 절감 효 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실험은 배재대학교 원예실습동 내에 있는 온실에서 실시 되었고, 지름 15cm인 화분에 원예용상토(Sunshine Mix#5, Sun Gro Horticulture, Agawam, MA, USA)를 충진하여 이식하였다. 식물은 한국자생식물 생산자협의회의 공급을 통 해 개화하지 않은 포트멈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Majestic’ 품종을 성묘 상태로 수급하였다. 초기 국 화의 초장과 초폭은 평균 14cm, 23cm였다. 온실의 실험기 간 평균온도는 23.5℃ 정도였으며, 습도는 75.5% 정도였다.

    고흡수성 폴리머

    SAP는 단량체로 N,N-dimethylacrylamide(DMAAm, Tokyo Chemical Industry, Japan)와 Potassium acrylate(KA)가 사용되었다. 이 때, KA는 27%(w/v)의 Potassium ccarbonate (Samchun, Korea) 수용액을 교반 하에 30%(w/v)의 아크릴산 (Sigma-Aldrich, Germany)수용액에 천천히 가하여 준비되었 다. 먼저, 증류수에 가교제(Laponite-XLG, BYK, Germany)와 가교 제의 박리를 위한 분산제(Sodium pyrophosphatetetrabasic, Sigma-Aldrich, Germany)를 첨가한 뒤, 두 단량체를 전체 반응 물의 20%(w/v) 및 3:7(KA:DMAAm)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에 개시제(Potassium persulfate, KPS, Sigma-Aldrich, Germany) 및 촉매 N,N,N’,N’-tetramethylethlylenediamine (TEMED, Sigma-Aldrich, Germany)을 첨가하여 최종적인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였다. 전구체 용액은 밀폐된 상태로 40℃의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자유 라디칼 중합이 이루어졌다. 중합이 완료된 SAP는 증류수에서 3일 간의 팽윤 과정을 통해 미반응 잔류물을 제거한 뒤에 사용되었다. 준비된 SAP의 팽윤도는 273.3±17.1(g/g)의 거동을 나타냈다(Fig. 1).

    자동관수시스템 설정

    자동관수를 위하여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방식의 토양수분센서(EC-5; Decagon devices, Pullman Washington, USA)를 이용하여 화분의 토양 수분을 VWC (Volumetric Water Content, v/v)로 측정하였다. 센서를 통하 여 측정된 값을 Data logger(CR1000; Campbell scientific, Logan, Utah, USA)내에 저장하였다. 측정된 수분이 설정한 값 보다 낮아지면 16ch Relay(SDM CD16AC/DC controller, Campbell scientific, Logan Utah, USA)로 전자밸브를 열어 점적호스(Aquadrip 3000, samin, hwaseong gyeonggi-do, Korea)를 통해 관수하였다. 관수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였으 며, 1회 관수시 400mL의 물이 관수 되도록 설정하였다. 다음 관수를 위한 측정은 관수가 끝난 시점에서 5분 이후로 설정하 여 관수 여부를 조절하였다. 토양수분센서 보정식은 Kang et al.(2019)의 VWC=0.1771mV-52.968, R2=0.99 보정값으로 사용하였다. 관수의 경우 POT당 점적핀으로 관수하였으며, 상토 용적수분함량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처리구당 토양 수분센서를 3개씩 꽂아 평균값을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관수 하였다. 초기 토양 VWC의 값은 가든멈 국화의 최적 생육 조 건 연구(Rhie et al. 2018)의 0.50m3・m-3을 기준으로 설정 하였다.

    실험 처리 및 통계분석

    SAP의 농도처리는 15cm 화분의 부피(1600mL)의 0, 0.05, 0.1, 0.2%를 배지에 섞었으며, 처리비율의 경우 기존에 상업 용으로 판매되는 토양보습제 제품인 테라코템(Terracottem, 테라그린, Korea)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토양수 분의 설정값은 0.50m3・m-3 조건으로 조성하였으며, 본 실험 은 4개처리를 3반복으로 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하였으며 각 반복마다 포트멈 국화 4개체를 이용하였다. 실험기간은 2021 년 9월 1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진행하였으며, 11월 17일에 수확하였다. 생육조사 평가항목으로는 초장, 초폭, 꽃수, 뿌리 길이, 생체중, 건물중, 개화소요일수였다. 건물중은 드라이 오 븐에서 80℃로 72시간 건조시킨 후에 측정하였다. 개화소요 일수는 전체 70%가 개화하기까지의 기간을 측정하였다. 통 계분석은 SPSS(SPSS 23.0, IBM Corporation, USA)으로 분산분석(ANOVA)하였으며, 유의한 경우에는 5% 유의수준에 서 Tukey’s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를 통해 사후검정 하였다.

    결과 및 고찰

    SAP 농도 처리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Fig. 2는 실험기간동안 토양수분센서를 통하여 VWC를 모 니터링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기간 동안 VWC 초기 설 정 값인 0.50m3・m-3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Kim et al.(2011)의 실험에서 페튜니아의 재배기간 동안 토양수분센서를 활용한 자동관수 시스템이 설정범위 0.40m3・m-3내에서 토양수분을 유지하였던 것과 동일하게 나 타났다. VWC가 처리에 따라 감소되는 것은 SAP 농도의 차이 로 토양수분이 다르게 조절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험에 서 VWC 설정값을 유지한 것으로 보았을 때, FDR 방식의 토 양수분센서와 자동관수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토양수분을 제어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SAP 농도 처리에 따른 식물 반응

    SAP 농도에 따른 국화의 초장, 초폭, 꽃수에서 유의적인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Fig. 3),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지상부의 건물중 또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1). 그 러나 지하부의 건물중은 SAP 농도 0, 0.05, 0.1, 0.2%에 따 라 1.3, 1.4, 1.5, 1.7g으로 0.2% SAP 고농도 처리구에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SAP의 팽윤도는 273.3±17.1 (g/g)로 부 피가 약 300배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SAP는 토양 구조를 단립구조에서 입단구조로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토양구조를 안정시켜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토 양 개량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Lee et al. 2001). 본 실험에 서도 SAP가 토양구조를 안정화하여 근권부의 생장을 촉진한 것으로 판단된다. 개화소요일수는 0, 0.05, 0.1, 0.2% SAP 처리구에서 각 20, 21, 21, 21일로 대조구와 1일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뿌리길이에서도 처리구 는 각각 26.5, 27.9, 28.9, 30.0cm로 SAP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길어지는 추세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Table 1).

    SAP 농도 처리에 따른 관수량 비교

    FDR 토양수분센서를 활용한 자동관수시스템으로 관수량을 측정했을 때, 실험기간동안 관수량은 SAP 농도 0, 0.05, 0.1, 0.2%에 따라 각각 43.5, 37.2, 30.1, 29.4L로 대조구에서 가 장 많은 물이 소비되었으며 0.1, 0.2% SAP 처리구는 대조구 에 비해 약 32% 정도 물 사용량이 절약되었다(Fig. 4). 이는 배지 내 포함된 SAP가 토양 수분 보유력을 향상시켰음을 보 여준다. 기존 연구에서 SAP가 혼합된 배지가 대조구에 비해 수분함량이 2.6~16.5% 높게 유지된다고 하였으며(Yun et al. 2016), Yoo et al.(1990)의 연구에서도 사양토, 양토, 양 질 사토의 수분 보유력이 SAP처리에 따라 증가되었다고 하였 다. Shahid et al.(2012)는 0.1~0.4%(w/w)의 폴리아크릴아 미드 기반 고흡수성 하이드로겔을 물과 함께 시용했을 때 사 양토의 수분 보유율이 약 60~100%까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 다. 이와 같이 SAP는 토양의 수분 보유력을 증대시키고 관수 빈도를 줄일 수 있다(Fonteno and Bilderback 1993). SAP 가 수분 보유력 향상뿐만 아니라 토양의 구조를 안정화하여 식물생육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추후 식 물에 따른 SAP의 최적 배합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SAP 농도 처리에 따른 국화의 생육 반응에서 초장, 초폭, 꽃수, 생체중, 건물중, 뿌리길이, 개화소요일수 등 모든 처리 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모든 처리간의 생육적인 차이가 없다고 말할 수 있으며, 실험기간동안 처리구에 따라 관수량의 차이만 나타났다. 따라서 화분재배시 SAP를 사용하 게 되면 관행관수법과 동일한 생육을 유지하면서 물 관수량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SAP가 근권부에 미치는 생리적 작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연구 과제인 ‘다기능 하이드로겔 기반 토양개량제의 개발(821068-3)’ 의 지원을 받아 수행됨.

    Figure

    FRJ-30-4-166_F1.gif

    Superabsorbent polymer before water absorption (A) and after water absorption (B).

    FRJ-30-4-166_F2.gif

    Changes in volumetric water content according to different Superabsorbent polymer concentrations in substrate.

    FRJ-30-4-166_F3.gif

    Plant height (A), plant width (B), and number of flowers (C) of Chrysanthemum morifolium ‘Majestic’ grown under different hydrogel concentrations. Vertical error bars represent SE (n = 9).

    FRJ-30-4-166_F4.gif

    Total amount of irriga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superabsorbent polymer in horticultural substrate. Bar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temperatur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ukey’s HSD test, p < 0.05). Vertical error bars represent SE (n = 3).

    Table

    Effects of different Superabsorbent Polymer (SAP)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Chrysanthemum morifolium ‘Majestic’ at 8 weeks after treatment.

    Reference

    1. Akhter J , Mahmood K , Malik K , Mardan A , Ahmad M , Iqbal M (2004) Effects of hydrogel amendment on water storage of sandy loam and loam soils and seedling growth of barley, wheat and chickpea. Plant Soil and Environ 50:463-469
    2. Cathey H , Borthwick H (1961) Cyclic lighting for controlling flowering of chrysanthemum. In Proc Amer Soc Hort Sci 78:545-552
    3. Crater GD (1992) Potted chrysanthemums, Introduction to floriculture.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p 249-287
    4. El-Dewiny C (2011)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y by squash grown under stress on sandy soil treated with acrylamide hydrogels. J Appl Sci Res 7:1828- 1833
    5. Fonteno W , Bilderback T (1993) Impact of hydrogel on physical properties of coarse-structured horticultural substrates. J Amer Soc Hort Sci 118:217-222
    6. Jang SN , Lee GO , Lee Sm , Yun JG , Shin H , Son KH (2021) Effect of super absorbent polymer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sunflower and amaranth sprouts. J Bio-Environ Cont 30:37-45
    7. Kang S , Van Iersel MW , Kim J (2019) Plant root growth affects FDR soil moisture sensor calibration. Sci Hort 252:208-211
    8. Kim J , Van Iersel MW , Burnett SE (2011) Estimating daily water use of two petunia cultivars based on plant and environmental factors. HortScience 46:1287-1293
    9. Kim JH , Oh DK , Yoon YH (2013) Effects of super absorbent polymer on the growth of vine plants. J Environ Sci Intl 22:801-810
    10. Lee KB , Lee DB , Moon SP , Kim MK (2001) Effect of chinese cabbage growth and change of nutrient and soil water on application of super water absorbent polymer. Kor J Soil Sci Fertilizer 34:350-357
    11. Lepoutre P , Hui S , Robertson A (1976) Some properties of polyelectrolyte-G rafted cellulose. J Macromol Sci Chem 10:681-693
    12. Lieth J , Burger D (1989) Growth of chrysanthemum using an irrigation system controlled by soil moisture tension. J Amer Soc Hort Sci 114:387-392
    13. Nelson PV (1991) Greenhouse operation and management.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14. Nemali KS , Van Iersel MW (2006) An automated system for controlling drought stress and irrigation in potted plants. Sci Hort 110:292-297
    15. Po R (1994) Water-absorbent polymers: a patent survey. Journal of Macromolecular Science, Part C: Polym Rev 34:607-662
    16. Rhie YH , Kang S , Kim DC , Kim J (2018) Production traits of garden mums subjected to various substrate water contents at a commercial production farm. Hort J 87:389-394
    17. Van Iersel M , Seymour RM , Chappell M , Watson F , Dove S (2009) Soil moisture sensor-based irrigation reduces water use and nutrient leaching in a commercial nursery. Proc Southern Nursery Assn Res Conf 54: 7-21
    18. Wang YT , Gregg LL (1990) Their response to soil amendments and effect on properties of a soilless potting mix. J Amer Soc Hort Sci 115:943-948
    19. Won MK , Pak HS , Choi WC , Kim DC , Choi TY , Yang ES , Lee EM (2012) A new pot chrysanthemum ‘Peace Angel’ with pink-colored anemone type petals. Hort Sci Technol 30:471-475
    20. Yoo SH , Kwun SK , Ro HM (1990) Effect of highly water absorbing polymer (K-sorb) on soil water retention. Kor J Soil Sci Fertilizer 23:173-179
    21. Yun TK , Son YH , Park JS , Kim DG (2016) Changes in soil water content and drainage characteristics with superabsorbent polymers amendment. Kor Soc Agr Eng 58:47-56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