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0 No.3 pp.136-144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2.30.3.08

Changes in Germination and Seedling Properties of Peatmoss and Perlite Mixes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for Ornamental Use
관상식물 활용을 위한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 L.)의 피트모스와 펄 라이트 비율에 따른 종자 발아와 육묘기 특성 구명

Seo Youn Lee, Ah Ram Cho, You Kyung Chung, Seo Hee Jung, Myung Syun Shim, Yoon Jin Kim*
Department of Horticulture, Biotechnology and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Women's University, Nowon-gu, 01797 Seoul, Korea

이 서연, 조 아람, 정 유경, 정 서희, 심 명선, 김 윤진*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 Corresponding author: Yoon Jin Kim Tel: +82-2-970-5614 E-mail: yj1082@swu.ac.kr
08/08/2022 14/09/2022 15/09/2022

Abstract


The cultivation of tropical and subtropical crops has increased in Korea, mainly in Jeju and the southern region, due to accelerated climate change.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is widely used as a landscaping plant due to its ornamental value in pod and leaf color of each variety and its edible value. We conducted seed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 to introduce new ornamental okra to urban agriculture as a rooftop greenhouse.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properties of okra were investigated in four different ratios of peatmoss (PT) and perlite (PL) mixes: PT:PL = 1:2, 1:1, 2:1, and 4:1.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st in the plants grown under PT:PL = 1:2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from 7 days after sowing (DAS).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width increased in the plants grown under PT:PL = 1:2 during the seedling period. The stem length and diameter, root leng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and leaf area had the highest values in the plants grown under PT:PL = 1:2 among the treatments from 28 to 70 DAS. The number of leaves decreased in the plants grown under PT:PL = 1:2, 2:1, and 4:1 from 56 DAS. The plants died in PT:PL = 1:1, 2:1, and 4:1 due to the excessive ratio of PT required by the plants. Hence, a medium comprising PT:PL = 1:2 is suitable for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okra.




기후 변화의 가속화로 국내 제주 및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열대 및 아열대 작물의 재배 및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오크라는 식용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품종별 고유의 꼬 투리와 잎의 색은 관상적 가치가 있어 조경 식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 내 옥상 온실에 관상식물인 오크 라를 도입하기 위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비율에 따른 기초 종자 발아 및 육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트모스와 펄라이 트 비율은 PT:PL=1:2, 1:1, 2:1, 4:1 네 가지로 조성하였다. 발 아율은 파종 후 7일차부터 다른 처리구에 비해 피트모스:펄라 이트=1:2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파종 후 28일차와 70일 차에 줄기길이, 경경, 뿌리길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은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파종 후 56일 이후부터 엽수는 피트모 스:펄라이트=1:2, 2:1, 4:1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피트모스: 펄라이트=1:1, 2:1, 4:1 처리구에서 식물이 필요로 하는 피트 모스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 높은 피트모스 비율로 인하여 수분함수량이 과도하게 높아 식물이 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오크라를 관상식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2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적합하다.



초록


    서 언

    기후변화로 인해 21세기 말에는 한반도의 기온이 현재보다 약 4°C 상승하여 면적의 17%가 아열대 기후구로 변한다(Lee et al. 2013). 이에 오크라와 망고, 참다래 등 아열대 농산물은 고수익성 상품으로 국내 제주 및 남해안 일대에서 주목받고 있다(Kim et al. 2019;Lee et al. 2013). 오크라는 아욱과 1년 생 혹은 다년생 초본성 작물로, 아프리카 동북부가 원산지인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채소이다(Ahn et al. 2011;Kim et al. 2015). 오크라는 외국에서 ladies finger로 알려져 있으며, 당 뇨병 예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기능이 있다(Ahn et al. 2011;Kumari et al. 2022).

    오크라는 꼬투리의 식용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꼬투리 색과 줄기, 잎자루, 잎맥과 큰 꽃이 관상가치가 있다(Lamont 1999). 오크라는 단풍나무와 비슷한 잎을 가지고 있으며, 여름 내내 꽃을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Dyer 2021). 국내에서는 오크라 파종 및 정식 시기, 적정 적심 방법 등에 대한 재배 연 구가 진행되었다(Ahn et al. 2011, 2012;Kim et al. 2013, 2015). 그러나, 오크라의 적정 발아와 공정육묘 조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국내 도입된 오크라는 ‘그린호프’와 ‘레드호 프’ 두 품종으로, 대부분 식용을 목적으로 재배한다. 오크라 종자는 종피가 단단하므로, 불규칙한 발아율을 보여 수확이 균일하지 못하다(Kashif et al. 2012). 따라서, 오크라를 국내 관상식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종자 발아 특성 및 육묘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건물 에너지를 활용하는 옥상 온실은 건물 옥상 빈 공간에 온실을 설치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 부하를 줄이며 작물 생산 에 필요한 에너지(냉·난방/이산화탄소)도 크게 절감할 수 있 는 스마트팜 기술이다(KIMM 2020). 옥상 온실은 토지 비용을 절감하고, 수경재배를 통한 물 사용 절감이 가능하지만(Pons et al. 2015), 옥상녹화 시 하중 증가에 따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Kim et al. 2004) 옥상 온실은 기후변화에 기민하게 대응 하여 안정적인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며, 외기로 버려지는 에너 지를 활용해 농작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다(Choi et al. 2020).

    최근 옥상 온실과 건물 사이의 에너지 해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는 추세이나, 관상식물을 옥상 온실에서 재배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없다. 옥상 온실 내 작물 재배에 있어 배지의 선 택은 합리적인 비용, 풍부한 자원, 가벼움, 안정적인 화학적 특성 및 적절한 수분 보유를 위해 중요하다(Shukla et al. 2021). 피트모스는 물질 내부에 많은 미세공극이 존재하기 때 문에 보수성이 높다(Choi et al. 2000). 피트모스는 공극률 증 가 및 공극 크기의 확대를 위해 다른 토양과 혼합하며, 보편적 으로 버미큘라이트 보다 강도가 높은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작 물 재배에 이용한다(Shim et al. 2016).

    따라서 오크라의 관상식물 활용을 위한 종자 발아 및 육묘 시 적정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토양 비율을 파악하고자 한 다. 본 연구 결과는 오크라의 옥상 온실 도입을 위한 기초 자 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및 재배환경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 L.) 종자(World Seed Co., Korea)는 파종 전 기온 25±1°C, 상대 습도 60±7%에서 24시 간 동안 증류수에 침지 처리하였다(Fig. 1). 서울여자대학교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스마트 유리 온 실 내에서 2022년 5월 2일 파종 이후 7월 12일까지 육묘하여 70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실 주간 온도는 발아 조사 기간인 26일차까지 25°C, 야간 온도는 15°C였다. 26일차 이후부터 온실 주간 온도는 30°C, 야간 온도는 20°C였다. 온실 평균 상대 습도 는 5월부터 6월 7일까지 약 50~70%, 6월 8일부터 실험 종료일인 7월 12일까지 평균 상대 습도는 약 80~90%였다(Fig. 2). 파종 후 7일까지는 수돗물(전기전도도 0.3dS·m-1, pH 6.0~6.5)로 저면 관수하였고, 이후에는 전 생육단계용 양액(Peters Professional, ICL Specialty Fetilizers, USA)을 이용해 전기전도도 0.5dS·m-1, pH 6.0~6.5로 저면 관수하였다.

    토양 조성

    토양 비율은 피트모스(Sunshine, Sun Gro Horticulture, Canada) 와 펄라이트(New Pearl Shine No. 1, GFC, Korea)를 혼합하여 각각 1:2, 1:1, 2:1, 4:1(v:v)의 4처리구로 구성하였다. 피트모스 와 펄라이트의 토양 혼합 비율에 맞추어 50구 플러그 트레이 (70mL/cell, 4.8×3.0×5.0cm)에 충진하여 1구당 1립씩 파종하였다.

    조사항목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토양 혼합 비율에 따른 오크라 발아율 은 파종 후 26일간 조사하였다. 초기 발아율(initial germination) 은 처리구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파종 후 7일차까지의 발아 율을 의미하며, 최종 발아율(final germination)은 더 이상 발아 율의 증감이 나타나지 않은 파종 후 22일차 시점의 발아율을 의미한다. 평균발아수(MDG, mean daily germination)는 1일당 발아종자수를 의미하며, 발아된 종자수를 조사한 날의 수로 나 누어 계산하였다[식(1)]. 평균발아일수(MGT, mean germination time)는 파종 후 발아까지 걸리는 평균일수를 의미하며, 치상 후 조사일수와 조사 당일 발아수의 곱의 합에서 총 발아수를 나누어 계산하였다[식(2)]. T50(days to 50% of germination of final germination rates)은 최종발아수의 50% 발아까지 소모된 일수를 의미한다[식(3)]. 발아균일도(GU, germination uniformity) 는 평균발아일수에서 치상 후 조사 일수를 뺀 제곱값에 조사 당일 발아수를 모두 더한 후 총 발아수에서 1을 뺀 값으로 나누 어 계산하였다[식(4)].

    · ​MDG = N / T
    (1)

    · ​MGT =  Σ ( Ti × Ni ) / N
    (2)

    · T 50  = Ti 50  + [((N + 1)/2 - Ni 50 )/ (Ni 50  - Nj 50 ) × (Ti 50  - Tj 50 )]
    (3)

    · GU = Σ [ ( MGT Ti ) 2 Ni ] / ( N 1 )
    (4)

    (N: 발아 조사 종결일까지의 총 발아수, T: 총 조사일수, Ti: 치 상 후 조사일수, Ni: 조사당일 발아수, Ti50: Ni50 시점까지 소요 된 발아기간, Ni50: N에 대한 50% 발아 직전까지의 총 발아수, Nj50: N에 대한 50% 발아 직후까지의 총 발아수, Tj50: Nj50 시 점까지 소요된 발아기간)

    오크라 묘 생육은 파종 후 28일차부터 70일차까지 처리구별 7개체를 선정해 7일 간격으로 초장, 엽수, 엽장, 엽폭을 측정하 였다. 파괴 조사는 처리구별 5개체씩 임의 선정하여 파종 후 28일차, 70일차에 경경, 줄기 길이, 뿌리 길이, 지상부와 지하부 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엽면적은 Image J 소프트웨어(NIH,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지상부와 지 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전자저울(PAG213, OHAUS Co.,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물중은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 누어 60°C의 드라이오븐에 7일간 건조한 뒤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실험구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비율에 따른 4처리구를 5반복 하였으며, 반복 당 50개체씩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실험 결과 는 R프로그램(ver.4.2.0, Development Core Team, Austria)을 이용해 통계처리를 하였다. 각 처리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Duncan 다중검정법(p<0.05)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래프는 Sigma plot 10.0 프로그램(SigmaPlot Software, USA)를 이용해 작성하였다.

    결과 및 고찰

    원예작물 육묘는 피트모스 등 유기물과 여러 토양 종류를 혼합해 배양토의 물리성과 화학성이 적절하게 조절된 배양토 를 재배에 이용한다(Oh and Kim 2007). 오크라의 발아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파종 후 5일차와 실험 종 료까지 각각 18.8%와 76.4%이며, 다른 처리구에 비해 파종 5 일차부터 실험 종료까지 가장 값이 컸다(Fig. 3). 피트모스:펄 라이트=4:1 처리구의 발아율은 파종 후 7일차에 15.2%였지만,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34.8%로 유의하게 높았으 며, 이러한 경향은 발아 종료까지 유지되었다. 파종 후 22일차 의 오크라 최종 발아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76.0%로 나타났다(Table 1). 선행 연구에 따르면, 오크라 종 자 발아율은 6시간 동안 그늘에 건조해 24시간 침지 처리했을 때 54.17%였으며(Lamichhane et al. 2021), 25°C 암조건에서 24시간 침지 처리했을 때 75%로 나타나는 등 (Sharma et al. 2014) 전처리 시 환경조건에 따라 발아율에 차이가 나타났다. 오크라 종자 발아율은 평균 온도 18°C에서 24시간 침지 처리 했을 때 95%로 0, 6, 12, 36시간 침치 처리한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Sikhondze and Ossom 2011). 이처럼 오크라 종자 발 아율은 침지 처리 시 온도, 광도 및 건조 방법 등 환경에 영향 을 받기 때문에, 추후 오크라 종자 침지 처리 시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처리한다면 발아율이 향상될 것이다.

    오크라 종자의 초기 발아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 구에서 34.8%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15.2~23.2% 증가했다. 오크라의 평균발아수는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1.47립으로 피트모스:펄라이트=1:1 처리구 1.25립, 피트모스: 펄라이트=2:1 처리구 1.19립, 피트모스:펄라이트=4:1 처리구 0.84립에 비해 우수했다(Table 1). 오크라의 평균발아일수와 T50은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각각 7.99일과 6.29 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2일 정도 빨랐다(Table 1). 오크라 종자의 발아균일도는 피트모스:펄라이트=1:2와 피트모스:펄라 이트=4:1 처리구에서 각각 8.70과 24.80으로 나타났다(Table 1). 피트모스:펄라이트=1:2 의 경우 피트모스:펄라이트=1:1, 2:1, 4:1 처리구에 비해 종자 발아가 균일한 상태로 촉진되었 다. 고추, 배추, 수박 및 오이의 발아와 초기 생장을 위한 배 양토 분석 시 피트모스 pH는 4.9, 펄라이트 pH는 6.5로 피트 모스가 비교적 토양 산도가 높은데, 산성 조건에서는 토양 화 학평형의 변화로 인하여 발아가 균일하지 않고 특정 무기 원 소 결핍 등의 생리장해를 일으킬 수 있다(Oh and Kim 2007). 본 연구에서 피트모스 비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1:2, 1:1, 2:1, 4:1 처리구 순으로 높아진다. 오크라 재배 시 적정 토양 pH는 6.0~6.5다(RDA 2019). 피트모스:펄라이트=1:1, 2:1, 4:1 처리구에서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 비해 피트모스 함량이 높아, 토양 산성화로 오크라의 발아율이 낮아졌을 가 능성이 있다. 오크라 재배를 위한 토양 연구는 유기 개량제 및 광물질 비료가 발아와 유묘에 미치는 영향이나 발아 증진 을 위한 종자 전처리에 대한 연구(Naz et al. 2012;Sharma et al. 2014;Sarma and Gogoi 2015;Velempini et al. 2003) 등 이 진행된 바 있으나, 발아를 위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비율 에 따른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오크라 종자는 피트모 스의 비율이 높은 경우 발아가 저조했기 때문에, 토양 pH가 낮은 경우 석회를 시용하는 등 지속적인 산도 관리가 필요하다.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파종 후 70일차에 오크 라의 초장, 엽장, 엽폭은 각각 11.9cm, 51.5cm, 52.1cm였다 (Fig. 4).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에서 초장, 엽장, 엽폭 은 파종 후 28일 이후부터 70일까지 꾸준히 증가했지만, 엽수 는 파종 후 56일째부터 감소했다(Fig. 4). 여름철 고온기에 장 마가 지속될 때는 광합성량이 부족하다(Aljibury and May 1970;Lee et al. 2010a). 여름철 장마 기간의 단기간 과습으로 인해 식물의 뿌리는 짧고, 약해져 목질 피층 세포의 목화 또는 목전화가 일어나 양·수분 흡수가 저해될 수 있다(Lee et al. 2010b). 오크라의 종자 및 육묘 시, 온실의 5월부터 6월 7일까 지 평균 상대 습도는 약 60%였으나, 이후 실험 종료까지 평균 상대 습도는 약 80~90%였다(Fig. 2). 실험 후반부 생육 저조 원인은 장마철 습도 증가로 뿌리의 생육이 저하되고, 줄기 하 단부터 잎이 고사해 엽수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험 환경조건의 영향으로 오크라 묘는 피트모스:펄라이트 =1:1 처리구에서 파종 후 56일차에 전체 고사하였고, 피트모 스:펄라이트=2:1 처리구와 피트모스:펄라이트=4:1 처리구에서 파종 후 70일차에 모두 고사했다(Fig. 5, Table 2). 피트모스 는 다량 유기물을 함유하고 양이온교환능력과 보비력이 우수 하지만(Argo 1998), 토양 친화력이 낮아 근권부 활착에 문제 가 발생할 수 있다(Kim 2003). 또한, 피트모스는 내부에 많은 미세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수성이 매우 높다(Choi et al. 2000). 피트모스 단일처리구는 수분함량이 43.40%로 피트모 스와 펄라이트 혼용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분함량을 가지고, 가밀도와 진밀도 모두 낮은 값을 보인다(Kim and Kim 2011). 피트모스가 첨가된 토양은 산꼬리풀의 지하부 과습 및 근권부 활착의 저조를 야기하여 생육이 억제될 수 있다(Lee et al. 2020). 이러한 연구결과는 피트모스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생 육이 저하되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오크라는 생육 특성 상 과습을 싫어하고, 배수가 잘 되어야 하며, 유묘기에 과습할 경우 입고병이 발생하므로 배수 대책을 철저히 해야 한다 (RDA 2019).

    오크라의 경경, 줄기 길이, 뿌리 길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면적은 파종 후 28일차에 피트모스:펄라 이트=1:2 처리구에서 높았다(Table 2). 오크라 묘는 파종 후 70일차에 피트모스:펄라이트=1:2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 리구에서 고사했다(Fig. 5, Table 2). 부산꼬리풀의 초폭, 마디 수, 생체중은 피트모스:펄라이트=4:1 처리구에서 각각 피트모 스:펄라이트=1:1, 3:1 비율에 비해 증가했다(Oh et al. 2021). 딸기 수경재배용 상토에서 피트모스에 펄라이트를 혼합하면 용기용수량이 낮아지고 기상률이 높아진다(Kim et al. 2020). 적합한 토양 통기성과 보수성은 식물 종류에 따라 다르며, 오 크라의 경우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2로 혼합한 비율이 적 합하다고 판단된다.

    오크라는 점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관상식물로 원활한 재배를 위해서는 발아와 육묘기의 토양 연구가 반드 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심 내 옥상 온실 도입이 가능한 관상식물인 오크라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토양 조성 시 발 아와 유묘 특성을 파악하였다. 오크라 육묘 시 피트모스 비 율 증가는 생육을 억제하기 때문에 발아 혹은 육묘 단계에서 피트모스 비율이 높은 배지는 오크라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 오크라를 관상식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피트모스와 펄라이 트르 1:2로 혼합한 배지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것이 가장 적 합하다.

    사 사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 원(KETEP)의 지원(No. 20212020800050)과 2022년도 서울여 자대학교 산학협력특별연구비(2022-0076)의 지원을 받았음.

    Figure

    FRJ-30-3-136_F1.gif

    Seed coat (A and C) and seed cross-section (B and D)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A and B were non-treated seeds. C and D were soaked seeds in distilled water for 24 h.

    FRJ-30-3-136_F2.gif

    Maximum, average, and minimum values of temperature (A), relative humidity (B), and light intensity (C) in the greenhouse from May 2 to July 12, 2022 (70 days).

    FRJ-30-3-136_F3.gif

    The seed germination rate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cultivated with the volume ratio of the peatmoss (PT):perlite (PL) of 1:2, 1:1, 2:1, and 4:1 from 0 to 26 days after sowing.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n = 5).

    FRJ-30-3-136_F4.gif

    The plant height (A), number of leaves (B), leaf length (C), and width (D)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cultivated with the volume ratio of the peatmoss (PT):perlite (PL) of 1:2, 1:1, 2:1, and 4:1 from 28 to 70 days after sowing. The foliage leaf was not appeared in the plants grown in the PT:PL=1:1, PT:PL=2:1, and PT:PL=4:1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n = 7).

    FRJ-30-3-136_F5.gif

    Growth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cultivated with the volume ratio of the peatmoss (PT):perlite (PL) of 1:2, 1:1, 2:1, and 4:1 from 28 (A) and 70 days after sowing (B). All plants in the PT:PL=1:1, PT:PL=2:1, and PT:PL=4:1 treated group di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able

    Germination percentage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cultivated with the volume ratio of the peatmoss (PT):perlite (PL) of 1:2, 1:1, 2:1, and 4:1.

    The stem length and diameter,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and leaf area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cultivated with the volume ratio of the peatmoss (PT):perlite (PL) of 1:2, 1:1, 2:1, and 4:1 at 28 and 70 days after sowing.

    Reference

    1. Ahn YK , Kim SH , Seong KC , Moon DK (2011) Development of optimal pruning method on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production. J Bio-Environ Control 20:58-60
    2. Ahn YK , Seong KC , Kim SH (2012) Effect of different sowing time on the yield and plant growth for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production. J Bio-Environ Control 21:267-270
    3. Aljibury F , May D (1970) Irrigation schedules and production of processed tomatoes on the San Joaquin Westside. Calif Agric 24:10-11
    4. Argo WR (1998) Root medium physical properties. Hort Technol 8:481-485
    5. Choi JM , Chung HJ , Choi JS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used as container media. Hort Sci Technol 18:529-535
    6. Choi SM , Lim BJ , Lee YW , Do KH (2020) Energy analysis of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estimation of a small hotel with an integrated rooftop greenhouse. Air-Cond Refrig Eng 32:497-509
    7. Dyer MH (2021) Ornamental okra plants: Tips on growing okra in containers and garden beds. Accessed Jul. 2022, https://www.gardeningknowhow.com/edible/vegetables/okra/ornamental-okra-plants.htm#:~:text=What%20is%20Ornamental%20Okra%3F,summer%20until%20the%20first%20frost
    8. Kashif SUR , Yaseen M , Raza H , Kirn A (2012) Improving seed germination and green pod yield in okra (Hibiscus esculentus L.) using calcium carbide-a new source of ethylene. J Plant Nutr 35:2024-2036
    9. Kim CY , Kim YH , Han SH , Ko HC (2019) Current situations and prospects on the cultivation program of tropical and subtropical crop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2:45-52
    10. Kim HS , Kim KH (2011)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ubstra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Korean J Soil Sci Fertili 44:321-330
    11. Kim LY (2003) Characteristics of coco-peat and peat-moss. Korean J Soil Sci Fert Soil Fert, pp 14-21
    12. Kim SS , Seo KH , Kim HY , Kang BH (2004) A study on the live load according to composition of the planting base of green roof. Korean Inst Build Constr 4:85-90
    13. Kim YS , Park IS , Park MS , Choi JM (2020) Phys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substrates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strawberry. Hort Sci Technol 38:499-511
    14. Kim YS , Yoo MB , Go HS , Kim TS , Kim CH , Seong KC (2015) Effect of pinching times on growth and yield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in rain shielding vinyl houses. Prot Hort Plant Fact 24:119-122
    15. Kim YS , Yoo MB , Nam CW , Kim TS , Kim JS , Seong KC , Rhee HC (2013) Effects of plant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in rain shielding vinyl house of Busan area. Prot Hort Plant Fact 22:298-302
    1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KIMM) (2020) Develop of rooftop WISE farm technologies utilizing building energy. Accessed Jul. 2022,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2000008571&dbt=TRKO&rn=
    17. Kumari S , Meena ML , Moond SK , Mandeewal RL , Kalirawna A , Kalirawna S (2022)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vegetative growth and flowering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Int J Environ Clim Chang 12:67-72
    18. Lamichhane A , Mamata KC , Shrestha M (2021) Effect of seed priming on germination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var. Arka Anamika). Malays J Sustain Agric 5:111-114
    19. Lamont WJ (1999) Okra-A versatile vegetable crop. Hort Technol 9:179-184
    20. Lee HC , Seo TC , Choi GL , Roh MY , Cho MW (2010) Effect of air humidity and water content of medium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disorder of paprika in summer hydroponics. J Bio-Environ Control 19:305-310
    21. Lee HJ , Kim SY , Kim YS , Jeon SG (2013) Outlook for consumption of subtropical vegetables and required cultivation area. Korean J Agric Sci 40:425-434
    22. Lee JE , Kim HS , Kwon YU , Jung GH , Lee CK , Yun HT , Kim CK (2010) Responses of root growth characters to waterlogging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Korean J Crop Sci 55:1-7
    23. Lee SI , Yeon SH , Cho JS , Jeong MJ , Lee CH (2020) Optimization of cultivation conditions on effective seedling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Prot Hort Plant Fact 29:181-188
    24. Naz A , Jamil Y , Haq ZU , Iqbal M , Ahmad MR , Ashraf MI , Ahmad R (2012) Enhancement in the germination, growth and yield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using pre-sowing magnetic treatment of seeds. Indian J Biochem Biophys 49:211-214
    25. Oh HJ , Kwon HH , Kim JH , Cho WW , Kim SY (2021) Growth characteristics of Veronica pusanensis Y.N.Lee. seedlings by soil composition. Hort 2:145-146 (Abstr)
    26. Oh TS , Kim CH (2007) Effect of the mixing ratio of pot media on the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in vegetable crops. Korean J Org Agric 15:319-330
    27. Pons O , Nadal A , Sanyé-Mengual E , Llorach-Massana P , Cuerva E , Sanjuan-Delmàs D , Muñoz P , Oliver-Solà J , Planas C , Rovira MR (2015) Roofs of the future: Rooftop greenhouses to improve buildings metabolism. Procedia Eng 123:441-448
    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9) Agricultural technology guide: 048. Western vegetables. Jeonju, Korea, pp 309-323
    29. Sarma B , Gogoi N (2015)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as influenced by organic amendments. Cogent Food Agric 1:1-6
    30. Sharma AD , Rathore SVS , Srinivasan K , Tyagi RK (2014) Comparison of various seed priming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seedling vigour and fruit yield in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Sci Hort 165:75-81
    31. Shim CY , Kim CH , Park IS , Choi JM (201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blends of peatmoss and perlite and the selection of rooting media for different growing seasons. Hort Sci Technol 34:886-897
    32. Shukla K , Mishra R , Sarkar P (2021) Understanding soilless engineered soil as a sustainable growing material for food production in a green roof. Mater Today: Proc 43:3054- 3060
    33. Sikhondze DK , Ossom EM (2011) Impact of priming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seeds on seedling performance in Swaziland. Adv Environ Biol 1:1221-1229
    34. Velempini P , Riddoch I , Batisani N (2003) Seed treatments for enhancing germination of wild okra (Corchorus olitorius). Exp Agric 39:441-447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