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9 No.4 pp.263-271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1.29.4.07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y of Standard Cut Flowers of Rosa hybrida L. Distributed in Korea
국내 유통 스탠다드 절화 장미의 품질 비교 분석

Hye Min Park, Ae Kyu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116, Korea

박 혜민, 이 애경*
단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과 환경원예학전공
* Corresponding author: Ae Kyung Lee Tel: +82-41-550-3646 E-mail: akleekr@dankook.ac.kr
12/08/2021 08/10/2021 18/10/202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ternal and external qualities of six cultivars of red and pink cut roses in the distribution in South Korea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cultivars. The analysis of the external qual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dark red Korean cultivar ‘Fuego’, usually cultivated and distributed domestically, blooms well until aging with increased flower width and full blooming flowers compared to the imported cultivars Colombian ‘Freedom’ and Ethiopian ‘Upper Class’. Additionally, the vase life of ‘Fuego’ was approximately 3 days longer than that of the two imported cultivars due to slower aging; it presented fewer changes in flower color and a strong fragrance. The pink Korean cultivar ‘Hera’ also showed full blooming, approximately 3 days longer vase life, and less change in flower color than the imported cultivars ‘Mandela’ and ‘Visu’. The internal quality analysis revealed that all six red rose cultivars presented a decreasing tendency after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Both ‘Fuego’ and ‘Hera’ absorbed less water than ‘Upper Class’ and ‘Visu’, but the water bal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the sugar content in flowers and the bacterial test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rk red Freedom, indicating a poor internal quality, whereas ‘Fuego’ and ‘Upper Cla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the flowering stage, chlorophyll content, sugar content in flowers and leaves, and vase life of cut flowers presented a positive correlation. Overall, it is necessary to use an appropriate preservation solution for dark red ‘Fuego’ and pink ‘Hera’ to facilitate water absorption and increase the flower width to strengthen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these cultivars.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스탠다드 절화 장미의 품 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국내에서 재배되어 유통되는 품종과 수입되고 있는 대표적인 품종을 대상으로 외∙내적 품질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적 품질 분석 결과, 국내에서 주로 재배 되는 적색 장미 ‘Fuego’ 은 국내로 수입되고 있는 콜롬비아산 ‘Freedom’, 에티오피아산 ‘Upper class’ 과 비교 시 노화 시점 까지 개화가 지속되어 화폭이 증가하고 꽃이 만개하였으며, 노화 발생이 적어 절화수명이 3일 이상 연장되었다. 분홍색 장미 또한 ‘Hera’와 콜롬비아산 ‘Mandela’, 에티오피아산 ‘Visu’ 와 비교 시 수명이 다소 연장되었으며, ‘Fuego’, ‘Hera’ 모두 향기가 다소 진하였다. 내적 품질 분석 결과, 절화수명과 유사 하였으나, 적색과 분홍색 장미 모두 에티오피아산 품종의 수 분 흡수량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박테리아 발생량은 유의차 가 없었으며 ‘Fuego’는 꽃의 당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개 화단계, 엽록소 함량, 꽃과 잎의 당 함량과 절화수명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적색 장미 ‘Fuego’는 수입산 절화 와 비교 시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수분 흡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농가에서 채화하는 직후부터 소 비자 판매단계까지의 단계적정 보존용액 처리가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초록


    서 언

    절화 장미는 꽃의 크기, 모양, 색, 향기와 같은 관상용 특성 이 매우 가치 있는 중요한 작물로(In et al. 2017) 소비자들에 게 심미적 만족감을 준다(Kim et al. 2018). 주로 선물과 행사 용으로 사용되어 다양성이 요구되며(RDA 2018), 새로운 화형 과 화색을 추구하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Kim et al. 2020) 신품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Park et al. 2019). 국내 에서 유통되는 장미의 품종 수는 약 200여 개 이상으로 알려 져 있으며(Kim et al. 2020), 계절과 특정시기에 상관없이 연 중 소비되어 타 품목에 비해 소비 트렌드가 빠르다(Cheong et al. 2019). 또한, 절화 장미는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절화 중 하나로 지속적인 수요가 이루어지고 있어(Park et al. 2013), 재배량과 판매액이 높은 작물이다(MAFRA 2020).

    국내 절화 장미는 내수용과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나 COVID-19 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한 경제상황 악화로 2010년 3,795톤에서 2019년 372톤으로 90% 이상 수출량이 급감함에 따라(KATI 2019), 생산량의 대부분이 내수용으로 거래되고 있 다. 그러나 절화 장미의 수입량은 2010년 7.8톤에서 2019년 426.2톤으로 약 55배 증가하였으며(KATI 2019), FTA 체결로 인해 관세가 인하될 시 수입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고되었 다. 또한, 절화 장미는 국내 3대 절화 중 하나로 연중 재배되 고 있는 주 생산품목이자 주 수입품목이 일치하는 작물이기 때문에 수입산 절화의 증가는 국내 절화 장미 생산 농가에 미 치는 영향이 크다(APQA 2019;MAFRA 2020).

    국내 화훼 시장은 소비기반이 탄탄하지 않기 때문에 국내 절 화 생산 농가의 경영악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Agrinet 2016), 생산자의 절화 판매 수익 대비 생산비가 높아 농가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 품질관리가 미흡해 신선한 절화 장미를 제공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Agrinet 2020). Park et al.(2020)에 의하면 소비자는 절화 구매 시 원산지, 품종보다는 품질을 보고 선택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화의 외적요소 뿐만 아니라 신선 도를 고려하여 구입하기 때문에(Mladenović et al. 2020) 수확 후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절화 장미를 판매하고 있는 도 매업자 인터뷰 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맞추기 위해 국내 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을 제외하고 수입품종을 선택한다고 대답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장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 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절화 장미의 품질 분석이 필요한 실정 이다.

    절화의 품질 기준은 다양하며, 질적(내병성, 외관 상해 등), 양적(생체중, 초장, 엽수, 외형적 크기), 감각적(외관, 화색, 향 기, 질감) 등의 특성이 있다(RDA 2018). 장미 농업기술길잡이 를 살펴보면 Conover의 외형적 평가 요소로 꽃과 줄기에 손 상이 없고, 외관은 노화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제시 되어 있다. 또한, 꽃의 크기와 줄기의 비율이 적절하며, 선명 하고 균일한 꽃색, 황백화나 괴사가 일어나지 않은 잎 등을 말 하였다. 이 외에도 내수용 절화 장미는 꽃의 크기, 색상과 모 양, 줄기의 굵기, 유통 시 개화정도 등에 의해 특, 상, 보통으 로 구분된다(NAQS 2019). 이러한 요소들은 수확 시 유통단계 에서 외적으로 판단이 가능하나, 절화의 만개, 수분 흡수정도, 절화수명 등은 소비자가 구입한 이후 평가된다(RDA 2018).

    국내 장미 연구는 수출용 장미의 재배환경 특성과 절화수명 의 상호관계 분석(Yeon and Kim 2016), 수출 시 수송환경에 따른 품질분석(Oh et al. 2017), 수확 후 관리 실태 및 오염도 분석(Lee et al. 2018), 습식용액 처리에 따른 수명연장 효과 (Lee and Kim 2019) 등 수출을 목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고품 질 장미를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내수용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는 계절에 따른 재배환경 분석만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두 국내에서 재배된 절화 장미를 대상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현재 aT 화훼공판장을 기 준으로 국내 절화 장미 시장은 적색 계열 63%, 스탠다드 대형 품종 70%로 적색의 대형 품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Cheong et al. 2020), 대형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Park et al.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성이 넓은 적색 계열의 품종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절화 장미의 외・내적 요인 을 구분하여 품질 분석을 통해 국내산 품종과 수입산 품종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공시재료

    공시재료는 aT 화훼공판장 경매실적을 기준으로 판매량과 도매시장에서의 유통량이 많은 절화 장미 품종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생산 후 유통되고 있는 ‘Fuego’, 콜롬비아 에서 수입된 ‘Freedom’, 에티오피아에서 수입된 ‘Upper Class’ 등의 적색 품종과 국내산 ‘Hera’, 콜롬비아산 ‘Mandela’, 에티 오피아산 ‘Visu’ 등의 분홍색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공시 재료는 강남고속버스터미널 화훼상가에서 구매하였으며, 외관 상의 상처 유무, 총 길이와 줄기 두께를 측정하여 균일한 시료 를 선정하였다. 또한, 물관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동일한 조 건에서 비교하기 위해 줄기를 45cm로 재절단한 후 하위 15cm 의 잎들을 제거하였다. 절단한 절화 장미는 특성 비교를 위해 증류수 500mL가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꽂아 5반복 실시하였 다. 자연 증발량 손실을 줄이기 위해 삼각 플라스크 입구 부 분을 알루미늄 호일로 밀봉하였다.

    외적 특성 분석

    외적 특성은 농가 출하 이후 경매 또는 매매 당시 눈으로 보이는 특성으로 개화단계, 화폭 변화율, 노화 양상, 화색 변 화, 절화수명 및 향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화단계의 경우 절 화 특성에 맞추어 3단계로 설정하였으며, 50% 미만 개화 시 1단계, 80% 미만 개화 시 2단계, 꽃잎이 모두 벌어져 만개하 는 경우를 3단계로 설정하였다. 노화는 위조(wilting), 갈변 (browning), 청변화(bluing), 꽃목굽음(bent neck), 꽃잎 탈리 (petal abscission), 엽황화(leaf yellowing)를 조사하였다. 화 색 변화는 색차계(CR-4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 였으며, 측정기에 의해 자동 계산된 Hunter value L(lightness 100, darkness 0), a(+red, -green), b(+yellow, -blue) 값을 이 용하여 아래의 식을 통해 총 색의 차(total color difference value, E)를 계산하였다.

    Δ E = [ ( Δ L ) 2 + ( Δ a ) 2 + ( Δ b ) 2 ] 1 / 2

    • L = Lt(노화시점) - L(실험 첫날)

    • a = at(노화시점) - a(실험 첫날)

    • b = bt(노화시점) - b(실험 첫날)

    절화수명은 노화현상이 20% 발생했을 때를 1단계, 50% 발 생은 2단계, 50% 초과 발생은 3단계로 정하여 2가지의 노화현 상이 2단계 이상 발생된 시점을 절화수명일로 정하였다. 향기 분석을 위해 꽃잎을 여러 장 겹쳐 펀칭한 후 얻은 1g의 시료 를 20mL vial에 넣은 상태에서 headspace analysis 방법으로 향기를 포집하였으며, 전자코(HERACLESS II Electronic Nose, Alpha MOS, France)를 이용하여 Table 1과 같은 조건에서 분 석하였다.

    내적 특성 분석

    내적 특성은 소비자가 절화를 구입한 이후 판단 가능한 생 체중, 흡수량, 수분균형, 엽록소 및 당 함량, 박테리아 검정을 실시하였다. 생체중 변화율은 실험 첫날을 기준으로 계산하 였으며, 흡수량은 전날 무게(용기+용액 무게)에서 당일 무게 (용기+용액 무게)를 뺀 값으로 계산하였다. 수분 균형은 생체 중 변화율과 수분 흡수량을 통해 분석하였다. 엽록소 함량 측 정은 chlorophyll meter(SPAD-502, Minolta, Japan)을 이용하 였으며, 절화의 잎을 무작위로 3반복 측정하였다. 당 분석은 phenol-sulfuric acid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Nielsen, 2010), 꽃과 잎을 각각 분석에 사용하였다. 시료 추출은 80% 에탄 올을 가하여 g당 mL로 10배 희석하여 균질기(T18D, IKA, Germany)로 균질 후 감압농축(N-1200A, EYELA, Japan) 하였 다. 추출된 농축액 1mL와 80% 페놀 0.05mL, 황산 5mL를 혼합 한 후 실온에 10분 방치한 뒤 분광광도계(Libra S22, Biochrom, UK)를 이용하여 49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lucose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값은 단위를 mg·mL-1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박테리아 검정은 45cm로 재 절단된 절화 줄기의 절단 부위에 3M Pipette Swab(3M Korea Ltd, Korea)을 사용하여 스왑봉을 이용해 용액을 묻혀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이 채취된 스왑봉은 피펫 스왑에 다 시 넣어준 뒤 뚜껑을 완전히 닫은 후 균질화를 위해 가볍게 흔들어 주었다. Petrifilm(3M Korea Ltd, Korea)의 중앙부분에 1회 분주(1mL)샘플을 균질하게 퍼트려 주기 위해 일반세균용 3M 누름판(3m Korea Ltd, Korea)를 사용하여 천천히 눌러 주었다. 분주된 Petrifilm은 37℃의 항온기(HSD-80, Haneul Science, Korea)에서 24시간 배양하였으며, Petrifilm에 붉게 배양된 균의 개수를 조사하였다. 균의 수가 300개 이상일 시 한 군락에 발생한 균의 개수를 조사한 뒤 균이 발생한 군락을 곱하여 계산하였다.

    통계분석

    수집된 실험 데이터의 유의성은 SPSS 25.0(IBM Inc.,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uncan의 다중검정법으로 p≤ 0.0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절화 장미의 향기 분석을 위해 극 성과 비극성 두 개의 컬럼으로 분석한 후 Alpha MOS의 통계 프로그램인 Alpha Soft(Alpha Mos, France)를 이용하여 PCA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외적 특성

    국내 유통 절화 장미의 개화단계를 조사한 결과(Table 2), 콜롬비아산 ‘Freedom’, 에티오피아산 ‘Upper Class’, 국내산 ‘Fuego’ 등 적색 품종들 간에는 실험 3일까지 1단계 수준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실험 7일 ‘Upper Class’는 2.7단계로 만개 인 3단계에 가까웠다. 분홍색 장미 또한 실험 3일까지 품종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이후 콜롬비아산 ‘Mandela’ 품종이 실험 종료일까지 1.9단계로 개화가 진행되지 않았고, 국내산 ‘Hera’는 2.9단계로 개화가 진행되면서 만개에 가까워졌다. 화 폭 변화율 조사 결과(Fig. 1), 적색 장미는 개화단계가 가장 높 았던 ‘Upper Class’의 화폭 변화율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분홍색 장미는 실험 7일까지 품종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절화수명과 노화 양상을 조사한 결과(Table 3), 적색 장미 의 절화수명은 ‘Fuego’ 7.8일, ‘Upper Class’ 5.8일, ‘Freedom’ 4.6일로 유의차를 보였다. 절화수명이 가장 짧았던 ‘Freedom’ 은 꽃과 잎의 위조, 꽃목굽음, 청변화, 갈변, 엽황화가 100% 발생하여 관상가치가 매우 낮아졌다. 또한, 실험 첫날과 노화 시점인 실험 7일의 E 값을 분석한 결과, 적색 장미 ‘Upper Class’ 23.76, ‘Fuego’ 31.97, ‘Freedom’ 198.47로 ‘Freedom’은 처음 상태와 다르게 노화로 인하여 화색 변화가 가장 컸으며 이는 절화수명과 같은 결과였다.

    분홍색 장미의 절화수명 조사 결과(Table 3), ‘Hera’ 7.6일, ‘Visu’ 6.6일, ‘Mandela’ 3.8일이었고, 3품종 모두 노화현상으로 꽃목굽음 및 청변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화색 변화 지표인 E 값 분석 시 수명이 가장 짧고 위조와 갈변, 엽황화 발생 률이 높았던 ‘Mandela’가 138.27로 유의하게 컸다.

    향기 분석 결과(Fig. 2), 적색 장미의 대조구(blank)는 3사 분면에 위치해 있으며, ‘Freedom’은 1사분면, ‘Upper Class’는 2사분면, 그리고 ‘Fuego’는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Fuego’은 적색 장미 중 대조구(blank)와 비교 시 거리가 멀게 분포하고 있어 향기가 가장 강하였으며, ‘Freedom’, ‘Upper Class’ 순으 로 향기가 약하게 나타났다. 분홍색 장미의 경우 대조구 (blank)는 3사분면에 위치하였고, ‘Mandela’는 4사분면, ‘Visu’ 는 2사분면, ‘Hera’는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Mandela’는 분홍 색 3품종 중 대조구와 비교 시 거리가 가장 멀게 위치하여 향 기가 가장 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era’, ‘Visu’ 순으로 향기 가 약하게 나타났다.

    내적 특성

    생체중 변화율 조사 결과(Fig. 3A, B), 적색과 분홍색 장미 품종 모두 실험 첫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절화수 명이 다소 짧았던 적색의 ‘Freedom’과 분홍색의 ‘Mandela’의 생체중은 실험 3일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분 흡수량 조사 결과(Fig. 3C, D), 적색 장미 ‘Upper Class’가 ‘Fuego’와 ‘Freedom’에 비해 흡수량이 유의하게 많았 으며, ‘Upper Class’와 ‘Fuego’은 실험 3일 이후 유지되는 경향 을 보였다. 분홍색 장미의 경우 ‘Mandela’, ‘Hera’, ‘Visu’ 순으 로 수분 흡수량이 많았으며, 실험 3일 이후 ‘Visu’ 품종이 유의 성을 보이며 수분 흡수량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수분 균형 조사 결과(Fig. 3E, F), 적색의 ‘Upper Class’와 ‘Fuego’는 실험 후 7일까지 체내 수분 유지가 잘 이루어졌으 며, ‘Freedom’ 은 실험 3일 이후 수분 균형 값이 ‘-7’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분홍색 장미의 경우 실험 3일에 ‘Visu’와 ‘Mandela’ 가 ‘Hera’와 유의차는 없었으나 ‘–’ 값으로 낮아져 내적 품질의 감소 시점으로 추정되었다.

    엽록소 함량 조사 결과(Table 4), 적색의 ‘Freedom’은 실험 7일째 엽록소 함량이 47.8(SPAD value)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엽황화가 100% 발생한 결과와 일치한다. 분홍색 장미의 경우, ‘Visu’와 ‘Hera’는 실험 첫날부터 종료 시점까지 유의차가 나타 나지 않았으나, ‘Mandela’는 두 품종에 비해 엽록소 함량이 낮 았는데 분홍색 품종 중 엽황화 발생이 가장 높았던 결과와 일 치하였다. 당 함량 분석 결과(Table 4), 적색, 분홍색 장미 모 두 잎에서는 품종 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적색 장미 ‘Freedom’ 꽃잎의 당 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박테리아 콜로니 수 조사 결과(Table 4), 적색 장미는 실험 첫날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며, 노화 시점인 실험 7일차에 ‘Freedom’의 박테리아 콜로니 수가 850.7로 가장 많았다. 분홍색 장미에서는 실험 첫날과 노화 시점 모두 품종 간 유의차가 없었다.

    고 찰

    절화 장미는 연중 소비되는 만큼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고 신품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화형을 가진 절 화 장미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절화 장미의 또다른 주요 생산국인 콜롬비아, 에티오피아로부터도 고품질의 절화 가 연중 수입되고 있어 국내산 절화 장미의 품질 중요성이 대 두되고 있다(APQA 2019;RDA 2018).

    절화 장미의 개화 단계는 외관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개화 단계에 따라 절화의 수분 흡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Kuiper et al. 1995). 또한, 화폭의 변화는 꽃의 개화 정도를 나타내며 꽃이 개화됨에 따라 꽃잎이 벌어지면서 화폭이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의 개화 단계는 적색 장미에서 ‘Freedom’, ‘Fuego’, ‘Upper Class’, 분홍색 장미에서 ‘Mandela’, ‘Hera’, ‘Visu’ 순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Table 2) 이는 화폭의 증가 양상(Fig. 1)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콜롬비아산 ‘Freedom’과 ‘Mandela’의 경우 실험 3일 이후 화폭 측정이 불가능하였는데, 이는 만개하기 직전 노화가 발생함에 따라 화폭이 증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 절화 장미는 대형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Park et al. 2019) 개화 단계와 화폭은 매우 중요 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국내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적색 장 미 ‘Fuego’와 분홍색 장미 ‘Hera’의 경우 만개가 이루어져 소 비자 만족도가 다소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Lim et al.(2014)의 소비자 절화 구매 행동 연구에 따르면, 주요 절화(장미, 백합, 국화) 모두 절화수명의 중요도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절화수명은 수송 및 이용 과정 중에 품 질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한다면 소비자의 만족도 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적색과 분홍색 장미 모두 국내산인 ‘Fuego’와 ‘Hera’ 품종이 각각 7.8일, 6.6일로 수입산보다 약 2~3일 정도 길었다(Table 3). 또한, 국내산인 ‘Fuego’와 ‘Hera’의 청변화와 꽃목굽음 발생 등 노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Table 3) 수입 절화보다 품질 유지가 잘 된 것으 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에서 재배되어 유통 단지로 이동하 는 경로가 짧아 수송 중 환경의 변화와 꽃과 잎의 손상이 적 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도매시장에 도착 시 상태와 도매업자에 대한 인터뷰의 결과에 따른 내용이므로, 정확한 비교를 위해 수입산과 국내산 절화의 유통 형태에 대한 연구 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절화 장미는 꽃의 크기, 모양, 색, 향기와 같은 관상용 특성 이 매우 가치가 높아서(In et al. 2017) 소비자들에게 심미적 만족감을 부여한다(Kim et al. 2018). 이 중 절화의 향기는 화 훼 소비의 신수요성 트렌드로서 중요한 품질 요인으로 작용된 다(Park et al. 2014). 특히, 장미는 향기를 갖고 있는 대표적 절화류로 품종에 따라 다른 향기 성분이 다르며, 성분별 함량 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et al. 2015). 전자코 를 이용한 향기 분석은 센서를 통해 그룹 간의 좌표 점 거리 분포에 따라 향기 정도의 차이를 보여준다(Lee et al. 2015). 향기 분석 결과, 적색 장미 ‘Fuego’와 분홍색 장미 ‘Mandela’의 향기가 가장 진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2). 외적 품질 분석 결과를 통해 국내산 절화 장미 중 적색의 ‘Fuego’는 만개 정도 와 관상 기간(절화수명), 향기의 정도에 있어서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된다.

    외적 품질과 관련하여 내적 품질 분석 결과, 에티오피아산 적색 장미 ‘Upper Class’, 분홍색 장미 ‘Visu’의 수분 흡수량이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당 함량 분 석 결과 분홍색 장미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Upper Class’ 꽃잎 의 당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Table 4). 당은 절화의 개화 시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며 삼투압에 의한 수분 흡수를 증진시 켜 노화 억제 및 절화수명 연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 다(Hwang et al. 2009). 따라서, 적색 장미 ‘Fuego’와 ‘Upper Class’는 다른 품종과 비교 시 당 함량이 다소 높아 품종의 만 개 정도, 수분 흡수량, 첫날과 노화 시점의 화색 변화에 영향 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절화 장미는 절단된 줄기 부분에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발생해 도관이 막히면서 수분 흡수 감소로 인해 절화수명이 단축된다(Oh and Lee 2020). 본 연구결과, 절화수명이 가장 짧았던 적색 장미 ‘Freedom’과 분홍색 장미 ‘Mandela’ 품종은 줄기의 절단 부위에 박테리아가 증식하면서 도관 막힘이 발생 하였고, 이로 인해 수분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수명단축 과 화색이 퇴화된 것으로 판단된다(Lee and Kim 2020;van Doorn and Vaslier 2002).

    외적 특성 분석 결과, 국내산 적색 장미 ‘Fuego’, 분홍색 장 미 ‘Hera’는 수입 품종과 비교 시 화색 변화 등 노화 발생률이 낮고 절화수명이 각각 7.8일, 7.6일로 유의하게 길었다. 특히, ‘Fuego’는 향기가 가장 진하게 나타나 외적인 측면에서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된다. 내적 특성 분석 결과, ‘Fuego’, ‘Hera’ 모두 수분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져 생체중이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수분균형 또한 에티오피아산 절화 장미 와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박테리아 콜로니 수 발생 정도가 유 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Fuego’의 경우 만개하였으나 ‘Freedom’ 품종과 비교 시 화폭의 크기가 작았으며, ‘Hera’는 ‘Mandela’ 품종보다 향기가 다소 약해 콜롬비아에서 수입되는 주요 품종 과 비교 시 취약점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스프레 이 절화 장미 ‘Lovely Lydia’에 Vital Oxide 전처리 시 화폭 변 화에 영향을 미쳤으며(Oh et al. 2018), 절화 아이리스의 꽃잎 이 살짝 벌어진 상태에서 보존용액 처리 시 개화에 효과적이 라고 하였다(Kim and Lee 2010). 따라서, 외적 품질 특성을 강화하고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농가에서 채화 직후부터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단계까지의 적절한 보존용액 사용이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여름철에 이루어져 계 절에 따른 품질의 변화 비교가 필요하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보존용액을 국내산과 수입산 품종에 적용한 추가적 연 구가 필요하다.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유용농생명자원산 업화기술개발 “국내산 화훼류 수출경쟁력 확보 및 생활소비 확대를 위한 절화 품질관리 기술 개발”(과제번호: IPET-12004 4021HD020)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Figure

    FRJ-29-4-263_F1.gif

    Changes of flower diameter according to country on Rosa hybrida L. cut flowers. Red cut roses Colombia ‘Freedom’, Ethiopia ‘Upper Class’, Korea ‘Fuego’ (A); pink cut roses Colombia ‘Mandela’, Ethiopia ‘Visu’, Korea ‘Hera’ (B). Vertical bars indicate the standard error (n = 5).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RJ-29-4-263_F2.gif

    Categorization of red and pink Rosa hybrida L. cut flowers scent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Red cut roses (A) X-axis means 81.6% of total variance as PC1 (Prin 1) and Y-axis means 17.0% of that as PC2 (Prin 2). Pink cut roses (B) X-axis means 88.4% of total variance as PC1 (Prin 1) and Y-axis means 10.5% of that as PC2 (Prin 2). PCA plot shows the discrimination of different compounds.

    FRJ-29-4-263_F3.gif

    Changes in fresh weight (A and B), water uptake (C and D), and water balance (E and F) according to country of Rosa hybrida L. cut flowers. Red cut roses (A, C, and E); pink cut roses (B, D, and F). Vertical bars indicate the standard error (n = 5). Mean 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on the ba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abl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lectronic nose for fragrance components.

    Flower opening stage of Rosa hybrid L. cut flowers according to the country.

    Senescence type and vase life of Rosa hybrid L. cut flowers according to the country.

    Total sugar and chlorophyll contents, and bacterial reaction on Day 1, Day 7 (senescence) of Rosa hybrida L. cut flowers according to the country. Incubator temperature for the bacterial reaction was maintained at 37℃ for 24 hours.

    Reference

    1. Agrinet (2016) Vietnam’s cut flowers continue to increase con cerns about eroding the domestic market. Accessed 28 Sep. 2021,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797
    2. Agrinet (2020) Responding to the growing number of imported flowers, organized the National Council on Imported Flowers. Accessed 28 Sep. 2021,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1253
    3.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APQA) (2019) Plant quarantine online civil service system. Accessed 1 Apr. 2021, https://okminwon.pqis.go.kr/
    4. Cheong DC , Lee JJ , Choi CH , Kim HJ (2020) Breeding of standard rose ‘Pinky Luna’ with a fragrance, and pastel color of pale pink for cut flowers. Flower Res J 28:93-98
    5. Cheong DC , Lee JJ , Jin SY , Choi CH , Kim HJ (2019) Breeding of a now Rosa hybrida ‘Blondie’ with high productivity and fragrance, and double colored petal for cut flowers. Flower Res J 27:205-210
    6. Hwang SA , Lee PO , Lee JS (2009) Effect of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sugar content during flower senescence of cut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Korean J Hort Sci Technol 27:263-268
    7. In BC , Ha STT , Lee YS , Lim JH (2017) Relationships between the longevity, water relations, ethylene sensitivity, and gene expression of cut roses. Postharvest Biol Technol 131:74-83
    8. KATI (2019) Agri-food export information system. https://www.kati.net/index.do
    9. Kim DH , Park SK , Park BR , Lee JY , Lim SH (2018) Flavonoid metabolic engineering for modification of flower color in chrysanthemum. Korean J Breed Sci 50:351-363
    10. Kim WH , Park PH , Jung JA , Park KY , Suh JN , Kwon OK , Kwon OH (2020) Achievement of flower breeding in Korea and its prospects. Korean Soc Breeding Sci 52:161-169
    11. Kim YA , Lee JS (2010) Effect of cycloheximide and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of cut ‘Blue Magic’ iris flowers according to the flower development and opening stage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790-795
    12. Kuiper D , Ribot S , Van Reenen HS , Marissen N (1995) The effect of sucrose on the flower bud opening of ‘Madelon’ cut rose. Sci Hort 60:325-336
    13. Lee YB , Kim WS (2019) Analyses of the export environment of cut rose flowers and the extended vase life after treatment with chlorine dioxide. Flower Res J 27:30-34
    14. Lee YB , Kim WS (2020) Natural skullcap extracts substitute commercial preservatives summer export for cut rose flowers. Flower Res J 28:170-174
    15. Lee YB , Yeon JY , Kim WS (2018) Postharvest management condition and contaminant degree in handling of cut rose flowers for export. Flower Res J 26:28-35
    16. Lee YS , Kim DH , Ko JA (2015) Varieties classified according to major volatile compounds of Rosa hybrida in relation to floral scent. Flower Res J 23:167-17
    17. Lim JH , Seo JY , Sim MS (2014)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the public wholesale markets through surveying the cut-flower distribution system. Flower Res J 22:117-124
    1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20) ISAAA. Flower cultivation status. Accessed 28 Sep. 2021, 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13733.pdf
    19. Mladenović E , Cvejić S , Jocić S , Ćuk N , Čukanović J , Jocković M , Jeromela, AM (2020) Effect of plant density on stem and flower quality of single-stem ornamental sunflower genotypes. Hort Sci 47:45-52
    2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2019) Agricultural product standard. Accessed 8 Oct. 2021, https://www.naqs.go.kr/contents/contentsTab.do
    21. Nielsen SS (2010) Phenol-sulfuric acid method for total carbohydrates. In: Fanalysis laboratory manual. Springer, Boston, MA, pp 47-53
    22. Oh SI , Lee AK (2020) Comparison of transport methods and wet shipping solutions for cut lily ‘Woori Tower’. Korean J Hort Sci Technol 38:87-96
    23. Oh SI , Lee JH , Lee AK (2017) Analysis of conveyance environment and flower quality of cut spray roses (Rosa hybrida L. ‘Lovely Lydia’) exported to Japan. Flower Res J 25:63-69
    24. Oh SI , Lee Jh , Lee AK (2018) Pretreatments and MEFI applications for improving postharvest quality of cut spray Rosa hybrida L. ‘Lovely Lydia’. Korean J Hort Sci Technol 36:237-244
    25. Park HM , Kim HK , Park SH , Oh SI , Lee AK (2020) An investigation of consumer’s perception on domestic and imported cut flowers. Hortic Sci Technol 38:207 (Abstr)
    26. Park KH , Heo SY , Lee DS (2013) Strategic development of floricultural industry for stable consumption and export industrialization. Korean Rural Econ Inst, Naju, Korea
    27. Park KY , Yoo BS , Kwon OH , Lee HJ , Jung HH (2019) Breeding of standard rose cultivar ‘White Beauty’ with white color and high productivity. Korean J Hort Sci Technol 37:779-786
    28. Park PH , Kim MS , Lee YR , Park PM , Lee DS (2014) Fragrance pattern analysis of major floricultural crops using electronic nose. Flower Res J 22:235-239
    2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8) Accessed 28 Sep. 2021, Agricultural technology guide 120 cut Rosa hybrida L.
    30. Van Doorn WG , Vaslier N (2002) Wounding-induced xylem occlusion in stems of cut chrysanthemum flowers: Roles of peroxidase and catechol oxidase. Postharvest Biol Technol 26:275-284
    31. Yeon JY , Kim WS (2016) Correlation between vase life of cut roses for export and cultivation environments in summer. Flower Res J 24:312-318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