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9 No.2 pp.71-82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1.29.2.04

Comparison of Recognition of Kore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Based on Certificate Acquisition Status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국내외 화훼장식 자격증 인식 비교

Hee Joo1, Jong Won Hong2, Jongyun Kim3*

1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2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3Department of Plant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주 희1, 홍 종원2, 김 종윤3*

1고려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2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3고려대학교 식물생명공학과
*Corresponding author: Jongyun Kim
Tel: +82-2-3290-3011 E-mail: jongkim@korea.ac.kr
29/04/2021 01/06/2021 03/06/2021

Abstract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cogni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usefulness of the certificates in Korea. The 310 survey respondents included 100 floral design certificate possessors and 210 non-possessors. Both sets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engineer floral design (3.27) and craftsman floral design (3.13) the most, mostly due to the confidence provided by the certificates (3.56) and their usefulness in various practices (3.43). Compared to respondents without certificates, respondents who possessed certificates did not prefer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the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3.70) was greater than that with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3.03) (P < 0.001), with the highest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American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 (4.03). Although many certificate possessors had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domestic private certificates. Factors contributing to respondents’ levels of satisfaction onwith the certificate include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3.61), reliability given by certificates (3.45), and support for the practical work (3.41). According to respondents, all certificates except for the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 (2.80) were trustworthy. In particular, respondents thought the credibility of domestic engineer floral design (3.44) was higher than that of European, Japanese, and Korean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This surve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including improving their connection with employment and practical work, increasing fairness in the practical test evaluation, and strengthening testing and evaluation methods needed to be considered. The survey also indicated that the criteria for the certification test and the national welfare benefits after obtaining a certificate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 system.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100 명과 미취득자(일반인) 210명, 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선호도 조사에서는 화훼장식기 사(3.27)와 화훼장식기능사(3.13)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 으며, 자격증 선호 이유로는 자격증이 주는 자신감(3.56)과 다 양한 실무에서의 활용(3.43)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반 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으며, 특히 자격증 취득자의 선호 도가 미취득자에 비해 더 낮았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3.70)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3.03)보다 높았으며, 특히 미 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4.03)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보유자는 많았으나 본 자격 증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자격증 취득의 만 족 이유로는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 며(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 자격증 별 신뢰도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을 제외한 모든 자격증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는 유럽, 일본과 한 국의 민간자격증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 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살펴본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 실기 심사에 대한 공 정성,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화 등이 자격증 발전에 필요한 요 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험 출제 기준 및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에 대한 보완이 바람직한 화훼 장식 자격증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초록


    서 언

    자격은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며, 국가의 경 제성장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공급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 을 수행한다(KRIVET 2020). 우리나라는 자격제도 관리 주체 를 다양화하기 위해 1997년 자격기본법을 제정, 공포하였고 (Q-Net 2020), 다양한 자격 수요를 위하여 자격을 국가가 관 리하는 국가자격과 국가 외 개인·단체·법인 등이 자율적으 로 신설하여 관리 운영하는 민간자격으로 구분하고 있다 (KRIVET 2020). 이를 통해, 국가 주도적이었던 자격제도에 민 간이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나 민간자격의 남발과 난립으로 소비자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이를 관리하 고 지도, 감독할 수 있도록 2007년 민간자격등록제를 도입하 였다(Q-Net 2020).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은 국가공인자격증인 화훼장식기(능) 사와 협회나 단체 등 민간업체에서 시행하는 민간자격증이 있 다. 화훼 관련 사단법인 단체에서 시행하는 자격은 모두 민간 자격에 준하고 있으며, 각 단체의 자체적인 자격검정을 통하 여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고 배출하고 있으나 자격 기준이 협회 마다 달라 공정성과 투명성이 미흡한 실정이다(Kim 2015a). 또한,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은 운영기관에 따라 자격 등급 을 나누어 시행하고 있으나(KRIVET 2020), 국가적인 차원에 서나 민간협회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통일성 있는 체계적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다(Moon 2011). 이러한 문제 를 보완하기 위해 2004년 화훼장식기능사와 2005년에 화훼장 식기사가 국가기술자격제도가 도입되었다(Q-Net 2020). 국가 기술자격은 고용노동부에서 자격기본법에 따른 국가자격 중 에서 산업과 관련이 있는 기술·기능 및 서비스 분야의 자격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고 있으며(HRDK 2020;MOLEG 2020), 화훼장식기(능)사는 화훼장식 전문가의 양성, 도·소매 플라워숍 운영의 현대화 및 화훼장식 이용의 과학화 그리고 체계화된 교육을 통해 일정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 를 양성할 목적으로 제정되었다(Q-Net 2020).

    2000년대 세계 각국과 활발한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외 국 자격증 취득이 증가하게 되었고(Lee et al. 2013) 외국의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국내에 들어와 교육 내용도 다양해지기 시작했다(Kim 2015a). 미국의 화훼장식 민간자격제도는 국가 자격시험제도가 없지만, 화훼장식 관련 협회인 미국 플로랄 디자이너 협회 AIFD (American institute of floral designers) 에서 민간자격증을 발급하고 있으며 엄격한 심사기준으로 심 사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인정받아 미국 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AIFD 2020;Seo 2014). 독일의 화훼장식 국가 자격증 제도는 국가에서 화훼장식 교육을 위 탁받은 독일 플로리스트 협회 FDF(Fachverband deutscher floristen)가 주관하고 있으며(Seo 2014), 최고의 경지에서 국 가와 사회로부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전문인으로 인정을 받는 교육제도로 증명되고 있다(Jang 2010).

    이처럼 외국의 경우, 민간자격 또는 국가자격 중 한 가지로 통일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국내 자격 제도는 기존에 있었던 민간 자격증과 국가자격증이 모두 함께 사용되고 있어 자격제 도의 체계성과 전문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Moon 2011;Seo 2014). 또한, 국내 화훼장식기능사는 응시 자격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응시 가능하며, 화훼장식기사는 자격 종목과 관 련 없는 타 전공자도 자격 종목과 관련된 실무 경력을 쌓으면 응시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만 제한하고 있어(An and Kim 2016) 자격증 취득의 기회는 많으나 화훼장식 전공자에 대한 혜택이 부족한 실정이다.

    자격증의 전문성은 하루가 다르게 향상되는 서비스의 기술 력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더욱 필요하며, 효율적인 성과를 나 타내기 위해서는 실무 현장에서 일하는 실무진의 실질적 수준 의 업데이트가 반드시 필요하다(Kim and Lee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 그리 고 국내에 유입된 외국 화훼장식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에 대한 기존 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자격증 별 선호도, 신뢰도, 활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부족한 부분을 제시하고, 발전 방향을 제 안하여 취득자에게는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이고 일반인들에게는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 식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자는 화훼장식 관련 종사자 117명과 일반인 195 명을 대상으로, 설문 기간은 2020년 1월 13일부터 1월 24일까 지 모바일 설문(https://docs.google.com)을 통해 실시하였으 며 312부 중에서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총 310부(화훼장식 관련 종사자 117명, 일반인 193명)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비교 대상 자격증 선정

    국내와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에 따른 만족도를 알아보 고, 취득 여부에 상관없이 각 자격증에 대한 선호도와 신뢰도 를 비교하기 위해 선행 연구(Jang 2010;Moon 2011;Park 2011;Seo 2014;Kim 2015a;Yoon 2016)와 설문지에 근거하 여 미국, 일본, 유럽국가의 자격증 중 국내에 유입되어 국내 취득자수가 가장 많은 국가자격증 및 민간자격증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Table 1).

    측정 도구

    본 연구는 기존의 화훼장식 자격증에 관한 선행연구(An and Kim 2016;Choo 2015;Kim 2015a;Moon 2011;Moon et al. 2010;Yoon 2016)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 조사 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와 미취득자를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자에게는 화훼장식 취득 동기와 이유, 취득 경로, 취득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와 만족 이유를 알아보았으며, 취 득 여부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설문한 문항으로는 각 자격증에 대한 선호도와 선호하는 이유,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공통된 설문지의 마지막 문항으로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 발전 방향 및 보완에 대한 설문과 인구통계학적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한 문항은 취득자 60개, 미취득자 42개 총 102개의 문항이었으며, 명목척도를 활용한 문항은 취득자 10개, 미취득자 8개 총 18개의 문항으로 전체 120개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격증 취득자와 미취득 자 간의 현황 분석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자격증에 따른 취득자의 만족도는 집단별 평균분 석과 대응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 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é를 사용하였다. 취득 여부에 상관없이 각 자격증에 대한 선호도, 신뢰도 및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방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과 이 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Scheffé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 처리는 SPSS 24.0 통계 패키 지 프로그램(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결과 및 고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310명 중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는 총 100명, 미취득자는 210명이었으며,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의 직업은 플라워숍 운영자 36%, 화훼 관련 전문 교육자 18% 순으로 높았다(Table 2).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74%가 화훼 장식 관련 업종(플라워숍 운영, 화훼장식 강사, 웨딩 화훼장식, 화훼장식가, 원예치료사)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온 것에 비해, 화훼장식 자격증 미취득자 중 화훼장식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비율은 8.1%로 낮게 나타났다(χ²=155.089, p<0.001, Table 2).

    본 설문에 응한 응답자의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경우 여성 응답자 비 율이 91%로 나타나, 미취득자의 여성 비율 77.6%에 비해 화 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여성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χ²=8.195, p<0.01, Table 2). 화훼장식 자격증 미취득자의 경우 화훼 혹은 원예전공이 아닌 비율이 88.1%임에 비해, 화 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전공은 화훼 전공 54%, 원예 전공 13%로 자격증 관련 전공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전공의 경우 도 33%를 차지하고 있었다(χ²=100.103, p<0.001, Table 2). 이는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요건으로 응시 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격 종목과 관련이 없는 전공자도 응시할 수 있는 자격증 응시 요건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Kim 2015a). 이러한 국내 자격제도는 취득자의 수요를 높여줄 수 있지만 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전문성이 떨어 질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서의 역량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im and Lee 2016).

    화훼장식 종사자 자격증 취득 여부

    화훼장식 관련직 종사자의 경우 응답자의 86.3%가 화훼장 식 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화훼장식 자 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비율이 31.6%임에 비해, 3-4개 보유하 고 있는 비율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화훼장식 자격증을 5 개 이상 보유한 비율도 17.9%로 나타나 과반수의 화훼장식 관 련직 종사자들이 복수의 화훼장식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화훼장식 관련직 종사자의 직위에 따라서 화훼장식 자격증 보유 개수의 차이가 있었다. 아르바이트의 경우는 3-4개의 자 격증을 보유한 경우가(50.0%)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원의 경우 1-2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55.6%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간관리자(매니저, 실장)의 경우 화훼장식 자격증을 3~4개를 보유하고 있는 비율이 5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5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비율도 27.8%로 나타나, 높은 직위에 있는 직원이 보유하고 있는 화훼장식 자격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플라워숍 운영자의 경우 3개 이상 의 복수의 화훼장식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61.3%로 높게 나타났으나, 플라워숍에서 직위가 가장 높은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화훼장식 자격증이 없는 경우도 18.2%로 화훼장식 종사자 중 자격증이 없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플라워숍 창업 시 자격증과 같은 요구 조건 없이도 누구나 플 라워숍을 창업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An and Kim 2016).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취득 동기 및 이유, 취득 경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자격증 취득 동기는 ‘취업에 도 움이 될 것 같아서’ 항목이 51%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전공 이므로’, ‘주변 사람의 권유로’ 순이었다(Fig. 1A). 화훼장식 자 격증의 취득 이유로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부분이 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워숍 운영을 위한 이유가 14%로 가장 낮게 나타나(Fig. 1B), 선행연구에서 플라워숍 운 영에 있어 자격증 취득 조건이 필요없다고 보고한 바(An and Kim 2016)와 마찬가지로, 플라워숍 운영에 화훼장식 자격증 의 활용도가 부족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경로를 조사한 결과 전문학원이 52%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전문학원을 통해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회나 학교의 비율은 20% 내외로 다소 적게 나타나, Jeon (2008)의 선행연구에서 화훼장식 교육을 받은 장소로 전문학 원이 44.8%로 가장 높았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Fig. 1C).

    화훼장식 자격증별 선호도

    응답자들의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인 화 훼장식기사(3.27)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2). 화훼 장식기능사(3.13)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럽 화훼장 식 국가자격증과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과는 선호도에 차 이가 없었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의 선호도는 보 통 이하로 모든 외국(국제) 화훼장식 자격증과 같이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증 취득자와 미취득자(일반인)의 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자격증 취득자가 미취득자에 비해 자격증 선 호도가 높았으나,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의 경우에서만 취 득자에 비해 미취득자의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격증 취득자와 미취득자간의 자격증 활용도에 대한 인 식 차이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취득자의 경우 취득 후 활용도에 따른 선호도 인식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자격 증 취득 여부에 따른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 다. 또한, 미취득자의 경우, 화훼장식기사와 화훼장식기능사가 보통(3점) 정도로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에 대한 선호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나 전체적으로 자격증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 다. 이는, 자격증을 실제로 활용하고 있지 않은 미취득자들에 게는 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에 선호도 역시 전체적 으로 낮게 나타난 것이라고 판단된다.

    응답자들의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선호 이유를 분석한 결 과, 자격증이 주는 높은 자신감(3.56)과 다양한 실무에서의 활 용(3.43)이 높은 선호 이유로 나타났다(Fig. 3). 체계적인 이론 과 실기(3.35), 공정한 자격증 평가 방법(3.17) 역시 특정 자격 증을 선호하는 이유로 나타났으나, 비용과 시간의 효율성 (3.04)은 선호 이유 중요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자 격증이 주는 자신감과 체계적인 이론과 실기항목은 자격증 선 호 요인에 있어 자격증 미취득자에 비해 취득자에게서 더 높 게 나타났다. 자격증별 선호도와 선호 이유를 연계하여 살펴 보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의 선호도가 낮은 이유는 민 간협회에서 전국적으로 통일성 있는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Moon 2011) 자격증이 주는 신뢰 감이나 자신감이 낮아 실무에서 활용이 어려운 점 등이 이유 인 것으로 판단된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

    화훼장식 자격증별 취득 현황에서는 국내 ‘화훼장식기능사’ 82명, ‘민간자격증’ 82명, ‘화훼장식기사’ 48명, 해외 화훼장식 자격증은 ‘유럽 국가자격증’ 30명, ‘미국 민간자격증’ 24명, ‘유 럽 민간자격증’ 20명, ‘일본 민간자격증’ 12명 순으로 나타나 국내 자격증을 보유한 응답자 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Fig. 4).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의 보유 자격증에 대한 만족 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외국(국제) 화훼장식 자격증의 평균 만족도가 3.70인데 비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평균 만족 도는 3.03으로 나타나 외국(국제) 자격증이 국내 자격증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특히 미국 민간자 격증이 4.03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본 민간자격증, 유 럽 국가자격증, 유럽 민간자격증 간에는 만족도의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국내 국가자격증인 화훼장식기사와 화훼장식기 능사의 만족도는 보통(3점) 이상으로 나왔으며, 이는 미국 민 간자격증에 비하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다른 외국(국 제) 자격증과는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의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화훼장식 자격 증 중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모든 외국(국제) 화훼장식 자 격증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들은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을 많이 가 지고 있으나, 국내 민간자격증보다는 외국(국제) 화훼장식 자 격증에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의 경우는 일본과 유럽의 화훼장식 자격증과 만족도의 차이가 없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들의 보유 자격증 만족 이유를 분석 한 결과,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며 (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 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5). 자격증이 취업과 이직에 도움(3.20)을 주기도 하지만, 급여에 영향을 준 다는 항목은 보통 이하의 낮은 점수를 나타내어 보유 자격증 이 급여보다는 개인의 능력개발과 전문성 증진으로 취업과 이 직, 실무에 도움이 되며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가 중요한 만족 이유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n and Kim(2016)의 선행연구에서 화훼장식 관련 자격증 취득 및 화 훼장식 전문교육의 장점으로 플라워숍 경영주들의 자신감과 전문성 향상으로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자격증의 활용 성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 매출 증가, 즉 실제 업무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는 결과와 같았다. 이와 같은 결과의 원인 중 하나로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은 실제 업무에 도 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기능적이고 체계적인 교 육시스템으로 전문능력과 신뢰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 기 때문에(Moon 2011) 본 연구에서 비교한 자격증 중 만족도 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화훼장식 자격증별 신뢰도

    응답자들의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자격증 취득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을 제 외한 모든 화훼장식 자격증에서 보통(3점) 이상으로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6).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 를 가장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 격증(3.39), 유럽 화훼장식 국가자격증(3.31), 국내 화훼장식 기능사(3.27) 역시 신뢰도가 높았다. 그러나,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은 가장 낮은 점수로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 다(Fig. 6). 이러한 결과는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의 체계 적이지 못한 시스템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며 자격증 취득 후에도 자격증 활용도가 낮기 때문에 만족도 및 선호도에서도 인식이 낮게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와 미취득자(일반인)의 신뢰도 차이 를 분석한 결과 미취득자는 모든 화훼장식 자격증에서 보통(3 점) 이상으로 자격증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으며, 다른 자격증 들은 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신뢰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국 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유럽 및 일본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의 경우는 미취득자의 신뢰도가 취득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훼장식기(능)사 자격 검정이 실시된 후 몇 년 전까 지만 해도 취득한 자격증이 전문성과 실무에서의 활용을 인정 받지 못하고 있었으나(Kim 2015a;Yoon 2016) 본 연구의 선 호도, 만족도 및 신뢰도 조사 결과를 미루어 보아 국내 화훼장 식 국가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

    응답자들의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선호도와 활용도 확립 을 위해 필요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 화, 체계화되고 정립된 교수법과 지도법 및 다양한 교과 실기 와 이론 교육과정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7).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 인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보통(3점) 이상으로 나타났 으며 취득자는 취업 및 실무와의 연계(4.20)가 가장 중요하고, 그 외 실기 심사의 공정성(3.96), 시험의 난이도(3.73)와 비용 (3.65) 순으로 응답하였다(Fig. 8). 취득자와 미취득자 간의 유 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가 자격증 취득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격증은 취득에 만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전문성을 갖춘 인력 을 양성하기 위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제를 출제하도록 하고 실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켜야 한다(Kim et al. 2006). 따라서, 자격증을 취득한 화훼장식가는 화훼장식 관련 산업에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Kim 2015a) 취업 또는 실무에서의 활용이 가능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정착 및 발전을 위해 세부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분석한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 없이 모든 항목에서 보통(3점) 이상으로 나타나 모든 요인이 국내 화훼장식 발전을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Fig. 9). 자격증 취득자는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4.14)가 가장 필요 한 부분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미취득자의 경우에도 취업과 실 무와의 연계(3.95),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3.75), 자격증 취 득 시험 출제 기준(3.67),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 (3.63)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격증 취득을 위 해 각 기관별 체계적 교육과 시험의 공정성이 필요하며 자격 증 취득 후에는 취업 및 실무에 연결될 수 있는 부분과 국가 적 복지혜택 등 자격증 취득자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 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자격증의 직무 현실성을 효과 적으로 반영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 자격증 시험의 난이도가 현장에서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현장 전문가 들을 자격증 심사에 잘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인 노력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Kim and Lee 2016). 또한, 우리 나라 국가자격증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화훼 관련 모든 업종에서 필수 요건으로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하는 제도 를 마련하여(Kim 2015a), 이를 국가적으로도 차별화된 복지 혜택과 연계하는 방법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 해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 및 만족 도를 함께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Kim 2015b).

    대체로 낮은 선호도, 만족도, 신뢰도를 나타냈던 국내 화훼 장식 민간자격증은 협회 자격 검정을 통하여 많은 화훼장식가 를 배출하고 있지만, 자격 기준이 통일되지 않아 공정성이 미 흡하다. 따라서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발전을 위해서는 공정한 실기 심사와 자격증 시험 및 평가방식 강화가 필요하 며 취득 후에도 실무에서나 취업에 도움이 되는 방안이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으로 국내에 도입된 더욱 다양한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들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고 대표적인 자격증을 임의로 선정하여 결과를 도출하게 된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확대하여 해석하는 데 주 의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 증의 선호도, 만족도, 신뢰도 및 활용도 비교 조사를 통해 국 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으 며, 추후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의 만족도, 신뢰도, 활용도 향상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적용할 수 있도록 활용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국내 화훼장식기(능)사 자격 검정이 실시된 후 몇 년 전까 지만 해도 취득한 자격증이 전문성과 실무에서의 활용을 인정 받지 못하고 있었으나(Kim 2015a;Yoon 2016) 본 연구에서 조사한 화훼장식 자격증의 선호도, 만족도 및 신뢰도 결과를 통해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에 대 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외국 화훼장식 자격증 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외국(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이 국내에 도입되고, 유학 및 단기 연수를 통해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을 외국에서 취득하여 화훼장식 자격증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나(Kim 2015a;Lee et al. 2013) 이러한 자격 증들의 활용 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외국처럼 국가에서 화훼장식 교육을 위탁 받은 교육기관 에서 주관하여, 각 자격증에 필요한 커리큘럼 및 통일감 있는 교재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등의 체계화된 교육제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Moon et al. 2010;Yoon 2016). 학교와 같은 전문 교육기관에서는 화훼장식전공자의 실무능력이 현장에 접목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보완하도록 하고, 화훼장식 전공 이수자에게는 화훼장식 국가자격증 필기시험 면제와 같 은 혜택을 차별적으로 준다면 화훼장식가의 국내 화훼장식 자 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Moon et al. 2010). 실기 심사 평가에서는, 결과와 평가지를 함께 수험 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함으로써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을 회복하고 수험자들에게는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발 전시킬 수 있도록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국내 화 훼장식 자격증 취득 후 화훼 관련 모든 업종에서 자격증 소지 자 채용(Kim 2015a)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제도적 복지혜택 장치가 보완된다면, 자격증 취득 후 자연스럽게 취업 및 실무 와 연결되므로 국내 화훼장식 국가자격증에 대한 활용도는 더 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FRJ-29-2-71_F1.gif

    The motivation for obtaining a floral design certificate (A), the reason for obtaining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 (B), and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C) of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 possessors in Korea (n = 100).

    FRJ-29-2-71_F2.gif

    Preference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cates depending on the certificate possession status (Likert 5-scale):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A);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B).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d < c < b < a). *, **, and *** indicates significance of t-test at p < 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FRJ-29-2-71_F3.gif

    Reasons for the preference for a floral design certificate (Likert 5-scale).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c < b < a). * and ** indicates significance of t-test at p < 0.05 and 0.01, respectively.

    FRJ-29-2-71_F4.gif

    Numbers of a floral design certificate possessor (n = 100) and satisfaction of the owned certificate (Likert 5-scale) (A), and the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between Kore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B).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c < b < a). ***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t-test at p < 0.001.

    FRJ-29-2-71_F5.gif

    Reason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s of the certificate possessors (Likert 5-scale, n = 100).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b < a).

    FRJ-29-2-71_F6.gif

    Reliabili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Likert 5-scale): domestic (A)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B).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d < c < b < a). * and ***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t-test at p < 0.05 and 0.001, respectively.

    FRJ-29-2-71_F7.gif

    Factors to enhance th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Korean domestic flower design certificate (Likert 5-scale).

    FRJ-29-2-71_F8.gif

    Considerations of respondents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Likert 5-scale).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b < a).

    FRJ-29-2-71_F9.gif

    Needs for improvements for Korean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 (Likert 5-scale).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effé test at α = 0.05 (Scheffé: b < a).

    Table

    List of popular floral design certificates in Korea.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Number of floral design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a flower shop.

    Reference

    1. American Institute of Floral Designers (AIFD) (2020) Accessed July 2020, https://aifd.org/about-us/
    2. An GS , Kim SB (2016)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sales volume for flower design and managing environment: Focused on flower owner. J Korean Community Dev Soc 41:85-96
    3. Choo YH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florist’s service factors on flower purchasing intention. J Korean Soc Flor Art Des 33:163-176
    4.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HRDK) (2020) Accessed July 2020, http://www.hrdkorea.or.kr/3/2/2
    5. Jang JE (2010) Research for improvement of Korean association. MS-thesis, Yeungnam Univ, Gyeongbuk, Korea
    6. Jeon YE (2008) Florist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MS-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7. Kim JS (2015a) Research on method of utilizing a floral designer’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J Korean Soc Flor Art Des 33:45-58
    8. Kim MW (2015b) The effect that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have on its practical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J Korean Soc Des Cult 21:75-84
    9. Kim SJ , Kim HJ , Heo BG , Park YJ (2006) Analysis of already tested questions used for selecting engineer and craftsman of floral design. J Life Sci Nat Resour Res 28:84-92
    10. Kim SP , Lee MS (2015)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private certificate role on job engag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J Hotel Resort 14:355-373
    11. Kim SP , Lee MS (2016) Effects of private certificate holders motivation for certificate affects career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J Korea Contents Assoc 16:352-361
    1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2020) Accessed July 2020, https://www.pqi.or.kr/int/intSysView.do
    13. Lee AK , Yoon S , Kim YH (2013) Floral design, pp 354-356 In: Korean horticulture development history. Natl Inst Hort Herbal Sci and Korean Soc Hort Sci, Gyeonggi-do, Korea
    1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OLEG) (2020) Accessed July 2020, http://www.law.go.kr
    15. Moon HS (2011) Education model construction through analysis of floral design education system of Korea, Germany, and America. PhD-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6. Moon HS , Hong JW , Han KW , Jang EJ , Pak CH (2010) An analysis of Korean floral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the job satisfaction of florist and applicants florist. Flower Res J 18:315-322
    17. Park HN (2011) A comparative analysis and study on flower arrangement form between America and Netherlands. J Korean Soc Flor Art Des 25:215-237
    18. Q-Net (2020) Accessed July 2020, http://www.q-net.or.kr/
    19. Seo JH (2014) The review on the study of floristry’s definition and education curriculum. J Korean Soc Flor Art Des 30:179-190
    20. Yoon YS (2016)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ertificate of craftsman floral design and practical floral design work. MS-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