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현대의 기술, 경제 및 사회·문화 전반의 급격한 변화와 생 활 수준의 향상은 웨딩의 형식에 관한 기존 패러다임에도 변 화를 주었다(Kim and Choi 2011). 이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기존의 정형화된 예식과는 다르게 각각의 개성을 살린 독특한 형식이나 웨딩의 절차를 간소화하여 웨딩을 진행하고자 하는 예비부부들의 수가 증가하였다(Ju and Hong 2015). 기존의 획일화된 웨딩 문화를 탈피하여 남들과 차별화된 공간에서 특 별한 의미를 찾고자 예식의 공간 또한 다변화되고 있다(Lee and Park 2018). 이를 증명하듯이 최근 소규모 레스토랑, 야 외 공원, 미술관, 골프장 등 웨딩이 주목적이 아닌 공간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맞춤형 웨딩이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6;Son 2014).
팝업 스타일 웨딩은 본래의 웨딩 공간이 아닌 곳에서 한시 적으로 웨딩을 진행하기 위한 공간으로 변화하여 예식을 진행 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팝업(pop-up)’이라는 용어는 이벤트 성으로 운영하는 상점을 뜻하며, 일시적으로 운영하는 곳에서 사용하는 신조어이다(IGSE 2019). 이에 ‘팝업 스타일’은 일시 적이고 유동적이며 가변적인 특성이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 는 공간 양식으로 규명할 수 있다(Lim and Yoo 2014). 이러 한 방식의 웨딩은 편안한 분위기에서 소비자가 추구하는 개성 있는 공간을 꾸밀 수 있고, 상황에 맞춰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Kim 2016) 일반 웨딩홀과 컨벤션센터 웨딩과는 다르게 스토리텔링이 있는 화훼장식이 가능하다.
웨딩 공간의 화훼장식은 소비자와 연출공간의 감성전달 매 개체로 작용하며(Lee et al. 2015), 예비부부는 일생의 가장 중 요한 순간을 기념하기 위해 웨딩 절차 중 화훼장식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Kim 2017). 이러한 경향으로 웨딩에서의 화훼 장식은 소비자의 취향과 감성을 중요시하며, 규모와 스타일 측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Kim and Seo 2013). 따라 서 팝업 스타일 웨딩 공간의 효과적인 화훼장식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와 플 로리스트의 전문성을 요구한다(Lee et al. 2016). 기존의 웨딩 화훼장식에 대한 선행연구는 한국 교육 학술 정보원 서비스 (KERIS 2020) 기준으로 호텔과 일반 웨딩홀 중심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웨딩 플라워와 웨딩 화훼장식을 키워드로 검색하 였을 때 학위논문 15편, 학술논문 7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대한 연구는 색채 분석에 관 한 1편의 연구만 진행되었을 뿐, 호텔과 일반 웨딩홀의 연구 에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팝업 스타일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파 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웨딩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 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에 대한 개념을 확립시켜 화훼장식 관련 업체의 발전과 화훼 업계 종사자들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 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세 이상 성인남녀 중에서 임의로 선정하 여 설문하였으며, 설문 기간은 2019년 8월 5일부터 8월 19일 까지 온라인 설문(https://office.naver.com)과 직접 방문(기 관, 학교, 공공시설) 설문을 하였다. 통계법 33조(비밀의 보호) 에 따라 무기명으로 처리하였으며, 437부 중에 충실하게 응답 한 설문지 총 43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20세 이상의 미혼 남녀를 대 상으로 웨딩 산업 활성화 방안을 위해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한 Kim and Jung(2011)의 연구와 웨딩홀의 화훼장식에 대한 소비자 태도 유형을 연구한 Lee et al.(2016)의 선행연구를 참 고하여 작성하였다. 또한 결혼식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웨딩 화훼장식의 유형에 관한 경향을 살펴 본 Kim et al.(2004)의 연구와 일반인의 웨딩 화훼장식에 대한 인식과 소비 형태, 선 호도를 설문 조사한 Yoon(2011)의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 주 제에 알맞게 변경하여 작성하였다. 설문 항목으로는 일반적인 웨딩에 대한 소비자 인식,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소비자 인 식, 장·단점 및 실내·외 공간 선호도, 팝업 스타일에 사용되 는 화훼장식에 대한 인식, 화훼장식 요소에 대한 관심도, 인구 통계학적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한 문 항 41문항과 명목척도 16문항을 합한 총 57개의 문항에 대하 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현황 분석을 위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 석,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Levene’s test를 통해 정규 성을 검증하였다. 항목 간 평균 비교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 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평균간 차이는 Scheffé 사후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모든 통계 처리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 46.9%, 여성 53.1%이 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은 30대(52.4%)가 가장 많았다.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31.6%)가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 업(54.8%)이 가장 많았다. 결혼 여부에 대해서는 기혼(47.1%) 및 미혼(48.7%)이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으며, 연평균 화훼구 매 횟수는 0회(23.7%), 1~3회(39.0%)가 많았고, 서울(55.9%) 에 거주하는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일반적인 웨딩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일반적으로 웨딩이 이루어지는 장 소로 일반 웨딩홀 83.3%, 호텔 15.5%, 종교시설과 야외는 1% 미만으로 응답하여, 일반 웨딩홀을 가장 일반적인 웨딩 공간 으로 인지하고 있었다(Fig. 1A). 이는 일반 웨딩홀이 웨딩 진 행공간과 부대시설이 잘 갖추어져 고객 만족이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와 비슷한 이유로 판단된다(Yeo 2005). 선호하는 웨 딩 규모는 100~200여 명의 중소규모 웨딩 54.5%, 100명 이하 의 소규모 웨딩 26.7% 순으로 중소규모 웨딩의 선호가 높았다 (Fig. 1B). 기존 웨딩의 문제점으로는 전통을 중시하는 한국사 회의 결혼문화(혼수, 예물, 예단 등)가 36.9%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획일화된 웨딩 식순(34.3%), 높은 가격의 장소 대여 비(23.9%)뿐 아니라 부대시설의 한계성(4.9%) 또한 기존 웨딩 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Fig. 1C). 기존 웨딩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52.9%)이 가장 많았으며, 만족하지 않는 응답자들(29.0%) 이 만족하는 응답자(18.1%)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1D). 웨딩에서의 화훼장식 필요성에 대하여 74.6%의 응 답자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Fig. 1E), 이는 선행연구에 서 보고된 바와 같이 화훼장식이 한정된 웨딩 공간의 분위기 를 파티 분위기로 극대화시키고, 하객들에게 고급스럽고 좋은 인상을 주는 장점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Lee 2006; Yeo 2009) (Fig. 1).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인식
팝업 스타일 웨딩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82.3%로 일반 인들의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Fig. 2A).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알게 된 경로는 인 터넷(SNS 등)이 39.7%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TV 방송(23.4%), 지인(18.8%), 잡지 또는 기사(11.8%)를 통해 접하였고, 플로 리스트나 웨딩 플래너를 통하여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알게 된 경우는 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Fig. 2B). 팝업 스타일 웨딩에 3년간 참석한 횟수를 살펴보면 없음(60.3%), 1~3회(35.5%), 3~5회 이상은 2% 미만으로(Fig. 2C), 응답자들 의 최근 3년간 팝업 스타일 웨딩 참석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를 통해 스몰 웨딩의 수요는 매우 높아졌으나(Bae 2015;Son 2014), 스몰 웨딩의 일부로 볼 수 있는 팝업 스타일 웨딩 은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C). 최근 예비부부들은 상징적이고 차별화된 소비문화를 선호하는 세 대로써(Ju and Hong 2015), 소규모 예식을 선호하고 주례 또 는 폐백 등의 생략을 선호하나 이에 부정적인 부모 세대의 간 의 이해관계가 상충하기도 한다(Jung 2018). 따라서 웨딩 관 련 업체들은 시대의 변화에 대응 가능한 새로운 웨딩 문화 선 도를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과 홍보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74% 의 대다수 응답자가 팝업 스타일 웨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Fig. 2D).
팝업 스타일 웨딩의 장점에 대해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Fig. 3) ‘하객과 소통이 자유로운 웨딩’(4.18)과 ‘공간에 따른 맞춤형 웨딩 (4.17)’이 가장 높은 장점으로 나타났다. 그 뒤로 ‘인원에 따른 맞춤형 웨딩(4.07)’, ‘예비부부가 주도하는 개성있는 웨딩(4.10)’으로 나타나, 스몰 웨딩과 하우스 웨딩의 장점과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Kim 2016;Kim et al. 2016). 이는 팝업 스타일 웨딩 또한 예비부부의 다양한 니즈 를 반영하여 특별하고 독창적인 웨딩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 는 응답자들의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Johnson et al. 2001). ‘트렌디한 웨딩(3.93)’, ‘허례허식이 없는 웨딩(3.9)’은 평균이 3점 후반대로 높게 나타나(Fig. 3), 기존의 웨딩보다 간소화된 팝업 스타일 웨딩을 시대의 흐름에 맞는 실속형 웨 딩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팝업 스타일에 대하여 럭 셔리한 웨딩으로 인지하는 문항은 보통 이상(3.13)으로 나타 나긴 하였으나, 장점 중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Fig. 3). 이는 스몰 웨딩에 대한 인식이 비용 절약과 하객의 축소에만 초점이 맞춰진 연구 결과(Ju and Hong 2015)에서 ‘비용을 절약하는 검소한 웨딩’, ‘비용을 최소화하며 알뜰한 웨 딩’으로 나타난 결과와 의미가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가족부에서 2012년에 발표하여 2019년에 종료한 캠 페인의 영향과 더불어 아직 스몰 웨딩에 대한 개념의 확립이 되지 않은 결과(Kang 2016;Lee 2018)로 판단되며, 스몰 웨딩 의 일부로 볼 수 있는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과 소비자의 인식을 보편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7개의 문항 중 4개의 문항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 이는 21세기 여성적 사고의 확대가 사회 전반에 끼치는 큰 영 향(Kim 2015)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되며, 웨딩의 전반적인 선 택은 신부의 의견이 대부분 반영(Kim and Seo 2013)되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의 취향이 더욱 세심하게 반영된 마케팅이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단점을 묻는 문항에서는 ‘날씨에 따른 변수(악천후, 땡볕, 습도 등)’ 문항의 평균이 3.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4). 이는 웨딩 장소의 예약이 수개월 전 진행되 므로 예측 불가 상황에 대한 리스크 때문이라 판단되며, 응답 자들은 이에 따른 대책도 한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유추 할 수 있었다. 그 뒤로 ‘웨딩 진행 공간의 한계성(3.55)’, ‘공간 에 따른 부대시설의 한계성(3.38)’, ‘웨딩 장소의 접근성(3.34)’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차시설과 교통의 편리함이 웨딩 공간의 선택에 있어 가장 높은 중요도(Yeo 2005)를 나타낸 연 구 결과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었다(Fig. 4). 그 밖의 요인으 로 응답자들은 ‘양가 부모님들의 동의(3.37)’, ‘팝업 스타일 웨 딩을 진행함에 따른 예비부부의 시간 투자(3.05)’를 보통 수준 으로 응답하였다(Fig. 4). 이는 부모 세대의 체면 민감성이 웨 딩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큰 연구결과(Jung 2018;Lee and Kim 2013)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 웨딩의 매뉴얼화 된 패키지 형태(Hwang et al. 2015)의 편리성이 팝업 스타일 웨딩의 진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예식 시간과 장소에 따라 조명과 자연광 영향을 받게 되 는 웨딩 사진의 완성도(2.89)는 다소 낮은 수치로 나타나, 웨 딩 촬영상품 구매 시 촬영기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 구 결과(Choi 2010)와 카메라 제조사의 다양한 설정과 방법 (Noh and Har 2008)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유추되며, 촬영 후 사진 보정 프로그램으로 예비부부가 원하는 수정 또한 가 능하기 때문에 단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팝업 스타일 웨딩의 실내·외 공간 선호도
팝업 스타일 웨딩의 실내·외 공간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가장 선호하는 공간으로 ‘현대적 스타일 건물의 실외공간 (3.95)’, ‘한국 전통 스타일 건물의 실외공간(3.75)’, ‘야외공원 또는 숲(3.58)’, ‘해변(3.48)’으로 실외공간의 선호도 평균이 실 내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Fig. 5). 이는 소규모 하우스나 카페, 야외공원을 스몰 웨딩 장소로 적합하다고 조 사한 결과(Lee and Kim 2018)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현대적 스타일 건물의 실내공간(3.85)’은 실내공간의 문항 중 예외적으로 높게 나타나, 응답자들이 모던 스타일의 심플한 구조적 아름다움과 균형감(Lee 2003)을 추구하는 경향이 반영 된 것으로 유추된다. 8개 문항 중 4개의 문항에서 성별에 따 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ig. 5), 여성이 남성보다 한국 전 통 스타일 건물의 실내·외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트렌드가 반영된 한국 전통 스타일을 취향이 중시된 특별한 웨딩(Lee and Park 2018)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현대적 스타일 건물의 실내공간과 교회 또는 종교 관련 실내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Fig. 5).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대한 인식현황
응답자들은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대하여 일반 웨 딩홀과 컨벤션센터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잘 나 타내고(3.94),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택이 가능 하며(3.93), 화훼장식과 어우러지는 다양한 오브제(장식품) 선 택이 가능하다고(3.76)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Fig. 6). 또한,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서는 수입 꽃이나 값비싼 소재 가 사용되어 특별하게 연출할 수 있고(3.29), 기존의 웨딩과 꽃 종류가 다른 차별성이 있을 것으로(3.23) 인식하고 있어, 일반 웨딩홀과 컨벤션센터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특별하게 진 행될 것이라는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을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이 다(2.97)’, ‘화훼장식 정보를 얻을 방법이 충분하다(2.74)’로 인 식하는 것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 로 가능하다(2.40)’의 문항은 보통 이하로 나타나, 전문가의 필요성을 인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웨딩 관련 업체들은 소비자에게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한 정보를 충분하 게 제공할 방안을 마련하고 전문적 지식을 갖춘 플로리스트와 지속적인 연계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Fig. 6). 팝업 스타 일 웨딩에서 화훼장식이 필요 없다는 응답은 가장 낮게(2.15) 나타나, 대부분의 응답자가 팝업 스타일 웨딩에서 화훼장식이 매우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결과로 판단된다(Fig. 6).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에 관한 관심도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웨 딩카(2.89)를 제외한 모든 화훼장식 요소가 중요하다고 하였 으며, 웨딩 꽃길(4.11), 신부 부케(4.09), 웨딩 꽃길 입구(4.06) 를 가장 돋보이게 장식해야 한다고 하였다(Fig. 7). 기존 연구 에서도 웨딩 꽃길이 웨딩의 화훼장식에서 비중을 크게 차지하 고, 웨딩이 진행되는 동안 화려함을 강조하여 하객들의 시선 을 집중시킬 수 있는 요소라고 보고한 바와 같이(Lee et al. 2016;Wang et al. 2013), 팝업 스타일 웨딩에서도 예식 중 하 객들의 주목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신부 입장 시의 웨딩 꽃 길 및 신부 부케 화훼장식이 가장 돋보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 된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에서 가장 돋보여야 할 곳은 10개의 문항 중 7개의 문항에서 성별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ig. 7), 여성이 남성보다 웨딩 꽃길, 신부 부케, 웨딩 꽃길 입구, 웨딩 무대, 신부대기실, 부 토니어, 식·음 테이블 화훼장식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를 연구한 Yoon(2011)의 선행연구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웨딩 꽃길, 웨딩 무대, 신부대기실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생각한 것과 유 사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웨딩 화훼장식 관련 소비품목 에 대하여 남성보다 여성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 론
최근 개인의 개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차별화된 소비문화를 선호하는 예비부부의 스몰 웨딩의 수요가 매우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응답자가 팝업 스타일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이 기존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더 잘 나타내며,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택이 가능하다 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팝업 스타일 웨딩에서 화훼장식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 충분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통로를 통해 소 비자에게 폭넓은 정보를 제공하고,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 장식에 대한 인식 확립과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