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각박한 도시생활에 지친 도시민들의 건전한 여가활동 및 커 뮤니티의 장으로서 정원에 대한 범국민적인 관심은 도시 내 주말농장, 자투리정원, 도시농업, 공동체정원 등으로 확대되면 서 정원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Han et al. 2012). 또한 정부부처의 법령 제정과 지방자치단 체에서 관련 조례를 만들어 정원 및 자연체험 활동을 위한 지 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7).
현재 활동 중인 자연, 식물, 정원 관련 전문가를 살펴보면, 가장 일찍이 의료 및 치료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원예치료사 (Kim 2010)가 양성되고 있고, 취미와 체험을 목적으로 도시에 서 농업 활동하는 도시농업관리사가 국가자격으로 운영되고 있다. 산림 해설 및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숲해설가, 산림치유 지도사, 자연환경교육지도사 등과 함께 식물과 정원 관리를 위한 수목원전문가, 시민정원사, 마스터가드너 등 많은 기관 에서 정원활동을 위한 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Lee et al. 2015). 최근 정부와 민간단체에서 양성된 이와 같 은 인력들의 전문성이 직업 관련 활동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 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교육과정이 정규 교육 형태가 아닌 평 생교육 및 사회교육형태로 운영되고 있어(Han et al. 2017) 각 교육생들 간의 전문성과 역량에 큰 차이가 있어 전문 직업 으로서 일정한 영역을 구축하는 것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양성되고 있는 정원 관련 전문가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조정해주는 코디네이터라 는 전문직업군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될 정원전문가들이 사 회 각 분야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안 해 보고자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분석기법을 활 용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직무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방법
직무분석 연구설계
특정 직무의 실제적 성질과 그 직무 수행 시 요구되는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격 요건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직무를 임무(duty), 작업(task), 작 업요소(task element)로 분류하는 절차(Kim et al. 2010)로서 본 연구에서는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기법을 이 용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직무 내용을 임무와 작업, 그리고 작업요소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수행빈도, 중요도, 난 이도를 분석하였다.
DACUM 위원회 구성
전국의 유사업무 종사자들 중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활 동자 5명, 정원전문가 활동자 2명, 교수 2명 등 9명의 현장전 문가를 패널로 선정하고 조정자, 관찰자, 분석전문가, 기록자 등 총 13명으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선정기준과 절 차는 Oh and Choi(2005), Yoon et al.(2011)의 연구에서 제시 한 패널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22명의 전문가를 추천을 받아 참여의사를 물어 최종 13명을 선정하였다(Table 1).
DACUM 워크숍
DACUM 분석은 2017년 4월 경기도 성남시의 S대학교에서 9시간 1일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임무 및 작업 도출에 앞서 패널 협의를 통해 정원의 가치, 마 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정의와 역할을 정의함으로 위원들 의 이해도를 높인 후 임부와 작업 순서대로 직무의 초안을 도 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은 계열화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도출하였는데 7개 임무와 58개 작업을 도출하였다.
DACUM 분석 검토 및 타당성 검증
DACUM 워크숍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한 타당도 조사 전 검증위원 6인의 협의를 통해 임무와 직무의 중복성과 상호 배타성 등을 검토하고 용어의 적절성을 확인하여 수정 및 보 완하는 과정을 2차에 거처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임무 7개, 업 무 41개로 결정하였다.
도출된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DACUM 차트에 대한 적합한 작업의 정의, 필요한 성취수준, 지식, 기술, 태도와 작 업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7명을 구성하고 부산광역시 센터에서 2차 DACUM 분석을 실시하였다. DACUM 분석결과 는 정리하여 검증위원에게 E메일로 2차에 걸쳐 검증하였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수준 평가
DACUM 차트를 활용한 임무와 작업에 대한 수행수준과 교 육필요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의 평가 설문을 수행하였다. 평가 설문대상은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농촌진흥기관의 농촌지도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서는 공문으로 발송하여 충실한 답변이 될 수 있도록 하 였다. 배부대상 1,320부 중 926부가 회수되어 회수율 74%를 나타냈다.
수집된 평가자료 분석은 SPSS 18.0(Window)을 사용하였고 평가설문서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계 수를 이용하여 각 문항의 내적일치도를 산출하였으며, 수행수 준과 요구수준에 대한 평가는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 증을 실시하였다.
교육필요도에 쓰이는 보리치 공식(Borich 1980)은 각 사례 마다 두 수준의 차이를 모두 합산하기 때문에 결과 값의 범위 가 넓어지고, 항목들 간에 변별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Kim 2010). 본 연구에서도 제작된 평가 설문서를 전국의 농 촌지도사를 대상으로 배부 및 회수하고 결과를 식 1의 보리치 공식을 활용하여 수행 및 요구 수준을 분석하고 교육필요도를 산출하였다(equation 1).
결과 및 고찰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임무 및 작업 도출
2차 검증과정을 통해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직무는 총 7개의 임무와 41개 작업이 도출되었다(Fig. 1). 임무 및 작업은 <A. 정원문화의 이해>은 <A-1. 정원의 개념 이해하기>, <A-2. 정원문화 가치 이해하기> 등 4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B. 봉사활동의 이해>는 <B-1. 자원봉사 특성알기>, <B-2. 자원봉사자 자세 익히기>, <B-3. 수요자 심리 이해하기> 등 6 개 작업을 포함하고 있다. <C. 정원기술 이해>는 <C-1. 정원 식물 이해하기>, <C-2. 정원식물 환경특성 이해하기> 등 6개 작업으로 분류되었고 <D. 교육과정 기획>은 <D-1. 교육과정 사례 조사하기>, <D-2. 교육수요 파악하기> 등 6개 작업을 포 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 교육과정 운영> 및 <F. 교육자 관리>, <G. 전문성 개발>은 각각 8개, 6개, 7개의 작업을 포함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원관련 교육과정 계획,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전문성 개발은 Kim(2010)과 유사한 직업군인 원 예치료사, 숲해설사와 임무와 작업의 구조가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났다.
지방농촌진흥기관(도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농촌지도사(관) 926명을 대상으로 앞서 도출한 직무 분석 모형에 대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로서의 직무수 행을 평가하였다. 작업의 중요도 평가의 신뢰도 계수는 0.967, 작업의 난이도는 0.966, 작업의 빈도는 0.967, 수행수준 및 요 구수준은 각각 0.982로 분석되어 측정항목 모두 0.9 이상의 높은 내적 일치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 관련 지식, 기술, 태도 선정
2차 데이컴 위원회를 통해서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 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한 결과 는 Table 2와 같다. 직무분석지침서에 따르면 지식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의, 개념, 원리 등을 말하며, 작업 수 행을 위해 공통적으로 알아야 할 것과 특정 작업 수행에 필요 한 것을 포함한 것이다. 기술은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구체적 절차와 방법에 따라 작업에 적용해 기대 성과를 도출 해 낼 수 있는 전문 기술로, 반복함으로써 현장에서 습득 가능 한 행위적인 것을 포함한다. 사람은 어떤 사건이나 문제, 물건 이나 사람 등에 관해 이익과 감정 및 평가를 가지게 되는데, 거기에 입각하여 그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반응의 준비 상 태를 태도라고 하며, 이는 실제 행동으로 나오지 않더라도 그 렇게 반응하려는 내적 경향을 의미한다(Kim 2010).
도출한 작업별 지식은 <지역 자원 지식>, <지역 환경 및 여 건 분석 지식> 등 42개이며, 기술은 <교육 대상자 분석 능 력>, <생태도 분석 능력> 등 109개, 태도는 <적극성>, <민첩 성> 등 70개가 도출되었고, <A1. 정원 문화 개념 이해하기>의 작업에는 서양정원사에 관한 지식, 동양정원사에 관한 지식, 현대 정원 사조(스타일)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며, 식물 응용 지식, 치유 관련 지식 또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A1. 정원 문화 개념 이해하기>는 정원에 대한 역사와 식물 활용에 관한 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E6. 교육생 지원 및 관리하기>의 경우 심리 분석 지식, 상담 지식 등 대상자를 파 악하기 위한 지식이 필요하며, <G6. 자원봉사 학습하기> 지식 은 봉사 활동 지식만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업과 기술에 대하여 분석하면, <C2 자원봉사 활동 계획 수립하기>는 홍보 능력, 동기부여 능력, 프로그램 구성력, 활 동 기획 능력, 작업별 난이도 분석 능력 등 자원봉사 활동의 홍보와 대상자의 욕구를 끌어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F3. 인턴십 지원하기>는 동기부여 능력, 활동 기획 능력 등 인턴십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들을 포함하 고 있다. <G5. 의사소통 능력 및 상담 기법 학습하기>는 동기 부여 능력, 요구 파악 능력, 문제 파악 능력, 인터뷰 능력, 대 상자의 요구 파악 및 대처 능력, 설득 능력 등 대상자와의 접 촉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과 태도의 분석에서 <A4. 정원 활동 이해 하기>는 친절, 민감성, 직업윤리 등이 필요하며, 이는 주로 대 상자에게 정원 활동을 안내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이다. <C5. 자원봉사 네트워크 이해하기>는 다경험, 조직성, 민감성, 지속 성, 한계성(A69)이 필요한데, 이는 관련 기관 등과 유대를 가 지기 위한 태도로 분석되었다. 자발성, 자기 발전, 자부심으로 구성되는 작업은 <G6. 자원봉사 학습하기>로 나타났으며 이 태도들은 자원봉사를 위해 갖추어야 할 행동으로 보인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수행 수준평가
직무수행평가지 응답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3). 전문가 구분은 일반지도사가 791명(85.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문지도연구회원, 정원전문가 과정 운영 경험자(도시농업전문가과정 운영경험자) 순으로 나타났다. 담 당업무별로는 재배·축산·곤충 담당자가 333명(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획․서무 기타 담당자가 175명(18.9%), 정 원·도시농업·농촌조경 담당자가 172명(18.6%) 등으로 분석 되었다. 성별은 남성이 544명(58.7%)으로 여성에 비해 다소 많았으며, 연령은 40대, 학력은 학사, 전공은 농업계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류에 있어서는 농촌지도직류가 741 명(80.0%)로 가장 많았다.
정원 코디네이터 활동을 위한 임무 및 작업별 수행주준과 요구수준을 평가하여 교육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임무 및 작업에 있어서 요구수준이 수행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 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p<0.001)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Table 4).
임무별 수행수준을 살펴보면, <E. 교육과정 운영>이 3.18± 0.8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 정원기술의 이해>가 3.15±0.86, <D. 교육과정 개발> 3.09±0.86으로 높게 나타났 다. 반면, <G. 전문성 개발>이 2.98±0.89로 수행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C. 봉사활동의 이해>가 3.00±0.85로 낮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무별 요구수준은 <B. 정원기술의 이 해>가 3.72±0.91로 가장 높았으며,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가 각각 3.64±0.84, 3.64±0.85로 높게 분석되 었다. 따라서 농촌지도사의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임무에서 <G. 전문성 개발>과 <C. 봉사활동의 이해>가 현재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하였으며, <B. 정원 기술의 이해>와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을 가장 필요한 임무로 평가하였다.
전체 41개의 작업 중에서는 <E5. 과정 진행하기>가 3.21± 0.97로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E4. 강사 관리 및 지원하기>,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기> 순으 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G4. 해외사례 견학하기>, <C4. 자 원봉사 진행 이해하기>, <F3. 인턴십 지원하기> 등은 낮은 순 위로 분석되었다. 높은 순위로 평가된 작업들은 현재 농촌지 도사들이 활동하고 있는 업무인 <E. 교육과정 지원>과 <B. 정원기술의 이해> 임무였으며, 낮은 순위는 주로 <C. 봉사활 동의 이해> 및 <G. 전문성 개발> 임무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요구수준은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기>가 3.76±1.0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D6. 교육과정 설계하기>, <B2. 정원환경 이해하기> 순으로 높은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C3. 자원봉사 대상 파악하기>, <C1. 자원봉사 특성알기>, <C5. 자원봉사 네트워 크 이해하기> 등은 낮은 요구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작업별 수행 및 요구수준을 살펴보면, <A. 정원문화의 이 해> 임무에서는 <A1. 정원문화 개념 이해하기>가 3.09±0.97 로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인 반면, <A3. 정원법률, 정책 파 악하기>가 2.98±0.9로 가장 낮은 수행수준을 나타났다.
요구수준 또한 <A1. 정원문화 개념 이해하기>가 3.66±0.97 로 가장 높은 요구수준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A2. 정원가 치 이해하기>와 <A4. 정원활동 이해하기>임무 순으로 높은 요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 정원기술의 이해> 임무에서는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기>가 3.19±0.98로 나타나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인 반면, <B4. 테마정원 조성하기>는 3.09±1.01로 가장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요구수준 또한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 기>가 가장 높은 요구를 보였고 <B4. 테마정원 조성하기>가 가장 낮은 요구수준으로 평가되었다. <C. 봉사활동의 이해>의 수행수준은 <C1. 자원봉사 특성알기>, <C2. 자원봉사활동 계 획 수립하기>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요구수준은 <C2. 자원봉 사활동 계획 수립하기>와 <C6. 자원봉사 결과 평가하기>의 요 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 교육과정 개발>의 작업 에서는 <D3. 교육 세부계획 수립하기>가 3.15±0.95로 가장 높 은 수행수준을 보였으며, 요구수준에서는 <D6. 교육과정 설계 하기>가 3.75±0.95로 높게 분석되었다. <E. 교육과정 운영>에 서는 <E5. 과정 진행하기> 작업이 가장 높은 수행수준으로 분 석된 반면, 요구수준에서는 <E3. 예산 확보 및 관리하기> 작업 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 교육생 사후관리하기> 임무는 <F4. 활동 우수사례 발굴하기> 작업의 수행수준이 3.10 ±0.98로 가장 높았으며, 요구수준은 <F1. 활동단체 구축하기> 와 <F2. 보수 심화교육 프로그램 지원하기>가 높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마지막으로 <G. 전문성 개발>에서는 <G1. 예술문 화활동 경험하기>가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 석되었으며, <G5. 의사소통능력 및 상담기법 학습하기> 작업 의 요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는 Kwack et al.(2001)이 제시한 정원전문가의 역할인 지역조경활동, 일반원예활동, 환경영향 평가, 행정활동, 생활수준 향상과 비교하면, 지역조경활동 및 일반원예활동, 환경영향평가에는 정원문화의 이해와 정원기술 에 이해와 유사하였으나, 생활수준 향상은 봉사활동 임무에 속하는 반면 행정활동은 별도의 임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전문분야로 숲 해설가의 직무 중 의사소통 능력, 목표확인하기, 대상자 파악하기, 대상자 정하기, 예산기 획 작성하기, 홍보하기, 평가계획 하기, 교재 만들기, 교구 준 비하기 등과 유사하였다(Ha 2006). 정원전문가 양성과정을 기 획,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역할로 원예치료사 직무분 석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자기개발 임무와 전문성 심화를 위한 측면과 유사한 임무를 갖는 결과를 나타냈다 (Kim 2010). 교육프로그램 운영은 주로 교사, 상담컨설팅 등 교육 분야 직업의 직무에서 나타났으며, 정원문화의 이해, 정 원기술의 이해, 봉사활동의 이해, 교육생 사후관리는 마스터 가드너 코디네이터만의 특이한 임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 행연구인 정원전문가의 임무와 차별된 임무로 봉사활동의 이 해는 Lee and Wi(2007)의 연구에서 활동계획 수립하기, 평가 하기, 실행하기, 네트워크 관리하기, 대상자 파악하기 등이 유사 한 작업으로 도출되었다. 미네소타대학(Kwack et al. 2017) 에 서는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에 대하여 미국의 농촌 지도 사업에 포함하여 예비 정원전문가를 선발, 정보를 전달 하고 활동을 촉진시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실질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라 하면서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자원 봉사 및 프로그램 관리의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자원봉 사의 임무를 강조하였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작업 및 역 량별 수행분석결과 모두 현재 수행수준이 미래 요구수준보다 낮게 분석되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분석 결과, <A. 정원문화 이해>, <B. 정원기술 이해>, <C. 봉사활동 이 해>,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 <F. 교육사후 관리>, <G. 전문성 개발> 등 7개의 임무와 41개 작업을 도출 하였다. 전체 작업 중 요구수준과 수행수준 모두 <C> 봉사활 동의 이해>, <G. 전문성 개발> 임무와 같이 현재 맡고 있지 않거나 업무에 필요성이 없는 임무 및 작업은 낮게 나타난 것 으로 분석되었으며, 반대로 높게 나타난 임무 및 작업은 응답 자들의 현재 업무와 관련이 있거나 경험이 있는 임무를 중심 으로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