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8 No.1 pp.21-29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0.28.1.04

Job Analysis of Master Gardener Coordinator Based on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교육을 위한 데이컴(DACUM) 직무분석

Ji Sung Kim1, Seung Won Han2*
1Technological transfer Division, Extension Service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4875, Korea
2Urban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Korea

김 지성1, 한 승원2*
1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기술보급과
2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Corresponding author: Seung Won Han Tel: +82-63-238-6911 E-mail: hansgarden@korea.kr
01/02/2020 19/02/2020 08/03/2020

Abstract


To analyze and development job such as Master Gardener Coordinator, the Development a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Master Gardener Coordinator job. The analysis identified seven key duties; 1) understanding of garden culture, 2) understanding of gardening skills, 3) understanding of voluntary service, 4) curriculum development, 5) curriculum implementation, 6) follow-up after education, and 7)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analysis also identified, 41 tasks related to the job: four tasks in duty 1, four in 2, six in 7 and seven in 7. Moreover, 173 sub-task elements were identifi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job model of Master Gardener Coordinator was suggested through DACUM method analysis. This role and its scope of activity were established to prepare the ground for further research on standards of job performance and job analysis of Master Gardener Coordinator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예비 마스터가드너를 선발, 정보를 전달하고 활동을 촉진시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실질적인 관리를 담당 하는 코디네이터 양성을 위해 데이컴 분석을 통하여 마스터가 드너 코디네이터의 전문성 기준과 직무모형을 제시하였다. 1, 2차 데이컴 위원회를 통해 임무, 작업, 작업 요소를 도출하고 작업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확정하였다. 도출된 임무 및 작업 등을 바탕으로 마스터가드너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를 대상으로 직무 수행평가를 시행하였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분석 결과, <A. 정 원문화 이해>, <B. 정원기술 이해>, <C. 봉사활동 이해>,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 <F. 교육사후 관리>, <G. 전문성 개발> 등 7개의 임무를 도출하였다. 또한 <A. 정 원 문화 이해>의 4개, <B. 정원 기술 이해>의 4개, <C. 봉사 활동 이해>의 6개, <D. 교육과정 개발>의 6개, <E. 교육과정 운영>의 8개, <F. 교육 사후 관리>의 6개, <G. 전문성 개발> 의 7개 작업까지 총 41개의 작업과 173개의 작업 요소를 도출 하였다. 이를 토대로 작업과 지식, 기술, 태도의 관계를 분석 하고 매트릭스로 제작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 활 동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마스터가드너 코 디네이터의 역할과 활동 범위를 설정을 위한 직무모형을 제안 함으로써 향후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교육 표준화 기 준을 수립하고 일자리 영역을 구축하는 등 후속 연구를 촉진 할 수 있는 토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초록


    서 언

    각박한 도시생활에 지친 도시민들의 건전한 여가활동 및 커 뮤니티의 장으로서 정원에 대한 범국민적인 관심은 도시 내 주말농장, 자투리정원, 도시농업, 공동체정원 등으로 확대되면 서 정원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Han et al. 2012). 또한 정부부처의 법령 제정과 지방자치단 체에서 관련 조례를 만들어 정원 및 자연체험 활동을 위한 지 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7).

    현재 활동 중인 자연, 식물, 정원 관련 전문가를 살펴보면, 가장 일찍이 의료 및 치료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원예치료사 (Kim 2010)가 양성되고 있고, 취미와 체험을 목적으로 도시에 서 농업 활동하는 도시농업관리사가 국가자격으로 운영되고 있다. 산림 해설 및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숲해설가, 산림치유 지도사, 자연환경교육지도사 등과 함께 식물과 정원 관리를 위한 수목원전문가, 시민정원사, 마스터가드너 등 많은 기관 에서 정원활동을 위한 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Lee et al. 2015). 최근 정부와 민간단체에서 양성된 이와 같 은 인력들의 전문성이 직업 관련 활동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 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교육과정이 정규 교육 형태가 아닌 평 생교육 및 사회교육형태로 운영되고 있어(Han et al. 2017) 각 교육생들 간의 전문성과 역량에 큰 차이가 있어 전문 직업 으로서 일정한 영역을 구축하는 것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양성되고 있는 정원 관련 전문가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조정해주는 코디네이터라 는 전문직업군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될 정원전문가들이 사 회 각 분야에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안 해 보고자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분석기법을 활 용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직무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방법

    직무분석 연구설계

    특정 직무의 실제적 성질과 그 직무 수행 시 요구되는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격 요건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직무를 임무(duty), 작업(task), 작 업요소(task element)로 분류하는 절차(Kim et al. 2010)로서 본 연구에서는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기법을 이 용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직무 내용을 임무와 작업, 그리고 작업요소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수행빈도, 중요도, 난 이도를 분석하였다.

    DACUM 위원회 구성

    전국의 유사업무 종사자들 중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활 동자 5명, 정원전문가 활동자 2명, 교수 2명 등 9명의 현장전 문가를 패널로 선정하고 조정자, 관찰자, 분석전문가, 기록자 등 총 13명으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선정기준과 절 차는 Oh and Choi(2005), Yoon et al.(2011)의 연구에서 제시 한 패널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22명의 전문가를 추천을 받아 참여의사를 물어 최종 13명을 선정하였다(Table 1).

    DACUM 워크숍

    DACUM 분석은 2017년 4월 경기도 성남시의 S대학교에서 9시간 1일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임무 및 작업 도출에 앞서 패널 협의를 통해 정원의 가치, 마 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정의와 역할을 정의함으로 위원들 의 이해도를 높인 후 임부와 작업 순서대로 직무의 초안을 도 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은 계열화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도출하였는데 7개 임무와 58개 작업을 도출하였다.

    DACUM 분석 검토 및 타당성 검증

    DACUM 워크숍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한 타당도 조사 전 검증위원 6인의 협의를 통해 임무와 직무의 중복성과 상호 배타성 등을 검토하고 용어의 적절성을 확인하여 수정 및 보 완하는 과정을 2차에 거처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임무 7개, 업 무 41개로 결정하였다.

    도출된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DACUM 차트에 대한 적합한 작업의 정의, 필요한 성취수준, 지식, 기술, 태도와 작 업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7명을 구성하고 부산광역시 센터에서 2차 DACUM 분석을 실시하였다. DACUM 분석결과 는 정리하여 검증위원에게 E메일로 2차에 걸쳐 검증하였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수준 평가

    DACUM 차트를 활용한 임무와 작업에 대한 수행수준과 교 육필요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의 평가 설문을 수행하였다. 평가 설문대상은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농촌진흥기관의 농촌지도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서는 공문으로 발송하여 충실한 답변이 될 수 있도록 하 였다. 배부대상 1,320부 중 926부가 회수되어 회수율 74%를 나타냈다.

    수집된 평가자료 분석은 SPSS 18.0(Window)을 사용하였고 평가설문서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계 수를 이용하여 각 문항의 내적일치도를 산출하였으며, 수행수 준과 요구수준에 대한 평가는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 증을 실시하였다.

    교육필요도에 쓰이는 보리치 공식(Borich 1980)은 각 사례 마다 두 수준의 차이를 모두 합산하기 때문에 결과 값의 범위 가 넓어지고, 항목들 간에 변별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Kim 2010). 본 연구에서도 제작된 평가 설문서를 전국의 농 촌지도사를 대상으로 배부 및 회수하고 결과를 식 1의 보리치 공식을 활용하여 수행 및 요구 수준을 분석하고 교육필요도를 산출하였다(equation 1).

    FRJ-28-1-21_EQ1.gif
    (equation 1)

    결과 및 고찰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임무 및 작업 도출

    2차 검증과정을 통해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직무는 총 7개의 임무와 41개 작업이 도출되었다(Fig. 1). 임무 및 작업은 <A. 정원문화의 이해>은 <A-1. 정원의 개념 이해하기>, <A-2. 정원문화 가치 이해하기> 등 4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B. 봉사활동의 이해>는 <B-1. 자원봉사 특성알기>, <B-2. 자원봉사자 자세 익히기>, <B-3. 수요자 심리 이해하기> 등 6 개 작업을 포함하고 있다. <C. 정원기술 이해>는 <C-1. 정원 식물 이해하기>, <C-2. 정원식물 환경특성 이해하기> 등 6개 작업으로 분류되었고 <D. 교육과정 기획>은 <D-1. 교육과정 사례 조사하기>, <D-2. 교육수요 파악하기> 등 6개 작업을 포 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 교육과정 운영> 및 <F. 교육자 관리>, <G. 전문성 개발>은 각각 8개, 6개, 7개의 작업을 포함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원관련 교육과정 계획,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전문성 개발은 Kim(2010)과 유사한 직업군인 원 예치료사, 숲해설사와 임무와 작업의 구조가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났다.

    지방농촌진흥기관(도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농촌지도사(관) 926명을 대상으로 앞서 도출한 직무 분석 모형에 대하여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로서의 직무수 행을 평가하였다. 작업의 중요도 평가의 신뢰도 계수는 0.967, 작업의 난이도는 0.966, 작업의 빈도는 0.967, 수행수준 및 요 구수준은 각각 0.982로 분석되어 측정항목 모두 0.9 이상의 높은 내적 일치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 관련 지식, 기술, 태도 선정

    2차 데이컴 위원회를 통해서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 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한 결과 는 Table 2와 같다. 직무분석지침서에 따르면 지식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의, 개념, 원리 등을 말하며, 작업 수 행을 위해 공통적으로 알아야 할 것과 특정 작업 수행에 필요 한 것을 포함한 것이다. 기술은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구체적 절차와 방법에 따라 작업에 적용해 기대 성과를 도출 해 낼 수 있는 전문 기술로, 반복함으로써 현장에서 습득 가능 한 행위적인 것을 포함한다. 사람은 어떤 사건이나 문제, 물건 이나 사람 등에 관해 이익과 감정 및 평가를 가지게 되는데, 거기에 입각하여 그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반응의 준비 상 태를 태도라고 하며, 이는 실제 행동으로 나오지 않더라도 그 렇게 반응하려는 내적 경향을 의미한다(Kim 2010).

    도출한 작업별 지식은 <지역 자원 지식>, <지역 환경 및 여 건 분석 지식> 등 42개이며, 기술은 <교육 대상자 분석 능 력>, <생태도 분석 능력> 등 109개, 태도는 <적극성>, <민첩 성> 등 70개가 도출되었고, <A1. 정원 문화 개념 이해하기>의 작업에는 서양정원사에 관한 지식, 동양정원사에 관한 지식, 현대 정원 사조(스타일)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며, 식물 응용 지식, 치유 관련 지식 또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A1. 정원 문화 개념 이해하기>는 정원에 대한 역사와 식물 활용에 관한 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E6. 교육생 지원 및 관리하기>의 경우 심리 분석 지식, 상담 지식 등 대상자를 파 악하기 위한 지식이 필요하며, <G6. 자원봉사 학습하기> 지식 은 봉사 활동 지식만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업과 기술에 대하여 분석하면, <C2 자원봉사 활동 계획 수립하기>는 홍보 능력, 동기부여 능력, 프로그램 구성력, 활 동 기획 능력, 작업별 난이도 분석 능력 등 자원봉사 활동의 홍보와 대상자의 욕구를 끌어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F3. 인턴십 지원하기>는 동기부여 능력, 활동 기획 능력 등 인턴십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들을 포함하 고 있다. <G5. 의사소통 능력 및 상담 기법 학습하기>는 동기 부여 능력, 요구 파악 능력, 문제 파악 능력, 인터뷰 능력, 대 상자의 요구 파악 및 대처 능력, 설득 능력 등 대상자와의 접 촉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과 태도의 분석에서 <A4. 정원 활동 이해 하기>는 친절, 민감성, 직업윤리 등이 필요하며, 이는 주로 대 상자에게 정원 활동을 안내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이다. <C5. 자원봉사 네트워크 이해하기>는 다경험, 조직성, 민감성, 지속 성, 한계성(A69)이 필요한데, 이는 관련 기관 등과 유대를 가 지기 위한 태도로 분석되었다. 자발성, 자기 발전, 자부심으로 구성되는 작업은 <G6. 자원봉사 학습하기>로 나타났으며 이 태도들은 자원봉사를 위해 갖추어야 할 행동으로 보인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수행 수준평가

    직무수행평가지 응답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3). 전문가 구분은 일반지도사가 791명(85.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문지도연구회원, 정원전문가 과정 운영 경험자(도시농업전문가과정 운영경험자) 순으로 나타났다. 담 당업무별로는 재배·축산·곤충 담당자가 333명(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획․서무 기타 담당자가 175명(18.9%), 정 원·도시농업·농촌조경 담당자가 172명(18.6%) 등으로 분석 되었다. 성별은 남성이 544명(58.7%)으로 여성에 비해 다소 많았으며, 연령은 40대, 학력은 학사, 전공은 농업계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류에 있어서는 농촌지도직류가 741 명(80.0%)로 가장 많았다.

    정원 코디네이터 활동을 위한 임무 및 작업별 수행주준과 요구수준을 평가하여 교육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임무 및 작업에 있어서 요구수준이 수행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 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p<0.001)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Table 4).

    임무별 수행수준을 살펴보면, <E. 교육과정 운영>이 3.18± 0.8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 정원기술의 이해>가 3.15±0.86, <D. 교육과정 개발> 3.09±0.86으로 높게 나타났 다. 반면, <G. 전문성 개발>이 2.98±0.89로 수행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C. 봉사활동의 이해>가 3.00±0.85로 낮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무별 요구수준은 <B. 정원기술의 이 해>가 3.72±0.91로 가장 높았으며,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가 각각 3.64±0.84, 3.64±0.85로 높게 분석되 었다. 따라서 농촌지도사의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임무에서 <G. 전문성 개발>과 <C. 봉사활동의 이해>가 현재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하였으며, <B. 정원 기술의 이해>와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을 가장 필요한 임무로 평가하였다.

    전체 41개의 작업 중에서는 <E5. 과정 진행하기>가 3.21± 0.97로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E4. 강사 관리 및 지원하기>,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기> 순으 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G4. 해외사례 견학하기>, <C4. 자 원봉사 진행 이해하기>, <F3. 인턴십 지원하기> 등은 낮은 순 위로 분석되었다. 높은 순위로 평가된 작업들은 현재 농촌지 도사들이 활동하고 있는 업무인 <E. 교육과정 지원>과 <B. 정원기술의 이해> 임무였으며, 낮은 순위는 주로 <C. 봉사활 동의 이해> 및 <G. 전문성 개발> 임무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요구수준은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기>가 3.76±1.0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D6. 교육과정 설계하기>, <B2. 정원환경 이해하기> 순으로 높은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C3. 자원봉사 대상 파악하기>, <C1. 자원봉사 특성알기>, <C5. 자원봉사 네트워 크 이해하기> 등은 낮은 요구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작업별 수행 및 요구수준을 살펴보면, <A. 정원문화의 이 해> 임무에서는 <A1. 정원문화 개념 이해하기>가 3.09±0.97 로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인 반면, <A3. 정원법률, 정책 파 악하기>가 2.98±0.9로 가장 낮은 수행수준을 나타났다.

    요구수준 또한 <A1. 정원문화 개념 이해하기>가 3.66±0.97 로 가장 높은 요구수준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A2. 정원가 치 이해하기>와 <A4. 정원활동 이해하기>임무 순으로 높은 요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 정원기술의 이해> 임무에서는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기>가 3.19±0.98로 나타나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인 반면, <B4. 테마정원 조성하기>는 3.09±1.01로 가장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요구수준 또한 <B3. 정원식물 관리방법 이해하 기>가 가장 높은 요구를 보였고 <B4. 테마정원 조성하기>가 가장 낮은 요구수준으로 평가되었다. <C. 봉사활동의 이해>의 수행수준은 <C1. 자원봉사 특성알기>, <C2. 자원봉사활동 계 획 수립하기>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요구수준은 <C2. 자원봉 사활동 계획 수립하기>와 <C6. 자원봉사 결과 평가하기>의 요 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 교육과정 개발>의 작업 에서는 <D3. 교육 세부계획 수립하기>가 3.15±0.95로 가장 높 은 수행수준을 보였으며, 요구수준에서는 <D6. 교육과정 설계 하기>가 3.75±0.95로 높게 분석되었다. <E. 교육과정 운영>에 서는 <E5. 과정 진행하기> 작업이 가장 높은 수행수준으로 분 석된 반면, 요구수준에서는 <E3. 예산 확보 및 관리하기> 작업 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 교육생 사후관리하기> 임무는 <F4. 활동 우수사례 발굴하기> 작업의 수행수준이 3.10 ±0.98로 가장 높았으며, 요구수준은 <F1. 활동단체 구축하기> 와 <F2. 보수 심화교육 프로그램 지원하기>가 높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마지막으로 <G. 전문성 개발>에서는 <G1. 예술문 화활동 경험하기>가 가장 높은 수행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 석되었으며, <G5. 의사소통능력 및 상담기법 학습하기> 작업 의 요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는 Kwack et al.(2001)이 제시한 정원전문가의 역할인 지역조경활동, 일반원예활동, 환경영향 평가, 행정활동, 생활수준 향상과 비교하면, 지역조경활동 및 일반원예활동, 환경영향평가에는 정원문화의 이해와 정원기술 에 이해와 유사하였으나, 생활수준 향상은 봉사활동 임무에 속하는 반면 행정활동은 별도의 임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전문분야로 숲 해설가의 직무 중 의사소통 능력, 목표확인하기, 대상자 파악하기, 대상자 정하기, 예산기 획 작성하기, 홍보하기, 평가계획 하기, 교재 만들기, 교구 준 비하기 등과 유사하였다(Ha 2006). 정원전문가 양성과정을 기 획,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역할로 원예치료사 직무분 석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자기개발 임무와 전문성 심화를 위한 측면과 유사한 임무를 갖는 결과를 나타냈다 (Kim 2010). 교육프로그램 운영은 주로 교사, 상담컨설팅 등 교육 분야 직업의 직무에서 나타났으며, 정원문화의 이해, 정 원기술의 이해, 봉사활동의 이해, 교육생 사후관리는 마스터 가드너 코디네이터만의 특이한 임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 행연구인 정원전문가의 임무와 차별된 임무로 봉사활동의 이 해는 Lee and Wi(2007)의 연구에서 활동계획 수립하기, 평가 하기, 실행하기, 네트워크 관리하기, 대상자 파악하기 등이 유사 한 작업으로 도출되었다. 미네소타대학(Kwack et al. 2017) 에 서는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에 대하여 미국의 농촌 지도 사업에 포함하여 예비 정원전문가를 선발, 정보를 전달 하고 활동을 촉진시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실질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라 하면서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자원 봉사 및 프로그램 관리의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자원봉 사의 임무를 강조하였다.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작업 및 역 량별 수행분석결과 모두 현재 수행수준이 미래 요구수준보다 낮게 분석되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스터가드너 코디네이터 직무분석 결과, <A. 정원문화 이해>, <B. 정원기술 이해>, <C. 봉사활동 이 해>, <D. 교육과정 개발>, <E. 교육과정 운영>, <F. 교육사후 관리>, <G. 전문성 개발> 등 7개의 임무와 41개 작업을 도출 하였다. 전체 작업 중 요구수준과 수행수준 모두 <C> 봉사활 동의 이해>, <G. 전문성 개발> 임무와 같이 현재 맡고 있지 않거나 업무에 필요성이 없는 임무 및 작업은 낮게 나타난 것 으로 분석되었으며, 반대로 높게 나타난 임무 및 작업은 응답 자들의 현재 업무와 관련이 있거나 경험이 있는 임무를 중심 으로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ure

    FRJ-28-1-21_F1.gif

    Job description of master gardener coordinator.

    Table

    DACUM committee members in this study.

    Job related knowledges, skills, and attitude for master gardener coordinat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Performance rate of duty and task.

    Reference

    1. Borich C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 Teacher Educ 31:39-42
    2. Ha SY (2006) Study on programs of forest interpreter's training c ourses. PhD-thesis, S eoul U niv, S eoul, Korea
    3. Han HW , Han SW , Kim JS , Kim KJ (2017) Assessment of programs and operation for consumer horticultural education at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centers in Korea.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407-419
    4. Kim BH , Choi SO , Chung BY , Yoo YS , Kim HS , Kang KA , Yu SJ , Jung Y (2010)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general hospice palliative nurse. J Korea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3:13-23
    5. Kim SY (2010) Job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ist using DACUM and desig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PhD-thesis, Kunkuk Univ, Seoul, Korea
    6. Kwack HR , Han SW , Lee JS , Kim SK (2001)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master gardener progr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virginia cooperative extensio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9:23-30
    7. Kwack HR , Oh DM , Kim YH , Lee AK , Lee SH , Lee WS , Lee SM , Lee DJ (2017) Korean master gardener program operational manual. The Society for Korean Master Gardener, Kyunggi, Korea
    8. Lee BJ , Wi MS (2007) Task analysis of museum volunteer manager. J Korean Cult and Arts Educ Studies 2:97-120
    9. Lee WS , Sim SY , Lee SY , Cho CH , Kim SJ , Lim JW , Oh DM , Park KY (2015) Roadmap for development and national extension of Korean master gardener program.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3:205
    10.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7) Act on development and support of urban agricultur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Accessed Jan. 2020, http://www.law.go.kr/main.html
    11. Oh YK , Choi JY (2005) Methods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programs. Hakjisa, Seoul, Korea.
    12. Yoon DY , Cho SH , Bae EK (2011) A study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the DACUM job analysis in Korea. J Educ and Cult 17:87-115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