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7 No.1 pp.60-67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9.27.1.09

Analysis of a Survey on Public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the “Smart Green Office” to Help Encourage Creation of the Program
‘스마트 그린오피스’ 활성화를 위한 일반인 인식 및 선호도 분석

Sang Im Oh, Sung Won Cho, Ja Hee Lee, Ae Kyu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116, Korea

오 상임, 조 성원, 이 자희, 이 애경*

단국대학교 환경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Ae Kyung Lee Tel: +82-41-550-3646 E-mail: akleekr@dankook.ac.kr
12/10/2018 28/12/2018 08/01/2019

Abstract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ublic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a “smart green office” to help establish the program. Our survey comprised 195 respondents who answered questions about their perception of indoor plants and thei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a smart green offic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most people preferred indoor plants and had positive attitudes about the accessibility and need for a smart green office. Because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the positive effects of indoor plants, such as improved air quality (52.0%) and stress relief (34.0%), they recognized the function of indoor plants and the need for a smart green office program. According to a public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is type of program, 15.4% of the respondents either knew about or had heard of the concept; however, after explaining the program in more detail, the >90%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a smart green office and wanted to implement the program. The main reason given to implement the program was to help purify the air (83.6%), and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wall garden style (41.0%) and air-purification plants (70.8%). In addition, when asked about the cost (45.6%) and maintenance (28.2%) of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costs were expected to be < 2 million KRW (56.4%) and 200 - 450 million KRW (38.5%), respectively. Additionally,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for deactivation of the program, respondents answered “low awareness” (25.1%) and “low needs” (42.6%). They also suggested that those promoting the concept must “strengthen marketing” (46.2%) and “increase indoor plant interest” (38.0%) to enhance the program; therefore, various methods, such as better publicizing a smart green office program and providing a wall garden design using air-purification plants are needed to better inform the public and to encourage acceptance of the program.




초록


    서 언

    우리나라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발전으로 도시화가 빠르 게 진행되었으며, 녹지 면적은 자연스럽게 감소되어 1인당 6m2 이하로 세계식량농업기구 권고 최저 기준인 9m2에 미치 지 못한다(The Construction Economic Daily 2013;Yoo and Lee 2014). 도시화로 인해 녹지공간이 부족해짐과 함께 실내 냉・난방 기계 및 건축자재의 유해물질로 환경오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실내는 실외보다 100배 이상 오염물질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Yoo et al. 2015). 하루에 20시간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들은 직장에서 다량의 문서 작업과 높은 재실밀도로 인한 먼지와 이산화탄소 축적 등으로 두통과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건물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때문에 건강에 악영향을 받으며, 건물증후군을 겪 는 근로자들은 실내 공기 질에 만족하지 못해 업무효율에 한 계를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hin and Kim 2017;Yang 2014).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오피스 실내의 공기 질 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법을 개정하고 환기 및 공기정화 시설 등 을 도입하고 있으나 대부분 설치 및 관리비 등의 고비용이 발 생하여 제대로 운영・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Bea and Ji 2016; Lee et al. 2015;MOE 2014). 농촌진흥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오피스 공간에 식물을 도입함으로 써 공간혁신을 통해 녹색 휴식공간과 건강한 사무공간을 제공 하고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그린오피스(Smart Green Office)’를 추진하고 있다(RDA 2017). 식물 배치는 오피스 공 간 내 부피대비 2%, 면적 대비 5%로 배치할 때 공기정화 효 율이 높아 미세먼지 69%, 포름알데히드 50%, 톨루엔 60%를 제거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RDA 2017;Yoo et al. 2015), 공중습도 증가와 심리적 안정감도 함께 제공하여 집중력을 높 여주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2004). 현재, 주거공간과 공공장소 내 실내식물의 필요성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짐에 따라 오피스 공간에도 적용하기 위해 여러 정 책이 발표되면서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을 시작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스마트 그린오피스’는 홍보가 미흡한 실정 으로 정부와 몇몇의 기업들만 실행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인 식 및 수요와 그에 따른 구체적인 요구사항 파악을 통해 ‘스마 트 그린오피스’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맞춤 홍보가 필요하다 (Oh and Jung 2012;RDA 2017;Yoo et al.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스마트 그린 오피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 록 선호도를 알아보고,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5월에 수행하였으며, 대부분 회사를 다니 고 있는 일반인 총 195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사전 설 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스마트 그린오피스’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파악을 위해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직업, 근무지역 등을 조사하였으며, ‘스마트 그린 오피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 앞서 실내식물에 대한 인식(선 호도, 접근성,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스마트 그린오피 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와 개념을 설명한 후 인식에 대해 조사 하였으며,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필요성과 선호도(선호 형태, 식물, 설치 비용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SPSS 23.0 Statistics, IBM, Korea)을 사용하여 설문응답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내식물과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식 및 선 호도 조사 후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Kaiser-Meyer-Olkin(KMO) 측정치를 통한 적절성 검토와 Bar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KMO값은 0.75로 나타났으며 KMO값은 1에 가까울 수록 요인분석 적용이 적합함을 의미하고 0.90~0.99는 매우 높음, 0.80~0.89는 약간 높음, 0.70~0.79는 적당함, 0.60~0.69 는 평범함, 0.50 이하는 부적합함을 의미한다(Kaiser 1974;Kang et al. 2013). 공통성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Barlett의 구 형성 검정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상관계수 행렬의 요인분석 적합성은 χ2은 92.04(p≤0.001)로 나타나 적합함을 검정하였 다. 공통성(communality)은 추출된 요인에 의한 변수의 설명 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울수록 해당 변수에 대한 설명 이 적합함을 의미한다(Kang et al. 2013).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s)은 문항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요인의 해당변 수를 설명해주는 값으로 0.40 미만이면 유의하지 않음, 0.40 이상이면 유의함, 0.50 이상이면 매우 유의함을 의미한다 (Kang et al. 2016). 또한, 공통성과 함께 요인들이 가진 변수 의 분산 설명도를 나타내는 총분산을 조사하였다. 신뢰도는 Chronbach α값으로 내적일관성을 분석하였고 값이 0.6 이상 일수록 신뢰도가 적합함을 의미하며(Lee et al. 2012), 본 연구 의 Chronbach α값은 0.73으로 내적일관성을 갖음을 검증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식물의 선호도, 접근성 및 필요성과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식 및 선호도에 대하여 위와 같이 통 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본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Table 1), 남자 37.9%, 여자 62.1%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 으며, 연령분포는 10대에서 30대까지로 10대 0.5%, 20대 99%, 30대 0.5%로 20대가 가장 많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직업은 학 생 4.6%, 직장인 94.9%, 기타 0.5%로 대부분 직장인들이 설 문에 응하였으며, 근무지는 경기 40%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 28.7%, 충청 18.5%, 인천 7.2% 순으로 조사되었다.

    실내식물의 선호도, 접근성 및 필요성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지도 및 인식에 대해 조사하기 앞 서 실내식물에 대한 선호도와 접근성 및 필요성을 조사한 결 과(Table 3), KMO값이 0.605, 유의수준 0.001 이하로 나타나 요인분석의 타당함을 검정하였으며, 총 분산은 59.3%로 비 교적 적절한 변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선호도와 접근성 및 필요성은 공통성에 입각하며, 신뢰도 (Chronbach α)는 0.625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소 실내식물을 선호한다’ 문항에서 ‘매우 그렇 다’와 ‘그렇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37.9%와 44.1%로 설문 응답자 중 대부분이 실내식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변에서 실내식물을 접할 기회가 있다’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23.6%, ‘그렇다’ 31.8%로 설문 응답자의 55.4%가 긍정 적인 대답을 하였으며, ‘그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도 각각 16.9%, 2.6%로 약 29.5%가 부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내식물의 선호도 결과와 같이 접근성 조사에서 도 긍정적인 답변으로 나타났다. 실내식물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가 각각 42.6%와 37.4%로 실내 식물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음에 따라 필요로 하는 사람들 또 한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20세기 후반부터 식물과 자연환경 에 노출되는 것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 근 거가 발표되면서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기 시작 하였으며(James et al. 2015;Lee et al. 2016), 최근에는 실내 식물을 반려동물처럼 옆에 두고 함께 살아가는 식물이란 뜻으 로 ‘반려식물’이라 명명해 온라인이나 미디어를 통해 노출되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Shindonga 2018). 이와 같이 식물이 주 는 긍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사람들이 주변 식물에 대해 관심 을 갖기 시작하고 실내식물을 가까이 두길 원하는 사람이 많 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식물을 통해 효과를 경험한 사람과 어떠한 효과인지 대 한 구체적인 이유를 조사한 결과(Fig. 1A), ‘실내식물을 통해 효과를 경험하였다’에 긍정적으로 답한 응답자는 68%로 그렇 지 않은 사람보다 약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실내식물에게 어떠한 효과를 받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이유 를 조사한 결과(Fig. 1B), ‘공기 질 향상’이 52%로 가장 많았으 며, ‘스트레스 해소’ 34%, ‘능률 향상’ 8%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Kim and Kang(2004)의 연구에서 실내식물은 오염물질 을 정화시키고 녹색효과를 제공하여 쾌적감을 증진시킨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실내식물을 이용해 원예활동을 경 험한 사람은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는 연구 결과와 같았다 (Lee and Lee 2016). 따라서, 실내식물은 공기 질 향상, 스트 레스 해소 등과 같은 심리적 안정 및 환경 개선의 긍정적 효 과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인지를 알려 홍보 방안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그린오피스(Smart Green Office)’의 인식 및 선호도

    ‘스마트 그린오피스’에 대하여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Table 4), 인지도 및 선호도의 문항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검증한 KMO값이 0.786, 유의수준이 0.001 이하로 나타나 요인분석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의 총 분산은 55.9%로 비교적 적절한 변수 설명력을 지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각 요인 은 공통성에 입각하며 신뢰도는 0.698로 내적 일관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설문 결과, ‘스마트 그린오피스’를 들어 본 경험이 있다’라는 문항에 ‘예’라고 답한 응답자는 15.4%, ‘아니오’라고 답한 응답자는 84.6%로 ‘스마트 그린오피스’에 대 해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인지 도 조사와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 후, 필요 성과 설치 희망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예’라고 답한 응답자 는 각각 96.4%와 94.4%로 긍정적인 답변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를 통해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필요성이 높은 만큼 설치 또한 희망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시 선호하는 형태 및 식물과 비용 을 조사한 결과(Table 5), KMO 값 0.700, 유의수준 0.009로 나타나 요인분석은 타당하였으며, 총 분산은 67.5%로 적절한 변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각 요인은 공 통성에 입각하며, Chronbach α를 통한 신뢰도는 0.699로 높은 내적 일관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기능성에 대해 ‘어떠한 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서 ‘공기정화’가 83.6%로 가장 많았으며, ‘스트레스 해소’ 6.7%, ‘실내 디자인’ 6.2%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 서 설문 응답자들이 실내식물로부터 경험한 효과에 대해 조사 한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Kim and Kang(2004)은 기 존오피스 건물 내 그린화를 위해 필요한 평가요소 중 ‘쾌적한 실내공기’가 상위지표로 지목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설문의 응답자들은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을 통해 쾌적한 근무환경 및 건강한 사무공간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시 선호하는 식물을 조사한 결과 (Table 5), ‘공기정화 식물’이 70.8%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공기정화 식물 중 수염 틸란드시아와 아이비는 미세 먼지 제거 효율이 각각 69%와 65%로 효과적이며, 이 외에 네 프롤레피스와 스킨답서스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RDA 2017), 이에 따라 ‘스마트 그린오피스’ 설치 시 수염틸란 드시아, 아이비, 네플로레피스와 스킨답서스 등 공기정화에 효과적인 식물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형태 선호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벽면형태’가 41.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린테이블’ 25.1%, ‘화분형태’ 16.4%, ‘부착형 화분형태’ 11.8%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결과 는 Yoo and Lee(2014)의 업무공간 내 그린인테리어 시 벽면 디자인을 선호한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벽면 중 심의 그린인테리어는 제한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 며, 특히, 녹시율 20%의 벽면 중앙에 가로로 연결된 벽면 형 태를 업무자가 선호하는 것과 같이 제한된 공간을 식물로 활 용하고자 벽면형태가 선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스 마트 그린오피스’ 확산을 위해 수염틸란드시아와 아이비와 같 은 공기정화 식물의 비율을 높이고, 벽면 활용을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그린오피 스’ 설치 시 선호하는 형태와 식물 외에 고려할 점으로 ‘설치 비용’이 45.6%로 가장 많았으며, ‘유지관리’ 28.2%, ‘인테리어 디자인’ 25.1%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적정 설치비용’ 을 조사한 결과, ‘200만원 이하’와 ‘200~450만원’이 각각 56.4% 와 38.5%로 나타났으며, ‘스마트 그린오피스’ 보급을 위해 공 기정화 식물로 벽면형태 디자인과 설치 방법 및 비용 절감 등 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적절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스마트 그린오피스’ 설치 및 유지비용과 관련 하여 구체적인 금액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RDA(2017)에 따르 면, 국내 사무공간 그린인테리어 임대 및 관리업을 하고 있는 A업체가 ‘스마트 그린오피스’를 위해 2017년 2월 기준 170개 기업, 월 렌탈 비용 200,000천원으로 보고하여1개 기업의 설 치 및 유지비용은 약 1,120천원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현 재 ‘스마트 그린오피스’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렌탈 비용은 본 연구의 조사 결과와 비슷한 가격으로 업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그린오피스(Smart green office)’ 활성화를 위한 방안

    ‘스마트 그린오피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설 문 조사한 결과(Fig. 2A), ‘낮은 인지도’ 와 ‘스마트 그린오피 스’의 개념을 인지하지 못해서 ‘불필요’가 각각 25.1%와 42.6% 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법을 모색하고자 설문 을 진행한 결과(Fig. 2B), ‘적극적인 홍보 및 마케팅’이 46.2% 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실내식물에 대한 관심도 향상’이 30.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RDA(2017) 는 ‘스마트 그린오피스’ 활성화를 위해 실내식물의 기능 및 효 과,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도입 사례, 공간별 배치 모델을 제 시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TV 및 기사 등 언론 홍보 를 3년간 약 1900건을 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인지도가 낮고 ‘홍보 및 마케팅’이 가장 필요하다고 나타 난 설문 결과에 따라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올바른 의미를 알 리고, 선도 ‘스마트 그린오피스’를 설치하는 등 구체적인 사례 를 통해 이용자들이 다양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관 심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디자인 개발 및 모델 제시(Yoo and Lee 2014) 등과 같이 대중들이 다방면으 로 접할 수 있도록 ‘스마트 그린오피스’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내용에 따라 응답자들은 공기 질 향상과 스트레스 해 소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실내식물을 선호하며, ‘스마 트 그린오피스’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고 설치를 원하는 응 답자들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시 벽면형태와 공기정화 식물을 선호하기 때문에 공기정 화가 우수한 식물 위주로 벽면형태 식재가 필요하며, ‘200만원 이하’의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디자인 개발 및 모델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그린오피스’에 대해 인지도가 낮고 개념을 인지하지 못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스마트 그린오피스’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마케팅과 홍보를 통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 록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스마트 그린오피스(Smart Green Office)’에 대해 대중의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보고,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195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실내식물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 그린 오피스’의 인식 및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 과, 설문에 참여한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실내식물을 선호하며, 접근성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변한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응답자들이 실내식물을 통해 ‘공기 질 향상(52.0%)’ 및 ‘스 트레스 해소(34.0%)’등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한 적이 있기 때 문에 실내식물의 기능을 인지하고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 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지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알거나 들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15.4%로 적었으나 개념을 설명한 후, 필요성을 느끼고 설치를 원하는 응답자들 은 90%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들은 ‘공기정화(83.6%)’ 기능 때문에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이 필요하다고 하였으 며, 오피스 내 도입 시‘공기정화 식물(70.8%)’로 이루어진 벽 면형태(41.0%)’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용 (45.6%)’과 ‘유지 관리(28.2%)’등의 문제가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시 고려하는 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설치 시 비용은 ‘200 만원 이하(56.4%)’와 ‘200~450 만원(38.5%)’을 선호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식 및 선호도와 더불 어 비활성화에 대한 원인을 조사한 결과, ‘낮은 인지도’ 및 ‘스 마트 그린오피스’의 개념을 인지하지 못한 ‘불필요’가 각각 25.1%와 42.6%로 조사되었으며, ‘적극적인 마케팅 및 홍보 (46.2%)와 ‘실내식물에 대한 관심도 향상(38.0%)’이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스마트 그린오피 스’의 올바른 의미를 알리고, 공기정화 식물로 이루어진 벽면 형태의 디자인 개발 및 모델 제시와 같이 ‘스마트 그린오피스’ 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홍보를 통한 다양한 정보 제공 등 여 러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FRJ-27-1-60_F1.gif

    Experience and type of effectiveness for indoor plants. (A) experience of effectiveness for indoor plants, (B) type of effectiveness for indoor plants about respondent ‘Yes’.

    FRJ-27-1-60_F2.gif

    Reasons of inactive and solutions on smart green office for survey. (A) Reasons of inactive on smart green office, (B) solutions for activation on smart green offic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

    Analysis of the Chronbach α of the question by composition and classification.

    Analysis of perception on preference, accessibility, and needs for indoor plants. Variance total cumulative 59.3%, reliability of each factor 0.605.

    Analysis of awareness and perception on needs and hope to installation for smart green office. Variance total cumulative 55.9%, reliability of each factor 0.786.

    Preferred factor and style for installation on smart green office. Variance total cumulative 67.5%, reliability of each factor 0.700.

    Reference

    1. BeaGN , JiJH (2013) Management policy and control technology for indoor air quality i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378-389
    2. JamesP , BanayRF , Hart JE, Laden F(2015) A review of the health benefits of greenness. Cur Epidemiol Rep 2:131-142
    3. KaiserH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cka 39:31-36
    4. KangJY , KangHY , Kim NN, Lee MJ, Kim YJ, Kim JH, Yeo SJ, Seo YY, Suh EY(2016)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Korean J Adult Nurs 28:191-201
    5. KangTH , ChoHY , Oh MA(2013) A study on the use-realit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educational research. J Korean Asson Educ Methodol 25:521-541
    6. KimJA , KangMS (2004) A cast study on interior environment for greening of existing office buildings. J Agr Inst Korean 24:211-214
    7. KimMJ (2004) Physiological responses and CO2 removal efficiency of foliage plants according to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MS-thesis, Kunkook Univ, Seoul, Korea
    8. LeeCH , ChoiB , Cheon MY(2015) Stabilization of soil moisture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a plant-biofilter integration system. Korean J Hort Sci Technol 33:751-762
    9. LeeGS , DoSJ , Song HA(2016)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reshmen. Adolescent Res 23:53-73
    10. LeeS , LeeAK (2016)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reference of horticulture activities of clerical workers. Flower Res J 24:42-48
    11. LeeSD , JangEJ , Park CH(2012) The recogn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t Seoul type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5:79-84
    1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Environment white paper. Sejong, Korea
    13. OhGS , JungGJ (2012) A field study on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occupants’ perceived air quality, sick building syndrome symptoms, and learning concentration with indoor plants in university classrooms. J Arch Inst Korean 28:261-268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7) A symposium: towards the on-site application of the ‘Smart green office’. Wanju, Korea
    15. ShinEY , KimGH (2017) A study on university office worker’s perception of indoor air quality (focused on K university). J Sustain Design Educ Environ Res 16:69-76
    16. Shindonga (2018) Accesed Jan. 2019, http://shindonga.donga.com/3/all/13/1179876/1
    17. The Construction Economic Daily (2013) Citizen of Seoul, ‘Result in extracting the investment to improve the happiness index’. http://www.cnews.co.kr
    18. YangYK (2014) Study on the survey indoor environment in the office building during winter. MS-thesis, Chungang Univ, Seoul, Korea.
    19. YooEH , JangHS , Kim KJ, Jung HH, Kim YJ(2015) Effect of green interior home on emotional psychology of huma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8:249-256
    20. YooM , LeeEH (2014) The impact of modulized interior landscape on office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J Korean Inst Interior Design 23:220-230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