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5 No.4 pp.189-198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7.25.4.02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n Hydrangea Flowering in Box Cultures for Cut Flowers
배지 및 EC가 절화용 상자재배 수국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Myung Sun Lee, Bon Soon Ku*, Moon Soo Cho
Department of Horticulture, Daegu University, Gyeongsan 38453, Korea

이 명선, 구 본순*, 조 문수
대구대학교 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Bon Soon Ku +82-53-850-5735bsku@daegu.ac.kr
20171217 20171222 2017122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on the flowering of four cultivars (‘Magical Amethyst’, ‘Magical Emerald’, ‘Magical Pearl’, and ‘Magical Sneeuwbal’) of Hydrangea macrophylla in box culture. Plants were treated with five different growth media [cocopeat : bed soil (1 : 1, v/v), rockwool, cocopeat, bed soil, and perlite], and five ECs (0.8, 1.0, 1.2, 1.4, and 1.6 dS·m-1) in each medium. For ‘Magical Amethyst’ Pink, flowering took place from July 4 to July 17, with rates >75% in all media, except rockwool, and the rates per branch were the highest at 85% with 0.8 dS·m-1 EC. The longest flower stalk length was 77.3 cm, which was grown in cocopeat with 0.8 dS·m-1 EC. Flower diameter was the longest to 19.4 cm at 0.8 dS·m-1 EC of perlite. For ‘Magical Emerald’ Pink, flowering took place between May 18 and June 12. Nearly all media presented flowering rates of 100%, and the rates per branch were the highest at 100% in cocopeat: bed soil (1 : 1, v/v) and rockwool with 0.8 dS·m-1 EC. Flower stalk length and flower diameter were 62.1 and 25.8 cm, respectively, in bed soil with 1.4 dS·m-1 EC. In ’Magical Pearl’ White, flowering took place from May 30 to June 8 with rates of 75% for all media with 0.8 dS·m-1 EC, and the rates per branch were the highest at 95.8% in rockwool and perlite. Flower stalk length in bed soil was 53.7 cm with 1.6 dS·m-1 EC, and flower diameter was 24.7 cm with 0.8 dS·m-1 EC. Flowering rates per plant for ‘Magical Sneeuwbal’ White, which flowered between May 20 and June 25, were the highest in cocopeat and bed soil. Flower stalk length and flower diameter were the longest at 71.7 cm in cocopeat with 1.6 dS·m-1 EC and at 24.0 cm in bed soil with 1.4 dS·m-1 EC.



초록


    서 언

    수국(Hydrangea macrophylla)은 다른 절화류에 비해 화서 가 크기 때문에 화려함과 볼륨감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어 화 훼장식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Ku and Cho 2014). 국내 에서의 절화용 수국은 2005년에 처음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 으며(Kim 2010) 2007년도의 국내 생산량은 약 3만본에 이르 며 반면에 수입 절화용 수국은 약 33만본 정도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u 2011). 수입 절화용 수국의 경우 2006년 16만 본에서 2011년 172만본으로 약 10배 이상 증가하여 수입의존 도가 매우 높은 품목으로 이들의 국내 생산력 향상을 위한 재 배 기술개발 등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Lee et al. 2015; MIFAFF 2012). 절화용 수국은 1회 식재로 해마다 수확이 가 능한 화훼작물로서 장기적으로 재배할 때 연작장애나 영양불 균형 등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수국의 화색은 토양 의 pH에 따라서 또는 토양 속의 알루미늄 성분에 의해서 붉 은 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하므로(Naumann and Horst 2003; Schreiber et al. 2011; Takeda 2006; Yoshida et al. 2003) 토 경재배로서는 균일한 화색을 생산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수국에 있어 고품질의 절화생산을 위해서는 토경재배보다 영 양 조건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지경 베드나 상자 재 배가 절실히 필요하다. 상자재배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이 저 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력된 재배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국은 일반적으로 삽목에서 출하까지 52주 이 상이 소요되는 작물로 개화를 위해서는 4~7℃에서 약 6주 간 의 저온기간이 필요하므로 상자재배를 통해서 촉성 및 억제재 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절기 휴면을 통해 난방비를 절감 할 수가 있으며 시설이용 효율도 높일 수 있다. 고품질의 절 화생산을 위해 나리(Chae 2008; Kim et al. 1998), 알스트로메 리아(Cho et al. 2009) 그리고 히아신스(Ku and Cho 2017) 등에서 상자재배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수국의 화폭은 지름이 20cm 정도로 화형이 큰 식물이기 때 문에 비료의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화훼류에 속한다 (Kwak 2005). 일반적으로 양액재배 시 배양액의 농도는 절화 의 생장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식물의 종류나 생장단계 및 환경조건에 따라 배양액의 농도를 달리 해 주어야 하는데 이는 배양액의 농도가 식물의 생장, 수 량 및 품질을 좌우할 수 있는 양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또한 식물의 생육은 배지의 종류나 관수방법에 따라 서도 다를 수 있다.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양액재배에 있어서도 식물이 필요로 하는 적정 양액을 공급하 여 양액의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생장을 최대화하려는 필요성 이 제기되고 있다(Ji et al. 1996). 대부분 양액재배에서는 인 공배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비료와 수분을 동시 에 자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배지 내 염류가 과다하게 축척 되어 식물에 염류장해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절화용 작 물의 생장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합한 배지 선정 및 배양액 농도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양액재배 시 근권 의 완충능을 보완할 목적으로 고형배지가 선호되며(Kang et al. 1998) 적합한 배지의 조건으로 보수성, 보비성 및 통기성 이 높아야 하고 가볍고 재사용이 가능해야 하며 재배기간 동 안 이화학적 변화가 없어야 한다(Hwang et al. 2003). 주로 사용되는 배지로는 암면, 피트모스, 펄라이트 등이 있으며 (Kang et al. 1998) 필요에 따라 각각 단용 또는 혼용으로 이 용되고 있다(Ahmad et al. 2012; Awang et al. 2009; Yasmeen et al. 2012). 배지에 따른 절화 생산에 관한 연구는 장미(Kim et al. 1997), 국화(Hwang et al. 2003), 프리지아(Lee 2016)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양액재배에 관한 연구는 장미(Chung 1994; Han et al. 2001), 거베라(Kil et al. 2011), 나리(Chae 2008; Kim et al. 1998) 등에서 수행되었지만 이에 대한 절화 용 수국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절화용 수국 상자재배에서 절화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배지 선발과 EC 농도를 구명하여 절화 안정생산의 재배 기반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은 2008년 7월~2009년 10월 충북 진천 소재 월드플라 워컴퍼니의 연동 비닐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는 네 델란드 Kolstrt B.V.에서 수입한 분홍 화색 계통의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Amethyst’와 H. macrophylla ‘Magical Emerald’, 그리고 흰 화색 계통의 H. macrophylla ‘Magical Pearl’과 H. macrophylla ‘Magical Sneeuwbal’ 등 총 4품종의 삽수를 사용하였다. 2008년 7월 14일경 네델란드에서 도착한 4품종의 삽수를 40구 트레이를 이용하여 45일간 삽목하였다. 뿌리가 완전히 내린 개체를 9월 1일에 60×40×26cm(L×W×H) 크기인 플라스틱 상자에 2개체씩 정식하였다. 배지는 암면 (block 60×20×12cm), 코코피트(chip:dust = 5:1, v/v, Cocopeat, Brown and CN Lanka Ltd., SriLanka), 원예용상토(Baroker, Seoul Bio Co., Korea), 펄라이트(Parat, Samson Co., Korea) 등을 각각 단용으로 그리고 Cocopeat(chip)와 bed soil을 1:1(v/v)로 혼합하여 수행하였다. EC는 장미처방(Sonneveld 표 준액[다량원소(NH4-N 1.5, K 4.5, Ca 3.25, Mg 1.125, NO3-N 11.0, SO4 1.25, H2PO4 1.25mmol·L-1), 미량원소(Mn 5.0, Zn 3.5, B 20, Cu 0.75, Mo 0.5, Fe 25μmol·L-1)] 배양액을 0.8, 1.0, 1.2, 1.4, 1.6dS·m-1 등의 5처리로 하여 비순환식으로 점적 관수하였다. pH는 5.5로 고정하였다. 매일 08시부터 18시까지 한 상자당 2시간 간격으로 2분 동안 6회씩 점적관수하였다. 양 액 공급은 정식 후부터 공급하였으며, 식재 후 1달이 지난 10월 1일에 기부에서 2마디를 남기고 일괄 적심을 하였다. 동절기인 12월부터 물량을 급격하게 줄여 1일 1회씩 관수하였고, 주간 온도는 10℃ 이하로 야간 온도는 5℃ 이하로 관리하였다. 익년 4월 15일부터 75% 흑색 차광망을 씌워 관리하였다. 실험은 처리 당 4개체씩 3반복 완전임의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개시부터 완료시까지 병해충 및 기타 관리는 일반 관리방법에 준하여 관 리하였다. 생장조사는 정식 후 약 39주 후에 조사하였다. 2009년 6월 5일에 식물체당 개화율, 분지수당 개화율, 절화장, 화폭 등 을 조사하였다. 식물체당 개화율은 처리구에서 분지수와 상관없 이 한 가지라도 개화하면 개화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분지수 당 개화율은 식물체의 분지수당 개화율을 조사하였다. 개화일 은 2009년 5월~7월까지 조사하였으며 ‘Magical Amethyst’와 ‘Magical Emerald’의 경우 화색이 분홍색을 띠는 시기, ‘Magical Pearl’와 ‘Magical Sneeuwbal’ 경우 화색이 흰색을 띠는 시기를 기점으로 하였다. 화판 변색기(classic stage)는 본래의 화색이 녹색으로 변한 시기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들은 통계분 석용 프로그램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1,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수국 ‘Magical Amethyst’

    수국은 다른 절화류에 비해 꽃이 화려하고 화서가 크기 때문에 화훼장식에 있어서 볼륨감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이 때문에 고품질의 절화를 생산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개화율, 절화장 그리고 화폭 등을 들 수 있다. 분홍색 계열인 수국 ‘Magical Amethyst’의 개화반응은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았다. 모든 처리에서의 개화는 7월 4일에서 7월 17일 사이에 이루어져 적심 후 개화까지 약 277~290 일이 소요되었다. 식물체당 개화율은 코코피트:원예용상토(1:1, v/v), 원예용상토 그리고 펄라이트에서 75% 이상으로 나타났으 며 반면에 암면과 코코피트에서의 개화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 났다. 코코피트의 경우 높은 농도의 EC 1.6dS·m-1에서만 100% 의 개화율을 보였고 낮은 농도에서는 원예용상토와 혼용하였을 때 개화율을 높일 수 있어 코코피트를 사용할 경우 단용보다는 원예용상토와 혼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분지수당 개화율 은 펄라이트의 EC 0.8dS·m-1에서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각의 배지의 낮은 EC에서 분지수당 개화율이 높은 경향을 보여 EC의 농도가 분지당 개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였다. 절화장은 코코피트의 EC 0.8dS·m-1에서 77.3cm로 가 장 길게 나타났다. 암면의 경우 EC 1.4~1.6dS·m-1의 높은 EC에 서 절화장이 길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배지에서는 일반적으로 EC 0.8~1.0dS·m-1의 낮은 EC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암면의 경우 보수성과 통기성은 좋지만 무기원소를 흡착시킬 수 있는 능력이 없으므로(Lee and Choi 1995) 다른 배지와 달리 높은 EC에서 절화장이 길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절화는 규격에 따라 품질을 결정 짓는 등급이 달라지는데 각 절화 종류에 따라 적정 규격이 정해져 있다. 수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절화장이 60cm 이상에서 유통되고 있는데 본 실험의 결과에서 절화장이 60cm 이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배지나 EC에 따라 절화장의 차이가 있으나 재배상의 관리에 유의만 한다면 모든 처리가 수국의 상자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폭은 암면의 EC 0.8dS·m-1, 원예용상토의 EC 1.0dS·m-1, 그리고 펄라이트의 EC 0.8dS·m-1에서 각각 18.3, 18.4 그리고 19.4cm로 가장 양호 하게 나타났다. 보수력과 공기함유율이 높은 배지에 따라 높은 EC보다 낮은 EC에서 화폭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Wang (1998)Phalaenopsis에서 EC가 증가함에 따라 화폭이 감소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배양액의 농도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Kim et al.(1998)은 나리류 상자재배 시 양액의 EC 0.8~1.2dS·m-1에서 절화품질이 양호하였다고 보고 하였다. 화폭은 대부분 10cm 미만의 봉오리 단계가 많았고 절화 장이 크게 신장된 것으로 보아 ‘Magical Amethyst’는 개화시기가 늦은 만생종 품종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gical Amethyst’ 는 다른 품종들과 달리 만개 시 화폭이 20cm 이하였으며 화폭고 도 낮아 화폭모양이 볼(ball)형태가 아닌 평면 형태였으며 처음 녹색이던 꽃(꽃받침)이 분홍색과 일부 녹색을 함께 띠다 녹색으 로 변색되는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원래의 색에서 녹색으로 변색되는 단계인 화판변색기는 8월 6일~8월 18일로 나타났다(Table 1).

    수국 ‘Magical Emerald’

    또 다른 분홍색 계열인 수국 ‘Magical Emerald’의 경우 Table 2와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처리에서의 개화 는 5월 18일에서 6월 12일 사이에 이루어졌고 적심 후 개화 까지 약 230~255일이 소요되었다. 모든 처리에서의 식물체당 개화율은 거의 100%로 높게 나타나 배지의 종류나 배양액의 농도는 개화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한 편 분지수당 개화율은 코코피트:원예용상토(1:1, v/v)와 암면 의 EC 0.8dS·m-1에서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배 지에 있어서 높은 EC 보다는 낮은 EC에서 분지당 개화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 처리에서의 분지수당 개화율은 50.0~95.0%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이때 개화가 되지 않은 분지가 많았는데 이는 삽수의 정식시기와 적심시기가 늦어 묘 목의 영양생장이 불량하여 도장지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 된다. 절화장은 원예용상토와 펄라이트의 EC 1.4dS·m-1에서 각각 62.1과 60.7c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agical Emerald’ 는 ‘Magical Amethyst’에 비해 절화장이 대부분 22.4~50.0cm 정도로 매우 짧은 경향을 보인 반면에 화폭은 20cm 이상으로 컸다. 이는 영양생장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생 식생장으로 전환되면서 영양분이 꽃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 품종을 국내에서 재배 시 일반적으로 4월에 삽수 를 채취한 뒤 5월경에는 정식해서 묘를 충실히 키운 다음 그 이듬해에 꽃을 채화하는 것이 화경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폭은 원예용상토의 EC 1.4dS·m-1에 서 25.8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모든 처리에서 대체로 화폭 이 20cm 이상으로 나타나 배지나 배양액의 농도는 화폭 증가 에 크게 영양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Magical Emerald’ 의 경우 화판의 색이 처음에는 흰색에서 아주 연한 분홍색으 로 바뀐 후 바로 녹색으로 변색이 진행되어 아주 연한 분홍색 일 때가 이상적인 채화시기로 판단된다. 화판의 변색시기는 6월 8일에서 6월 24일 사이에 이루어졌고 꽃받침이 수평으로 전개되면서 중앙의 꽃이 피고 꽃잎이 떨어지기 전에 꽃받침의 색이 변색 되므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화판 변색시기가 아주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2, Fig. 1). 또한 일찍 꽃이 핀 것보다 늦게 핀 꽃에서 변색이 더 빨라지는 경향을 보여 온도 가 높아질수록 화판의 변색되는 시기가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국 ‘Magical Pearl’

    흰색 계열인 수국 ‘Magical Pearl’의 개화반응은 Table 3에 서 보는 바와 같았다. 개화는 5월 30일에서 6월 8일 사이에 이루어졌고 적심 후 개화까지 약 242~251일이 소요되었다. 식 물체당 개화율은 원예용상토와 펄라이트의 EC 1.6dS·m-1에 서 75%로 나타난 것을 제외하곤 모든 처리구에서100%로 나 타났으며 분홍색 계열인 ‘Magical Emerald’과 유사한 개화반응 을 보였다. Chae(2008)와 Lee(1998)는 나리 재배 시 배지의 종류가 개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 품종도 식물체당 개화율은 높은 반면에 분지수당 개화율은 50.2~95.8%로 광범 위하게 나타났다. 특히 암면과 펄라이트의 EC 0.8dS·m-1에서 분지수당 개화율이 95.8%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코코피 트:원예용상토(1:1, v/v)의 EC 1.2dS·m-1에서 분지수당 개화 율이 50.2%로 가장 낮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펄라이트가 분지 수당 개화율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다. 절화장은 대부분의 처리에서 60cm 이하로 짧았으며 그나마 원예용상토의 EC 1.6dS·m-1에서 53.7cm로 가장 길었다. 화폭은 암면의 EC 0.8dS·m-1에서 24.7cm로 가장 컸으며 대부분의 처리에서 20cm 이상으로 크게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보였다. 각각의 배지에 있어서도 EC 0.8dS·m-1에서의 화폭이 크게 나타나 배지의 종류보다는 배양액의 농도가 화폭 증가에 중요한 요인 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또한 ‘Magical Emerald’ 의 경우와 유 사하게 나타났다. Park et al.(1997)은 무화과 양액재배 시 코 코피트 배지나 펄라이트 배지보다 암면 배지에서 생육이 좋았 다고 보고하였고 Kim et al.(1997)은 장미 양액재배 시 펄라이 트 배지가 암면배지와 마찬가지로 절화품질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암면배지와 펄라이트 배지는 자체에 양분 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배지를 이용할 때 고농 도의 EC에서 생장이 좋을 것으로 추측하였으나 낮은 EC 0.8dS·m-1 처리에서 개화반응이 양호한 것으로 보아 각 배지 가 갖고 있는 물리적 특성인 보수력과 통기성 그리고 배수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Magical Pearl’ 의 개화시 기는 5월 30일∼ 6월 8일로 ‘Magical Emerald’ 보다 조금 늦은 경향을 보였다. 화판 변색시기는 개화 후 1달 정도 뒤인 7월 초에 이루어졌다(Table 3). 다른 품종들과 달리 39주 개화반 응 조사 후 미숙했던 가지들에서 상당부분 개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화폭이 작아서 절화로써의 상품가치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수국 ‘Magical Sneeuwbal’

    흰색 계열인 수국 ‘Magical Sneeuwbal’의 개화반응은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았다. 개화는 5월 20일에서 6월 25일 사이에 이루어졌고 적심 후 개화까지 약 232~268일이 소요되었다. 식물 체당 개화율은 일반적으로 코코피트와 원예용상토 배지에서 높 은 경향을 보이며 코코피트 배지에서는 EC 0.8dS·m-1를 제외한 농도에서 그리고 원예용상토 배지에서는 EC 1.6dS·m-1를 제외 한 처리에서 100%의 개화율을 보였다. 배지의 종류와 배양액의 농도 각각 또는 상호작용이 개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분지수당 개화율은 암면 그리고 펄라이트의 EC 1.0dS·m-1에서 각각 93.7 그리고 87.5% 높게 나타났으며 코코 피트:원예용상토(1:1, v/v)의 EC 1.6dS·m-1에서 6.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Magical Pearl’과 같이 ‘Magical Sneeuwbal’에서 도 분지수당 개화율이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원예용상토의 EC 1.6dS·m-1에서 71.7cm로 절화장이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배지 의 종류에 따른 절화장은 원예용상토에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보였다. EC보다는 배지의 종류가 ‘Magical Sneeuwbal’의 절화장 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화폭은 원예용상토의 EC 1.4dS·m-1에서 24cm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화판 변색기는 7월 1일~8월 9일에 이루어졌다(Table 4).

    이상의 결과를 살펴본 바와 같이 절화용으로 이용되기 위해서 는 개화율, 절화장 그리고 화폭, classic stage등이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절화용 수국의 등급단계 는 아직 기준화가 되어 있지 않고 주로 국내에 수입되는 콜롬비아 산 수국의 등급에 의존하고 있다. 콜롬비아산 수국은 절화장이 60cm가 기본이고 화폭의 경우 크기에 따라 select(15~17cm), super select(18~20cm), premium(21~23cm), grande(23cm 이 상) 등의 4단계로 등급을 나누고 있다. 적정한 배지의 종류나 EC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준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절화장이나 화폭 등이 충족되었다 하더라도 적정한 화색을 띤 시기에 채화하는 것도 고품질의 절화를 생산할 때 매우 중요하다 고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수국은 개화시에 화색의 변화단계를 만개 전의 상태(왼쪽), 만개 상태(가운데), 클래식 단계(오른쪽) 등으로 구분하는데(Fig. 1) 원래의 품종색을 띤 만개 상태에서 가장 많이 절화로 이용되며 일부는 클래식 단계에서도 절화로 이용된다. 화색의 클래식 단계에 이르는 시기는 품종에 따라 그리고 배지나 EC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 전의 상태에 있는 절화는 채화시 물올림이 잘 되지 않아(Ku and Cho 2014) 절화로 이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채화하는 시기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상자재배시 배양액의 전 이온 농도는 작물의 생육 및 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배양액의 EC로 양액의 삼투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근권 부위에 유용한 이온의 양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지표로 사용된다. 이러한 EC도 어떤 배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Namiki(1986)는 양액재배 시 양액의 조성 농도는 식물의 종류 및 품종, 작형, 고형배지의 종류 및 배양액의 공급방법 등에 따라 다르다고 보고하였다. 적정한 배지의 선택도 절화의 품질을 향상 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hmad et al. 2012). 본 실험에 이용된 4품종을 종합해 보면 일반적으로 ‘Magical Amethyst’는 펄라이트 EC 0.8dS·m-1, ‘Magical Emerald’는 코코 피트:원예용상토(1:1, v/v) 또는 암면 EC 0.8dS·m-1, ‘Magical Pearl’은 암면 EC 0.8dS·m-1, 그리고 ‘Magical Sneeuwbal’는 암면 EC 1.0dS·m-1에서 절화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 생각 된다. 비록 ‘Magical Amethyst’를 제외한 나머지 3품종에서 절화장 이 짧았으나 이는 정식 및 적심시기를 좀더 앞당기면 절화장을 길게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생장단계별로 양액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양분의 이용효율을 증진시키면서 경제적인 생산 체계를 갖출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초 록

    절화용 수국 4품종(‘Magical Amethyst’, ‘Magical Emerald’, ‘Magical Pearl’, ‘Magical Sneeuwbal’)의 상자재배시 배지의 종 류 및 배양액의 EC 농도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홍색 계열인 수국 ‘Magical Amethyst’의 경우, 개화는 7월 4일에서 7월 17일 사이에 이루어 졌다. 식물체당 개화율은 코코피트:원예용상토(1:1, v/v), 원예 용상토 그리고 펄라이트에서 7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분지수 당 개화율은 펄라이트의 EC 0.8dS·m-1에서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절화장은 코코피트의 EC 0.8dS·m-1에서 77.3cm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화폭은 펄라이트의 EC 0.8dS·m-1에서 19.4cm로 가장 컸다. 또 다른 분홍색 계열인 수국 ‘Magical Emerald’에 있어서 개화는 5월 18일에서 6월 12일 사이에 이루 어졌다. 식물체당 개화율은 모든 처리에서 거의 100%로 높게 나타났으며 분지수당 개화율은 코코피트:원예용상토(1:1, v/v) 와 암면의 EC 0.8dS·m-1에서 100%를 보였다. 절화장과 화폭은 각각 원예용상토의 EC 1.4dS·m-1에서 62.1cm 그리고 25.8cm 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흰색 계열인 수국 ‘Magical Pearl’의 경 우, 개화시기는 5월 30일에서 6월 8일이었으며 식물체당 개화율 은 대부분의 처리에서 75%를 보였으며 암면과 펄라이트의 EC 0.8dS·m-1에서 분지수당 개화율이 95.8%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절화장은 원예용상토의 EC 1.6dS·m-1에서 53.7cm로 가장 길었으며 화폭은 암면의 EC 0.8dS·m-1에서 24.7cm로 가장 컸 다. 흰색 계열인 수국 ‘Magical Sneeuwbal’에 있어서 개화는 5월 20일에서 6월 25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식물체당 개화율은 일반 적으로 코코피트와 원예용상토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절화장 과 화폭은 원예용상토의 EC 1.6dS·m-1과 EC 1.4dS·m-1에서 각각 71.7cm 그리고 24cm로 가장 높았다.

    추가 주요어: 원예용상토, 코코피트, 화폭, 개화율, 개화일, 절 화장, 암면, 펄라이트

    Figure

    FRJ-25-189_F1.gif

    Stages of flower color change during cultivation indicating before full bloom (A), full bloom (B), and classic (C) in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Emerald’.

    Table

    Effect of substrates and EC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Amethyst’ after 39 week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yNS, *, **, *** 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Effect of substrates and EC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Emerald’ after 39 week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yNS, *, **, *** 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Effect of substrates and EC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Pearl’ after 39 week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yNS, *, **, *** 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Effect of substrates and EC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Sneeuwbal’ after 39 week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yNS, *, **, *** 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Reference

    1. AhmadI. AhmadT. GulfamA. SaleenM. (2012) Growth and flowering of gerbera as influenced by various horticultural substrates. , Pak. J. Bot., Vol.44 ; pp.291-299
    2. AwangY. ShaharomS.S. MohamadR.B. SelamatA. (2009)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copeat-based media mixtures and their effects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elosia cristata. , Am. J. Agric. Biol. Sci., Vol.4 ; pp.63-71
    3. ChaeS.C. (2008) Effect of planting density, growing medium and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lily in box culture. , Flower Res J, Vol.16 ; pp.36-43
    4. ChoK.C. HwangI.T. KimH.G. GiG.Y. KimB.S. KimJ.G. HanT.H. (2009) Effects of substrate and the amout of nutrient supply on the growth and flower quality of container cultured alstoemeria. , Korean J Hort Sic Technol, Vol.27 ; pp.136[Abstr].
    5. ChungS.K. (1994) Studies on the simple installation, cutting propagation and root-zone warming for rock wool cultivation in cut rose (Rosa hybrid). PhD-thesis., Wonkwang Univ,
    6. HanY.H. SimY.G. ChoiK.B. YuS.N. (2001) Effect of harvesting height on yield and quality of cut roses in rockwool culture. , Korean J Soc Hort Sic, Vol.42 ; pp.95-98
    7. HwangI.T. ChoK.C. HanT.H. ChoiK.J. ChungS.J. KimK.S. (2003) Growth responses of hydroponically-grown Dendranthema grandiflorum cv. Chungwoon as affected by substrates and nutrient solution formula. , Korean J Soc Hort Sic, Vol.44 ; pp.114-119
    8. JiE.Y. OhW. KimS.H. KimK.S. (1996) Effects of changes of nutrient solution with different ionic strength by growing stage on growth of hydroponically grown Dendranthema grandiflorum. , Korean J Hort Sic Technol, Vol.14 ; pp.428-429[Abstr].
    9. KangZ.L. YuC.Y. ChoD.H. (1998)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genotypes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and root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 J Korean Soc Pla Res, Vol.11 ; pp.353-357
    10. KilMJ ShimMS ParkSK (2011) Growth responses of potted Gerbera ?~Sunny Lemon ?(tm) under non-nutrient solution recycling system by media and nutrient contents. , J Agr Life Sci, Vol.45 ; pp.73-80
    11. KimJ.B. KangD.S. SongG.W. SinW.K. (1997) Development of hydroponics system for a rching culture of cutrose flower using perlite media. , Korean J Hort Sic Technol, Vol.215 ; pp.383-384[Abstr].
    12. KimK.J. KimY.J. LeeC.H. (1998) Effect of EC levels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in the box nutriculture of lilies. , Korean J Hort Sic Technol, Vol.16 ; pp.402[Abstr].
    13. KimH.S. (2010) Effects of postharvest treatment methods on the vase life of cut Hydrangea macrophylla. MS-thesis., Chungnam National Univ,
    14. KuB.S. (2011) Study on the cutting propagation, solution culture and vase life of cut Hydrangea macrophylla. MS-thesis., Daegu Univ,
    15. KuB.S. ChoM.S. (2014) Vase life and quality as affected by various holding solution of cut Hydrangea macrophylla. , Flower Res J, Vol.22 ; pp.12-20
    16. KuB.S. ChoM.S. (2017) Effects of GA3 treatments and shading on growth and flowering of Hyacinthus orientalis in box culture. , J Korean Soc Flo Art Design, Vol.37 ; pp.207-216
    17. KwakB.H. (2005) Practice in floriculture., Hyangmungsa, ; pp.95-98
    18. LeeC.W. ChoiJ.M. (1995) Root media-properties of components and mixing ratio. , Gyeongsang National Uni Res Soc Protected Hort, Vol.2 ; pp.43-57
    19. LeeJ.J. (2016) Effect of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Freesia hybrid ?~Gold Rich ?(tm) in nutrient culture. , Korean J Hort Sic Technol, Vol.35 ; pp.30-37
    20. LeeJ.S. ChoK.C. HwangI.T. KiG.Y. KimH.K. KimB.S. HanT.H. JungS.K. ChoiH.S. (2015) Effects of container size and frequency of nutrient solution supply on growth of cut Hydrangea ?~Adria ?(tm) and ?~Rosita ?(tm) with g reenwood c uttings. , Flower Res J, Vol.23 ; pp.136-143
    21. MIFAFFMIFAFF (2012) 2012 The current state of flower cultur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2. NamikiT. (1986) Theory and practices of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 Agr Hort, Vol.61 ; pp.197-201
    23. NaumannA. HorstW.J. (2003) Effect of aluminum supply on aluminum uptake, translocation, and blueing of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cultivars in a peat-clay substrate. , J. Hortic. Sci. Biotechnol., Vol.74 ; pp.463-469
    24. ParkS.G. LeeB.S. ParkY.S. ChungS.J. (1997) Responses of growth and fruit yield by substrates and cultivars in hydroponically grown f ig t rees (Ficus carica L). , Korean J Hort Sic Technol, Vol.15 ; pp.259-260
    25. SchreiberH.D. JonesA.H. LariviereC.M. MayhewK.M. CainJ.B. (2011) Role of aluminum in red-to-blue color changes in Hydrangea macrophylla sepals. , Biometals, Vol.24 ; pp.1005-1015
    26. TakedaK. (2006) Blue metal complex pigments involved in blue flower color. Proc Jpn. , Acad Ser B, Vol.82 ; pp.142-154
    27. WangY.T. (1998) Impact of salinity and media on growth and flowering of a hybrid Phalaenopsis orchid. , HortScience, Vol.33 ; pp.247-250
    28. YasmeenS. YounisA. RayitA. RiazA. ShabeerS. (2012) Effect of different substrates on growth and flowering of Dianthus caryophyllus cv. ?~Chauband Mixed ?(tm). , Am-Euras J Agr Environ Sci, Vol.12 ; pp.249-258
    29. YoshidaK. Toyama-KatoY. KamedaK. KondoT. (2003) Sepal color variation of Hydrangea macrophylla and vacuolar pH measured with a proton-selective microelectrode. , Plant Cell Physiol., Vol.44 ; pp.262-268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