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다육식물은 식물분류학상 약 50과 1만종이 넘는 식물로 분 류될 만큼 아주 다양한 형태와 생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줄기 나 잎 또는 뿌리에 수분을 함유하는 저수조직이 발달하여 육 질이 두껍고 체내에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사막이나 고 산지대 같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생존할 수 있다(Lee 2014; Park 2006; ROKC 2008). 다육식물의 이러한 특성들은 가정 에서 관수를 자주 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엽형과 엽색이 아름다워 최근 실내 녹화나 인테리어 소품으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Jeong 2013; Lee 2014). 화제(Crassula americana ‘Flame’)와 적귀성(Crassula capitella)은 Crassula속 식물로 잎 이 두 장씩 호생을 하며 흰색의 작은 꽃이 무리지어 봄부터 가 을까지 핀다. 또한 엽색은 계절에 따라 조금씩 변하는데, 특히 가을에는 진한 적색을 띠며 아름답게 변한다. 부용(Echeveria ‘Pulv-oliver’)은 Echeveria속에 속하며 잎은 두툼하며 흰털이 뒤덮고 있어 질감이 좋다. 꽃은 봄부터 가을까지 붉은 주황색 의 작은 꽃이 핀다(Lee 2014; Park 2006; ROKC 2008; Yun 1989).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들 식물종은 초장이 너무 길어서 초세가 엉성해지거나 옆으로 쓰러지기 때문에 소비자 들이 꺼려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식물들의 초장 을 조절해서 키가 작고 옆으로 쓰러지지 않는 분식물을 만드 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그동안 분화류의 초장을 억제시켜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시도 되어 왔던 기술은 생장억제제를 처리하는 기술이다(Chon et al. 2014; Eum et al. 2010; Kim and Chung, 2003; Kim et al. 2009). 생장억제제로는 ancymidol, Chlormequat(CCC), daminozide(B-9), paclobutrazol, uniconazole 등과 같은 다양 한 화학물질들이 실험에 사용되어 왔다(Choi et al. 2003; Eum et al. 2010; Katz et al. 2003; Nam et al. 2009; Park and Kim 2001). 이들 화학물질들은 특정한 식물이나 특정한 처리방법으로만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거나 환경을 오염 시킨다는 이유로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Paclobutrazol과 uniconazole은 대표적인 triazole계 물질로 다른 생장억제제와 는 달리 엽면살포, 토양관주 또는 침지처리 같은 다양한 처리 방법으로도 효과가 있으며 대상 작물도 광범위한 장점이 있다 (Bailey 1992; Barret 1982; Chon et al. 2014; Eum et al. 2010; Lee 2004). 처리 효과의 지속기간도 다른 물질들보다 월등히 길다고 알려져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Cho et al. 2004).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생장억제제들은 식물의 종류 와 처리농도, 처리방법, 처리시기 등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Bailey 1992; Banon et al. 2002; Barret 1982; El-Khoreiby 1990; Lee et al. 2004), 식물 종별로 적정 처리농 도 및 처리방법 등이 구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paclobutrazol과 uniconazole을 초장조절을 필요 로 하는 몇 가지 다육식물에 처리하고 식물들의 생육반응을 조사함으로써 고품질 상품을 만들기 위한 적정 농도를 구명하 고 사용방법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식물 생장억제제 처리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다육식물 농가에서 화제(Crassula americana ‘Flame’), 적귀성(Crassula capitella), 부용(Echeveria ‘Pulv-oliver’)을 구매하였다. 구매한 다육 식물은 삽수를 채 취하여 묘를 증식하였다. 건전하고 균일한 묘들만 선발하여 직경 8cm 유색비닐포트에 정식하였다. 정식 용토는 질석 : 피트모스 : 펄라이트를 4 : 3 : 3(v/v/v) 비율로 배합하여 사 용하였고, 정식 후 3주가 경과한 7월 10일에 생장억제제를 1 회 관주처리하였다. 생장억제제는 paclobutrazol[(2RS,3RS)-1- (4-chlorophenyl)-4,4-dimethyl-2-(1H-1,2,4-triazol-l-yl)pentan- 3-ol]과 uniconazole[(E) -1-(4-chlorophenyl)-4,4-dimethyl-2-(1H -1,2,4-triazoL-1-yl)pent-1-en-3-ol]를 사용하였다. Paclobutrazol 의 농도는 5, 25, 100, 200mg・L-1, uniconazole은 5, 20, 50, 100mg・L-1로 각 포트당 40mL씩 토양관주하였다. 처리당 10본 씩 3반복 처리하였으며 생장억제제를 처리한 식물은 난괴법을 이용하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비닐하우스내에 배치하였다. 수 분관리는 주 1회 두상관수하였다. 비닐하우스 안의 광도는 광 도계(HD 9021, 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서 측정하였다. 온실내 온도 및 상대습도의 변화는 온습도 기록계(RHT20, Extech Instruments Co., US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 고 Fig. 1에 나타냈다.
생육조사 및 통계처리
생장억제제 처리 후 1개월 간격(8월 10일, 9월 10일, 10월 10일)으로 다육식물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으로 는 초장, 초폭, 엽장, 엽폭, 엽색을 조사하였으며 초장은 지제 부에서 정단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엽장, 엽폭, 엽색은 정단부에서 6번째 전개된 잎을 조사하였다. 엽색 측정은 색차 계(CR-400, Konica minolta sensing, Inc.,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타는 SPSS 프로그램(version 12.0, IBM, USA) 을 사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처리간의 유의적 인 차이는 5%의 수준에서 던컨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s test)으로 사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Paclobutrazol과 uniconazle 처리에 대한 몇 가지 다육식물 의 초장과 엽형과 같은 생장반응은 식물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식물종에 대해 생장억 제제 처리 1개월째부터 초장 신장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 났으며, 3개월째 조사에서는 그 효과가 더 분명하였다(Fig. 2). 특히 화제와 적귀성은 생장억제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 장 억제효과도 크게 증가하였다. 화제의 경우, paclobutrazol 5mg・L-1와 uniconazole 5mg・L-1 농도에서 대조구 대비 약 40~46%의 초장 신장 억제효과를 보여 상품가치가 높은 적절한 초장이 되었으나, paclobutrazol 100mg・L-1 이상과 uniconazole 50mg・L-1 이상의 농도에서는 왜화효과가 지나치게 나타나 상 품가치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다(Fig 2, 3). 적귀성도 마찬가지로 대조구에서는 초장이 너무 커져서 식물체가 옆으 로 쓰러지는 결과가 되었으나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초장이 억 제되어 쓰러지지 않았다. 적귀성에서는 화제에서와 같이 지나 친 고농도에 의한 생육정지 및 노화와 같은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uniconazole 5mg・L-1 이상의 모든 농도에서 초장이 거의 같을 정도로 왜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자주꽃방망이 (Kim et al. 2004)와 참나리(Jeong and Kwon 2005), 디기탈리 스(Chon et al. 2014)에서도 paclobutrazol과 uniconazole 처 리로 초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관상가 치를 고려하여 1~5mg・L-1 농도가 적당하고 보고하였다. 적귀 성의 경우 금후 uniconazole 5mg・L-1 이하의 농도에서도 초장 신장 반응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적 귀성에서 대조구와 paclobutrazole 5mg・L-1에서는 꽃대가 신 장하고 꽃눈이 발달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 서는 꽃눈이 보이지 않아 왜화제 처리에 의해 개화가 억제되 는 것으로 보인다(Fig. 3). Eum et al.(2010)도 하늘나리에 uniconazole 100mg・L-1를 분무처리했을 때, 초장 신장과 개화 를 완전히 억제시켰다고 보고하였으며, Kim(2004)도 층층나 무에 uniconazole을 지나치게 높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개 화가 늦어지고 하엽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paclobutrazol 100mg・L-1과 uniconazole 50m g・L-1 이상의 고농도로 처리된 화제는 생육이 정지되고 잎이 노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화제와 적귀성의 초장 조절을 위한 paclobutrazol과 uniconazole의 적정 농도는 5mg・L-1이거나 또는 그 이하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 용에서는 상기 다른 두 식물과는 다르게 왜화효과가 크게 나 타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생육이 좋지 않았다. 이는 부용 은 실험 도중 화아분화가 시작되어 초장 신장 생장이 정상적 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식물생장억제제가 다육식물의 초폭 생장억제에 미치는 영 향에 있어서서는 적귀성에서는 크게 나타났으며, 화제는 유의 적인 차이가 보인 반면 부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거의 보 이지 않았다(Table 1, 2, 3, Fig. 3). 적귀성에서는 대조구에서 초폭이 15.3cm였으나 생장억제제 처리구에서는 7.0~7.4cm로 대조구에 비해 50%나 작게 나타났다. 이는 대조구에서는 개 화가 진행되어 꽃대가 길게 신장됨으로써 초폭이 넓어지고 식 물체가 균형이 무너졌으나, 처리구에서는 개화가 되지 않거나 개화가 되었어도 꽃대 신장이 크게 억제되어 치밀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다육식물중에 개화시 꽃대가 지나치게 길어져 관상가치를 손상하거나 초세의 균형이 깨지 는 종류들에게는 생장억제제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개화를 하더라고 관상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고 고품질의 다육식물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장억제제 처리에 의해 화제와 적귀성의 엽장은 두가지 생 장억제제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진 반면, 엽폭은 저농 도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고 지나친 고농도에서는 감소하였 다(Table 1, 2). 화제의 엽폭은 paclobutrazol 25mg・L-1까지는 대조구 1.57cm에서 1.9cm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나, 200mg・L-1 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지나친 고 농도에서는 식물체의 생육이 거의 정지된 상태로 노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Uniconazole 처리구에서 도 20mg・L-1까지는 화제의 엽폭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육이 정지되고 잎이 노화되는 현상이 발견되었 다. 엽형을 나타내는 엽형지수로 볼 때 대조구가 0.44인 반면, 두 왜화제 모두 25mg・L-1 이하의 농도에서는 약 0.79~0.90으
로 크게 증가하여 좁고 길었던 잎이 둥근 도란형으로 엽형이 크게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Fig. 4A). 적귀성의 엽형변화 도 화제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가지 생장억제제 농 도가 높아질수록 엽폭이 증가하였다(Table 2, Fig. 4B). 엽형 지수로 볼 때, 대조구에서는 0.51이었으나 모든 생장억제제 처리에서는 0.71~0.85로 증가하여 엽장은 짧아지고 엽폭은 넓 은 형태의 잎이 되었다. 이와 같이 생장억제제 처리로 잎의 형태가 둥글게 변화된 예는 춘란(Park et al. 2001), 금낭화 (Kim and Chung 2003), 나도풍난(Cho et al. 2004)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생장억제제는 잎의 형태만 둥글게 할 뿐 아 니라 줄기와 뿌리 및 잎의 길이 생장은 억제시키고 반대로 엽 폭과 줄기, 뿌리 직경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1998, Jee et al. 2000). 식물에서는 왜화제 처리에 의해 초장 만 짧아질 뿐 엽형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결과도 있어 엽형에 대한 생장조절제의 영향은 식물마다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장억제제의 처리에 따른 화제의 엽색 변화는 생장억제제 의 종류에 상관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엽색에 적색이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잎의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은 대조구에서 9.86이었으나, paclobutrazol 100mg・L-1 이상과 uniconazole 50mg・L-1 이상에서 15~16.7 사이의 수치를 보여 엽색이 밝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녹색에서 적색을 나타내 는 a* 값도 생장억제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치가 높아져 적색쪽으로 변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란색에서 노란색 을 나타내는 b* 값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적귀성에서는 화제와는 약간 다른 경향을 보 여 주었는데, L* 값은 생장억제제 농도에 상관없이 변화가 없 었고, b* 값은 생장억제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치가 낮아져 청색이 짙어지는 경향이었다. 녹색에서 적색을 나타내는 a*값 만은 화제와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치가 높아짐 으로써 적색이 짙어지는 경향이었다. 부용에서는 화제나 적귀 성에서 보였던 엽색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즉, 생장억제제 농도와 관계없이 명도나 색도에서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큐피어(Ahmad et al. 2015)와 카네이션(Banon et al. 2002)에서는 paclobutrazol 농도가 낮아질수록 엽색이 밝은 녹색으로 바뀌었다고 보고된 바 있어, 생장억제제에 대 한 엽색 반응도 다육식물의 종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장이 너무 커서 초세가 엉성하고 쓰러지기 쉬운 화제와 적귀성에 paclobutrazol이나 uniconazole를 5mg・L-1 또는 그 이하의 농도로 관주처리하면 초장이 낮아져 쓰러지지 않고, 엽형과 엽색이 아름다운 분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이들 식물은 개화 시 화경이 너무 길어져 초 세가 엉성해지고 도복되기 쉬운데, 생장억제제를 적절히 사용 하면 화경 길이를 적당히 조절할 수 있어 상품가치를 향상시 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용에 있어서는 다른 두 식물에 비해 긍정적인 효과가 보이지 않았으나, 5mg・L-1 이하의 낮은 농도로 세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