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4 No.4 pp.290-295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6.24.4.07

Effect of Agricultural Career Experience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Job Awareness
농업 관련 진로 체험 프로그램이 중학생 직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Sun Jin Jeong1, Seung Ju Lee2, Ji Won Park1, Yoon Ah Jang1, Jang Jeon Choi1, Gyung Mee Gim1, Sung Chun Lee3*
1Urban Agricultural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Wanjoo, 55365, Korea
2WOVEN CO., LTD, Yongin-si, 17005, Korea
3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정 순진1, 이 승주2, 박 지원1, 장 윤아1, 최 장전1, 김 경미1, 이 성춘3*
1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2(주)우븐,
3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Sung Chun Lee, +82-2-6490-5613, chun98@uos.ac.kr
December 1, 2016 December 23, 2016 December 24, 2016

Abstract

Since a free-learning semester has been introduced to middle school curriculum, interest in career experience programs has increased. To respond to this new demand, we developed a continuous agriculture-related career experience program linked with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examined the program’s effects on the job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April 8, 2015 to June 24, 2015, and consisted of 12 classes. The direct experience subprogram was based on 13 different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reflect producing (nine programs), cooking (two programs), and sales (two programs) of horticultural produces. For the indirect experience subprogram, we preliminarily selected 10 representative agricultural jobs, and based on the keywords analyzed from 7 direct experience programs, we chose to introduce seven jobs to the students by videos and the three others by written material. We th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roductory videos on job interes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by the students. We found that the student’s interes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regarding each job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hen direct experience and video watching were combined. Career awareness was improved for gardener (47.0%), nursery grower (42.0%), rural extension official (31.1%), eco-friendly farm material developer (30.9%), agricultural research official (23.4%), plant doctor (19.8%), and agricultural wholesale distribution experts (9.3%). Conclusively, it is expected that career experience program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tudents when both interest in the job and participation on direct experiences are encouraged.


중학교 교육과정 중 자유학기제가 도입되면서 진로체험 프 로그램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합인재 교육과 연계되면서 지속적인 농업관련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직업인식 변화를 조 사하고자 수행하였다. 2015년 4월 8일부터 6월 24일까지 총 12회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직접체험 프로그램은 생산(9), 요리(2), 판매(2)로 13가지 원예활동에 기반하여 구성하였다. 간접체험 프로그램은 농업관련 직업 10개 선정 후, 이 중 직 접체험 7가지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하여 7개 직업을 정하였 다. 정해진 7개 직업은 동영상을 제작하고 직접체험과 함께 동영상 시청을 병행하였으며 3개 직업은 직접체험과 함께 서 면으로만 교육하였다. 이후 동영상 시청 유무에 따라 직업에 대한 관심도, 이해도, 선호도로 직업인식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접체험과 동영상 시청을 병행하였을 때 각 직업에 대한 관심도(24.4%, p=***), 이해도(28.7%, p=***), 선호도 (26.7%, p=***) 모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직업별 인식은 가드너(47.0%), 육묘재배자(42.0%), 농촌지도사(31.1%), 친환 경자재개발자(30.9%), 농업연구사(23.4%), 식물의사(19.8%), 농산물도매유통전문가(9.3%) 순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학생 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직접체험과 더불어 직업에 대한 관심을 끌어낼 때 진로체험에서 큰 효과를 낼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23101

    서 언

    학생들의 창의성을 키워줄 미래지향적 역량함양 교육이 매 우 중요한 시점이다. 미래지향적 역량함양 교육의 일환으로 2013년 42개 연구학교 운영으로 시작된 자유학기제가 2016년 부터 모든 중학교에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자유학기제는 중 학교 교육과정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찾아 진로를 탐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체험 및 활동중심 학습을 통해 인성적, 사회적, 직업적으로 전인적 성숙을 지향하는 교육정책으로, 학생 자신 이 자기주도적으로 미래 진로에 대한 탐색과 설계과정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Eom 2015). 이에 발맞추어 음악, 역 사, 운동, 광고디자인 등 다양한 진로개발 프로그램이 개발되 고 있다(Song 2016).

    그러나 대부분 관람, 견학 등 일회성 체험프로그램 위주이 거나 관련 자료를 조사 분석하는 등의 간접 체험 위주의 교육 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배 울 수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Jin and Son 2001). 또한 중학생들이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직업을 체험하 고 효율적인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과 연계 된 농업관련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STEAM이 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 술(Arts), 수학(Mathematics)의 첫 글자를 딴 합성어로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높여 창의적이고 종합적으 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 는 교육이다(Seo 2012). 이는 일회성 체험이 아닌 지속적 체 험을 통해 체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양한 진로 체험 프 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프로그램 참여 후 각 직업에 대한 이해도, 관심도 등에서 어떤 유의적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거의 없다(Chung et al. 2012; Lee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농업관련 직업에 대한 진로 탐색을 가능케 하는 진로 체험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원예활동과 간접 체험인 직업 동영상 교육을 활용한 복합적 원예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기 초 계획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중학생들을 위해 개발한 농업관련 직・간접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농 업관련 직업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및 절차

    연구 방법

    농업을 기반으로 한 중학생 직・간접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 발을 위해 먼저 기존 농업기반 직업체험 사례 관련 문헌을 수 집하고 분석하였으며, 관련 전문가와의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참여학생 모집은 포스터를 제작하여 붙임으로 공개모집 하였 으며, 서호 중학교 텃밭동아리가 선정되었다. 직접체험 프로 그램을 실시하기 위해 서호 중학교 옥상텃밭과 학교교실을 체 험프로그램 장소로 정하였다.

    한편, 간접체험 프로그램은 농업관련 직업교육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농업관련 직업은 농직업의 종합적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를 기준으로(Jyung 1996) 연관된 직업 10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직접 체험활동 7개의 중요 키워드 분석 후 관련성 높은 직업 7개를 선발하여 직업교육용 동영상을 제작 하였다.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2015년 4월 8일부터 2015년 6월 24일까지 총 12회(1회 100분, 6 ~ 7교시 14:00 ~ 15:40) 에 걸쳐 경기도 수원시 서호중학교 1학년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방법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을 통해 얻 게 된 직업인식에 대한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체험프 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8일부터 2015 년 6월 24일까까지 Likert 5점 척도로 하여 12회 설문조사 하 였다(Park and Jung 2009). 토마토 기르기 직접체험 후 이와 연계된 10개 직업을 교육하였다. 이 때 동영상으로 제작한 7개 직업은 직접체험과 동영상시청을 병행하였으며, 3개 직 업은 동영상 제작 없이 직접체험 후 서면으로만 직업교육 을 하였다. 이후 직업에 대한 관심도(job interest), 이해도 (job understanding), 선호도(job preference)로 직업인식(job awareness)을 평가하였으며, 직접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동영 상 시청 유무에 따른 간접체험 프로그램을 비교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ver. 20.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설문내용은 T-test,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P < 0.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직・간접체험 프로그램 구성

    직접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생산, 요리, 판매 3가지로 총 13 가지 원예활동으로 구성하였다(Table 1). 생산 활동은 토마토 를 재배하는데 필요한 활동으로써 텃밭 디자인하기, 파종하기, 모종 키우기, 정식하기, 멀칭하기, 지지대 세우기, 비료주기, 방제하기, 인공수분하기로 구성하였다. 요리하기는 토마토 과 실을 이용하는 활동으로 수확하기, 요리하기로 구성하였다. 판매는 직접 재배한 토마토로 만든 요리를 판매하는 것으로 판매전략 세우기, 판매하기로 12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각 항목의 원예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Table 1). 생산 활동 중 1) 텃밭 디자인하기: 식물 간 재식거리를 알고, 그에 맞게 작물을 배치, 식물의 색깔・크기 등을 고려하여 텃밭디자 인하기, 2) 파종하기: 구멍을 만들고, 씨앗을 넣고, 흙으로 덮 은 후 물 주기, 3) 모종 키우기: 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수하며 적절한 온도와 습도 유지하기, 4) 정식하기: 모종 심을 자리에 구멍을 낸 후, 심을 자리에 물 주기, 구멍에 모종을 심은 후 흙으로 덮기, 5) 멀칭하기: 다양한 멀칭 소재 조사, 용도에 맞 는 멀칭 소재 선정, 텃밭에 선택한 멀칭소재로 멀칭하기, 6) 지지대 세우기: 지지대 준비, 지지대를 토마토 원줄기 옆에 꽂 은 후 끈으로 묶기, 토마토가 자라는 만큼 계속 끈으로 묶기, 7) 비료주기: 친환경 비료 만들기 자료 조사 후 선택한 재료로 친환경 비료 만들기, 완성된 친환경 비료를 식물에 뿌리기, 8) 방제하기: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있는지 관찰하고 진단에 따른 적절한 처방으로 방제하기, 9) 인공수분하기: 개화한 토마토를 흔들어 꽃가루가 날리게 하기, 붓을 이용하여 꽃을 톡톡 쳐서 꽃가루 날리게 하기였다.

    요리활동 중 1) 수확하기: 수확할 정도로 익은 토마토를 골 라 수확하기, 2) 요리하기: 토마토를 이용해 할 수 있는 요리 찾아보기였다. 판매활동 중 1) 판매전략 세우기: 기존의 판매 방식과 차별화된 아이디어 생각해보기,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 로 판매할지 생각해보기, 2) 판매하기: 판매할 장소, 판매할 품 목, 목표 수익 정하기, 결정한 마케팅 전략으로 판매하기였다.

    생산, 요리, 판매 체험프로그램에서 주요 식물재료로 토마 토를 선정한 이유는 잎채소 위주의 초록색 텃밭에 빨강, 노랑, 검정 등 열매가 달려 시각적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었다. 여러 종류의 크기와 색의 열매를 가진 토마토는 학생들이 다양성을 배울 수 있고(Kim and Lee 2010), 일정량의 햇빛과 수분이 공급된다면 환경에 크게 민감 한 작물은 아니기 때문에(Hwang et al. 2010) 중학생들도 충 분히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이다. 또한 토마토는 약 6 ~ 7개월 의 한 작기 동안 길러야 하며, 토마토스파게티를 비롯하여 샐 러드, 주스 등 여러 종류의 음식 재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 이었다(Kim 2013).

    농직업의 종합적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를 기준으로(Jyung 1996) 직접 체험활동과 연관된 직업을 선정한 결과 가드너, 육묘재배자, 농촌지도사, 친환경농자재개발자, 농업연구사, 농 산물도매유통전문가, 식물의사, 플로리스트, 로컬푸드요리사, 6차산업농업인 총 10개의 직업을 선정하였다(Table 2). 직접 체험활동의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1) 텃밭 디자인하기: 디자 인, 정원, 식물, 2) 모종 키우기: 환경조절, 육묘장, 유묘, 종자, 3) 멀칭하기, 지지대 세우기: 농업기술, 농촌, 4) 비료주기: ‘농 업자재(비료, 농약 등), 친환경, 5) 방제하기: 진단, 해충, 식물 병, 생리장해, 처방, 6) 인공수분하기: 작물, 실험, 신품종, 연 구, 7) 판매하기는 소통, 가격, 판매, 도매였다(Table 2). 키워 드를 기초로 가드너, 육묘재배자, 농촌지도사, 친환경농자재개 발자, 식물의사, 농업연구사, 농산물도매유통전문가 7개 직업 을 선발하였다(Table 2). 선발된 7개 직업은 직업교육을 위하 여 동영상으로 제작하였다. 7개 직업은 직접체험과 병행하여 동영상 시청을 통하여 직업교육을 하였으며, 플로리스트, 로 컬푸드요리사, 6차산업농업인은 동영상을 제작하지 않고 서면 으로만 직업 교육하여 동영상 교육 여부에 따른 프로그램 효 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이렇게 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을 ‘토마 토 재배부터 판매까지 직・간접 진로체험 프로그램’이라고 명 명하였다.

    직・간접체험 프로그램 효과

    토마토 기르기 활동의 직접적인 진로체험과 직업 소개 동영 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간접적인 진로체험 교육의 병행은 중학 생의 직업별 인식 정도인 관심도(24.4%, p=***), 이해도(28.7%, p=***), 선호도(26.7%, p=***) 모두 직업 소개 동영상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직업과 비교할 때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able 3). 특히 이해도는 동영상 교육이 병행된 경우 28.7% 로 영향력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나 동영상 교육이 없을 때 는 오히려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또 한 토마토 기르기에 기초한 각 직업의 직・간접 진로체험 교육 전후 직업별 인식은 가드너(47.0%), 육묘재배자(42.0%), 농촌 지도사(31.1%), 친환경자재개발자(30.9%), 농업연구사(23.4%), 식물의사(19.8%), 농산물도매유통전문가(9.3%) 순으로 향상되 었다(Fig. 1). 이 중 육묘재배자와 친환경자재개발자는 관심 도, 이해도, 선호도 모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가드너는 관심도와 이해도가, 농촌지도사는 관심도와 선호도에서 유의 적으로 향상되었다(Fig. 1). 진로체험 전 중학생들의 직업인식 의 세부항목 중 관심도와 이해도는 교육 후 직업인식 총합에 정의상관 관계를 보였으며(결과 미제시) 따라서 진로 체험교 육 시 직업인식을 위해서는 직접체험과 더불어 학생들의 관심 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개발사업(과제번호: PJ011231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FRJ-24-4-290_F1.gif

    Influe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career experience program on tomato cultivation, sales and job awareness (interes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Table

    Contents of direct career experience program based on horticultural activities.

    Direct career experience based on horticultural activities, key words, and agriculture-related job.

    Influence of indirect career experience by videos on job awareness (interest,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z(Post-vocational education scale - pre-vocational education scale) / pre-vocational education scale × 100 (%).
    yLevel by paired t-test.
    xIndirect career experience by video : Gardener (n = 13), Rural extension official (n = 17), Nursery growers (n = 23), Eco-friendly farm material developer (n = 14), Plant doctor (n = 17), Agricultural research official (n = 18), Agricultural wholesale distribution experts (n = 17).
    wIndirect career experience by non-video : Florist (n = 14), Local food cook (n = 17), Sixth industry farmer (n = 16).
    ***Significant at P < 0.05.

    Reference

    1. Chung YS , Go JS , Kang OH , Suh JH (2012)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work experience program for youth , Korean Soc Study Vocational Edu J, Vol.31 ; pp.217-240
    2. Eom KS (2015) Stable settlement scheme of free semester for research schools cases , Master-thesis, Catholic Kwandong Univ, Gangneung, Korea,
    3. Hwang SM , Kwon TR , Doh ES , Park MH (2010) Growth and physiological adaptations of tomato plant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response to water scarcity in soil , Protected Hort Plant Factory, Vol.19 ; pp.266-274
    4. Jin MS , Son YM (2001) A study on the program of work-based career guidance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 Korean Res I nstitute Vocational Edu Training (KRIVET), ; pp.16-23
    5. Jyung CY (1996) A study on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occupations , J Korean Soc Agri Edu Human Resource Dvelop, Vol.28 ; pp.1-29
    6. Kim JE , Lee SW (2010) A development and effects of biodiversity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ESD , J Korean Practical Arts Edu, Vol.16 ; pp.161-182
    7. Kim J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added with rosemary by different storage periods , Korean J Culinary Res, Vol.19 ; pp.116-129
    8. Lee JB (2009) A study on the program of work-based career guidance about Green Bio-technology industry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J Korean Practical Arts Edu, Vol.22 ; pp.127-150
    9. Park JW , Jung MS (2009) A note on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a Likert scale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 Vol.16 ; pp.669-673
    10. Seo JH (2012) Effects of STEAM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Master-thesis, Gyeongin National Univ of Education, Incheon, Korea,
    11. Song HN (2016) Proposal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Music and career' club program development , Master-thesis, Chonnam National Univ, Gwangju, Korea,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