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4 No.4 pp.296-303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6.24.4.08

Effect of Drainage Mix Ratio on Plant Growth of Cut Roses in a Closed System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혼합 비율이 절화장미 생육에 미치는 영향

O Hyeon Kwon1*, Bong Sik Yoo1, Su Young Lee1, So Young Kim1, Won Hee Kim2
1Flo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Wanju 44541, Korea,
2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Wanju 44541

권 오현1*, 유 봉식1, 이 수영1, 김 소영1, 김 원희2
1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2기획조정과
Corresponding author: O Hyeon Kwon, +82-63-238-6840, rkddnjseo01@korea.kr
September 6, 2016 October 5, 2016 December 7, 2016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table cultivation technology switchable from an open system to a closed system for cut roses. Closed growing system in different ratios of drainage and water was supplied to investigate the accumulation of macronutrients and roses growth. In treatment by the 30% mixing ratio of drainage to water, total amount of drainage was reduced since the medium stage of growth. However, in treatment by the 10% mixing ratio, total one of drainage continuously was increased to the blossom stage. Electric conductivity (EC) of initiation drainage on 10% mixing treatment was stable to t he blossom s tage. However, EC of d rainage on 3 0% mixing treatment was slightly increased. The pH of the drainage was maintained between 5.0 and 5.5 in both treatments. Phenolic compounds were not detected in the drainage, while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 little bit. When recirculated drainage was continuously used, the concentration of NO3-N, Ca, Mg, S, and K in the drainage was increased, but that of P was decreased. The content of Ca in the leaves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rainage mixing rate. No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 and in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cut rose.


본 연구는 장미의 수경재배 시 비순환식 시스템에서 순환식 시스템으로 전환 할 수 있는 안정적인 재배 기술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해 장미의 순환식 수경재배 시 배액과 원수의 비율을 다르게 혼합한 후 EC와 pH를 보정하여 공급하면서 처리 간 배액의 다량원소 집적경향과 절화장미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배액 탱크내의 배액의 총량은 30% 배액 혼합 처리 구는 생육 중반 이후 줄어들었으나, 10% 혼합 처리 구는 생육 중반 이후 총 배액의 증가율은 감소하였지만 배액의 총량은 계속 증가하 였다. 배액의 EC는 10% 혼합 처리 구는 일정수준을 유지하였 으며, 30% 혼합 처리 구는 약간 상승하였다. 배액의 pH는 두 처리 구 모두 5.0 ~ 5.5 사이를 유지하였다. 배액 내에서 페놀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미량의 유기산만 검출되었다. 배액을 계속해서 재사용 시 배액 내의 NO3-N, Ca, Mg, S, K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P은 감소하였다. 배액 내의 NO3-N, Ca, Mg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였으며, S, K, P은 감소하였다. 엽내 무기이온의 함량은 배액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Ca 함량이 낮 게 나타났다. 배액 혼합 처리구의 광합성량과 엽록소 함량은 통계적인 유의 차가 없었으며, 절화 수량 및 품질도 차이를 나 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을 30%까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791

    서 언

    국내 절화장미 생산액은 2005년 1,823억 원에 달하였으나, 최근 주요 수출국인 일본의 엔화 하락으로 인해 수출량이 감 소하면서 745억 원으로 감소하였으며 재배면적은 332ha이며, 이중 수경재배 면적은 약 60%인 191.6ha이다(MAFRA 2015).

    수경재배는 배양액의 재사용 여부에 따라 순환식과 비순환 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 절화장미 재배는 대부분 비순 환식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비순환식 수경재배에서 식물에 공급한 배양액 중 흡수하지 못한 배양액은 배액 처리되어 1ha 당 물 6,000톤, 질소 10톤, 인 1톤이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된 다(Lee 2014). 방출된 배액은 토양에 염류를 집적시키고 수자 원을 부영양화하여 환경을 오염시킨다. 또한 물과 비료의 소 실은 자원의 낭비를 유발한다. 배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순환식 수경재배는 손실되는 원수와 비료를 약 30% 절약할 수 있다(RDA 2006). 하지만 순환식과 비순환식 수경재배방식 은 작물의 생리, 생태적 경향이 다를 수 있다. Yang et al. (2003)은 펄라이트와 입상암면을 혼합한 고형배지경을 이용해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를 하였을 때 배양액 내 Ca과 Mg의 함 량이 증가하였으며, N는 고광ㆍ고온기의 생육 후반에 집적되 었고, P은 생육 초기에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Savvas and Passam(2002)도 순환식 수경재배는 Ca과 Mg이 집적되어 K보 다 많은 비료를 절약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순환식 수경재배에서는 무기이온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주기적 인 분석과 보정을 실시하여야 무기이온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다고 하였다. 네덜란드에서는 순환식 수경재배를 위해 주기 적으로 배액을 분석하여 보정하는 방식과 개별무기이온 계측 센서를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양분농도를 모니터링 하는 방식 이 시도되었다(Bamsey et al. 2012). 하지만 배액을 분석하여 보정하는 시스템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고가의 개별 이온제어 센서는 신뢰성이 낮은 편이어서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배액 혼합 비율이 무기이온의 집적과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험포장 유리온실 50m2에서 2013년 7월에 주간 21cm, 열간 20cm로 스탠다드형 장미 ‘Shiny Orange’ 를 30주씩 3반복으로 암면배지(25cm × 100cm × 7cm, Grodan, Denmark)에 정식된 묘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앞서 전정은 1주당 절곡부의 줄기의 수는 2 ~ 3개, 잎의 수는 30매를 남겼 다. 배양액의 최초 공급은 Table 1과 같은 배양액을 조성하여 공급하였으며, 이후 부족한 양분의 보정에도 사용하였다. 배 양액의 1회 공급량은 약 1주당 150mL씩 하루 중 총 7회 공급 하였다. 절곡 전정 이후 1주일 동안 버려지는 배액 400L를 저 장한 후, 저장한 배액을 원수와 각각 10%와 30%의 비율로 혼 합하여 EC 1.5m·S-1, pH 6.0으로 보정하여 공급하였다. 흘러 나오는 배액은 저장탱크의 배액과 혼합하여 재사용하였으며, 공급액과 배액의 무기성분 함량은 2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해 채취한 시료는 Whatman No. 2 여과지에 걸러서 Ion Chromatography(761 compact IC, Metrohm, Switzerland) 를 이용하여 NO3-N, P, K, Ca, Mg, S 함량을 분석하였다.

    절화 수량 및 품질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생산 되는 절화의 길이, 무게, 꽃의 크기, 꽃목 길이, 잎 수를 조사 하였으며, 품질 조사가 끝난 잎을 분리하여 무기 성분을 분석 하였다. 엽 성분 분석은 65°C 건조기에 넣어 이틀간 건조시킨 후 잎을 마쇄하였다. 식물체내 질소 함량의 측정을 위하여 건 조한 시료 0.5g을 칭량하여 100mL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진 한 H2SO4 1mL와 50% HClO4 100mL 용액을 가한 후 310-410°C 에서 2 ~ 3시간 분해하였다. 분해액은 Whatman No.6 여과지 로 여과한 후 부족액은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mL로 맞추었 다. 이 시료를 N는 질소자동 증류기(Buchi 323, Switzerland) 로 증류한 다음 0.01N H2SO4으로 적정하여 건물 중 100g에 대한 무게(g)로 환산하였다. K, Ca, Mg은 ICP-OES (MX2, GBC, Australi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합성량, 증산률 및 기공 전도도는 절화 품질 조사 직전에 완전히 개화한 채 화지의 가운데 5소엽을 대상으로 휴대용 광합성 측정기 (portable photosynthesis system, Li 6400, Li-COR, USA)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8.0 software를 이용하여 처리결과에 대 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분산분석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배액 내 무기 이온 및 유해물질 함량

    배액과 원수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 후 배양액을 공 급하였을 때, 10% 혼합 처리 구는 배액 저장탱크에 남아있는 배액의 양이 계속 증가하였으며, 신초의 신장이 진전될수록 증가율은 감소하였다(Fig. 1). 30% 혼합 처리 구는 생육 초기 에 저장탱크의 배액 양이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점점 감소하 여 4주차 이후에는 저장탱크의 배액량이 감소하였으며, 개화 기에는 최초의 양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배액의 pH 는 배액 혼합 비율 간 큰 차이 없이 5.0 ~ 5.5 사이를 유지하였 다. 배액의 pH 저하 원인은 식물의 양이온 흡수에 의한 H+이 온의 방출과 유기산의 집적을 들 수 있다. 배액의 pH의 저하 원인을 알아보고자 배액의 acetic acid, formic acid, propionic acid 를 분석한 결과 30% 배액 혼합 처리 구에서 1.4ppm의 acetic acid가 검출되었다(Table 2). 배양액에의 낮은 pH는 Fe 의 흡수를 저해하며, 무기 이온의 불균형적인 흡수를 초래하 여 생육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액을 재사용하기 위해 서는 보정이 필요하다(Alhendawi et al. 1997). Sonneveld and straver(1993)는 장미에 적합한 배양액의 pH가 5.0 ~ 6.0 이라고 하였으며, Lee et al.(2004)은 배양액의 pH가 4.0 ~ 6.0 에서 광합성률과 증산률이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배 액에는 뿌리에서 침출되는 phenol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Jung et al.(2004)은 phenol acid이 종류에 따라 자연 적인 상태에서 보다 약 1,000배의 농도에서 토마토에서 독성 을 나타내었지만, 특정 페놀산은 항균 물질로 고려되어야 한 다고 보고하였다. 배액의 페놀화합물은 ppb 수준에서 검출되 지 않았다(Table 2).

    배액의 EC는 10% 배액 혼합 처리 구는 거의 변화가 없었 으나 30% 혼합 처리 구는 1.8dS·m-1에서 2.0dS·m-1으로 0.2dS·m-1 증가하였다. 배액의 다량원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NO3-N와 Ca 농도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Fig 2A, F). 다음으 로 Mg, K, S 순으로 높았으며 P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Fig 2B, C, D, E). 배액 내 무기이온 농도 비율은 NO3-N, Ca, Mg 은 증가하였으며, 농도의 증가율이 낮았던 K, S과 농도가 감 소하였던 P은 감소하였다. 배액 혼합 비율에 있어서 배액 내 다량원소 농도의 증감율은 30% 혼합 처리구가 10% 혼합 처리 구보다 크게 나타났다(Fig. 2).

    공급액 분석

    순환식 수경재배에서는 배액의 무기이온 별 집적 정도가 달 라 이온간 비율이 변한다(Voogt and Sonneveld 1997). 배양 액 내 양분의 비율은 식물의 양분흡수에 영향을 주어 양분의 과잉 및 결핍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보정 또는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Lee et al. 2006; Steiner 1980). 배액과 원수를 혼합한 후 EC를 보정하여 공급되는 배양액의 다량원 소 비율은 배액의 이온 간 비율과 보정을 위해 첨가되는 보정 액의 무기이온 비율에 영향을 받았다(Table 1, Fig. 3, 4). 보 정 후 장미에 공급되는 배양액의 NO3-N는 배액 혼합 처리구 가 대조구인 비순환식 처리구의 농도보다 높았으며, 2주차에 서 4주차로 가면서 증가하였으나, 6주차에 보정을 위해 첨가 하는 보정액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급액에서도 농도가 낮 아졌다(Fig. 4A). 배액 혼합비율에 있어서 공급액에서 NO3-N 는 30% 혼합 처리구가 10% 혼합 처리구보다 높은 농도로 공 급되었다. K은 2주차에 배액 내의 농도가 보정을 위해 첨가하 는 배양액의 농도보다 높았으며, 대조구인 비순환식 배양액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공급되었다. 하지만 6주차로 갈수록 배 액 내의 K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공급액에서도 농도가 감소하 였다(Table 1, Fig. 3D, 4D). 배액 내 K의 비율은 30% 배액 혼합 처리구가 10% 혼합 처리구보다 더 낮았으며, 혼합 후 공 급되는 공급액에서 더 낮은 농도로 공급되었다. Ca는 배액 내 의 비율이 EC 보정을 위해 추가하는 보정액의 비율보다 낮았 으며 비순환식 배양액보다 더 낮은 농도가 공급되었다(Table 1, Fig. 3F, 4F). 또한 배액 내의 Ca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공 급액의 Ca 농도도 증가하였다. 배액 내의 Ca의 비율은 배액 혼합 처리구간 비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더 많은 양의 배액이 혼합된 30% 처리구가 더 낮은 농도로 공급되었다(Fig. 4F). Mg와 S는 대조구인 비순환식 배양액에서의 농도 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다. P는 배액에서 농도가 감소하고 배액 내의 비 율보다 보정액의 비율이 높았으나, 배액의 혼합 및 보정 후 공 급하는 배양액에서 농도가 더 높은 수준으로 공급되었다 (Table 1, Fig 2B, 4B). 이는 배액의 pH에 따른 분석에 의한 오차와 배액의 혼합과 EC 보정 과정에서의 기계적인 오차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엽내 무기이온함량,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량

    장미는 품종과 배양액 조성에 따라 잎의 무기이온 함량과 엽록소 함량이 달라지고 광합성량에 차이가 난다(Yeo and Lee 2009). 본 실험에서 엽 내 P, K, Mg, S은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Fig. 5). 그러나 Ca의 함량이 비순환식 처리 구는 70mg·L-1이었으나, 30% 배액 혼합 처리 구는 64mg·L-1, 10% 혼합처리구는 60mg·L-1이었다. 이는 배액 내 Ca의 비율 이 비순환식 배양액에서의 비율보다 낮고, 배액 혼합 처리 구 간의 비율은 비슷하였으나, 30% 혼합 처리구의 혼합 량이 많 음에 따라 공급되는 배양내의 Ca 이온 농도가 낮아졌기 때문 이라 생각된다. 엽내 무기이온함량 분석결과 NO3-N과 Ca 함 량에 차이가 있었으나, 배액 혼합 처리구와 대조구인 비순환 식 처리구 모두에서 엽록소 함량(SPAD)은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또한 광합성량(Photosynthesis)을 조사한 결 과에서도 비순환식 처리구와 배액 혼합처리구 모두에서 통계 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절화 수량 및 품질

    절화 수량은 비순환식 처리구와 배액혼합 처리 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이는 Raviv(1998)가 배액을 재사용하였을 때 비순환식 수경재배와 비교해 절화 수 량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한 절화 길이, 무게, 줄기 굵기, 엽수의 품질에서 비순환식 처 리구와 배액 혼합 처리 구와의 차이가 없었으나, 배액 혼합 처 리 구에서 화고가 좀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절화의 품질을 동일한 날짜에 조사하였는데, 배액 혼합 처리구의 개화가 조 금 더 빨라졌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배액 혼합방식의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 는 비순환식 수경재배와 비교하여 배양액의 공급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절화품질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 라서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혼합을 30%까지 사용가 능 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배액 내 무기이온의 비율은 무 기이온별 농도와 증가율에 의해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미량원소나 Na, Cl과 같은 성분 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데이터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액 혼합 처리구의 엽록소형광 값이 다소 낮고, 개 화기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번 식재하면 평균 3 ~ 5년 동안 재배하면서 절화를 수확하는 장미에 있어서 수 명의 단축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 사

    본 연구는 2016년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공동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179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FRJ-24-4-296_F1.gif

    Changes of EC (A) and pH (B) in the amount of leftover drainage (C) from circulating nutrient solutions in the closed system with the different drainage mix ratio for Rosa hybrida L. ‘Shiny Orange’.

    FRJ-24-4-296_F2.gif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NO3-N (A), P (B), S (C), K (D), Mg (E), Ca (F) from the leftover drainage on closed system with the different drainage mix ratio for Rosa hybrida L. ‘Shiny Orange’.

    FRJ-24-4-296_F3.gif

    Changes in the macro-element concentration rate from leftover drainage in the closed system with the 10% drainage mix (A) and 30% drainage mix (B) for Rosa hybrida L. ‘Shiny Orange’.

    FRJ-24-4-296_F4.gif

    Changes of macro-element concentrations included at the nutrient solutions used in the closed system with the different drainage mix ratio for rosa hybrida L. ‘Shiny Orange’. A: NO3-N, B: P, C: S, D: K, E: Mg, F: Ca.

    FRJ-24-4-296_F5.gif

    Nutrient contents absorbed in the harvested rosa hybrida L. ‘Shiny Orange’ grown in the closed system with the different drainage mix rates (n = 4).

    Table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used in this study.

    Total phenol and organic acids in leftover drainage with the different drainage mix ratio from the closed system.

    zNot detected.

    Yield and growth response according to drainage mix ratio of rosa hybrida L. ‘Shiny Orange’ grown in a closed system with the different drainage mix rate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n = 30).

    Reference

    1. Alhendawi RA , Romheld V , Krihby EA , Marschner H (1997) Influence of increasing bicarbonate concentrations on plant growth, organics acid accumulation in roots and iron uptake by barley, sorbhum and maize , J. Plant Nutr, Vol.20 ; pp.1731-1752
    2. Bamsey M , Graham T , Thompson C , Berinstain A , Scott A , Dixon M (2012) Ion-specific nutrient management in closed systems , Sensors, Vol.12 ; pp.13349-13392
    3. Jung V , Olsson E , Caspersen S , Asp H , Jensén P , Alsanius BW (2004) Response of young hydroponically grown tomato plants to phenolic acids , Sci. Hortic, Vol.100 ; pp.23-37
    4. Lee HC (2014) Necessity and challenge project of closed-system in the hydroponic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2 ; pp.31-32[Abstr]
    5. Lee YB , Lee YH , Park KS (2006) Optimum renewal time of nutrient solution for rose substrate culture in a closed system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3 ; pp.121[Abstr]
    6. Lee HJ , Yang EY , Park KS , Lee YB , Bae JH , Jeon KS (2004) Effect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 rowth and quality of single-stemmed rose in cutted rose production factory , J Bio-Environ Control, Vol.13 ; pp.258-265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5) Statistics for floricultural industry. Sejong, Korea,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6) Closed hydroponic system and techniques suitable for Korean protected cultivation environments,
    9. Raviv M , Krasnovsky A , Medina S , Reuveni R (1998) Assessment of various control strategies for recirculation of greenhouse effluents under semi-arid conditions , J. Hortic. Sci, Vol.73 ; pp.485-491
    10. Savvas D , Passam H (2002) Hydroponics production of vegetables and ornamentals, Embryo Publications,
    11. Sonneveld C , Straver N (1993) Voedingsoplossingen voor groenten en bloemen geteeld in water of substraten , Voedingsoplossingen glastuninbouw, ; pp.8-15(Abstr)
    12. Steiner AA (1980) The selective capacity of plants for and its importance f or t he c omposition a nd t reatment of the nutrient solution , Acta Hort, Vol.98 ; pp.87-97
    13. Yang EY , Lee HJ , Park KS , Lee YB , Bae JH (2003) Seasonal nutrient and water uptake of spray type rose in closed substrate cultur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1 ; pp.90[Abstr]
    14. Yeo KH , Lee YB (2009)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single-stemmed roses by macro- and micro-element amendmen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7 ; pp.404-413
    15. Voogt W , Sonneveld C (1997) Nutrient management in closed growing systems for greenhouse production , Plant Production in Closed Ecosystems, ; pp.83-102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