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4 No.1 pp.22-28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6.24.1.4

Growth of Bulblet of Lilium Asiatic Hybrids Is Influenced by Planting Depth, Culture Soil Composition, and Night Temperature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 구근의 식재 깊이, 배양토 조성 및 야간온도가 구근 비대에 미치는 영향

Kyung Jin Shin1, Cheon Young Song2*, Ja Young Moon2, Eun Kyung Song3, Jeong Ae Ko1
1Department of Horticul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2Department of Floricultur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Jeonju 54874, Korea
3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신 경진1, 송 천영2*, 문 자영2, 송 은경3, 고 정애1
1전북대학교 원예학과
2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3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Cheon Young Song +82-63-238-9190song@af.ac.kr
December 4, 2015 March 4, 2016 March 9, 2016

Abstract

The growth of bulblet is usually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lanting depth, culture soil composition, and temperature. Here, using two Lilium Asiatic F1 Hybrids domestic cultivars, ‘Deep Red Liasong’ and ‘Yellow Liasong,’ it was proved that bulblet enlargement was critically affected by the three factors. When bulblet whose diameter 8 mm was planted at soil depth of 3 - 4 cm, its diameter, height, and weight became 19.2 - 19.6 mm, 21.5 - 21.9 mm, and 3.3 - 3.4 g, respectively. The bulblet (8 mm diameter) planted at soil depth of 1 cm showed the lowest growth rate: diameter 13.4 mm; height 16.0 mm; weight 2.0 g. Meanwhile, bulbet whose diameter 15 mm planted at soil depth of 6 cm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diameter 28.5 mm; height 27.8 mm; weight 9.2 g. The culture soil composition also regulated the subject development. The 8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following culture soil cond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diameter 21.4 mm; height 21.1 mm; weight 7.5 g. The 15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same culture soil compos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as well as 100% of the commercial media. Night temperature of 10 - 12°C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diameter 17.2 - 17.5 mm; height 17.8 - 18.7 mm; weight 4.2 - 4.9 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ulblet enlargement requir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아시아틱 나리의 인편삽으로부터 형성된 자구와 소구의 효율적인 비대를 위한 식재깊이, 배양토 및 야간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분화용 F1 품종 ‘Deep Red Liasong’과 ‘Yellow Liasong’을 이용하 였다. 자구(직경 8mm)를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자구의 지름은 19.2 ~ 19.6mm, 높이는 21.5 ~ 21.9mm, 생체중은 33 ~ 3.4g으로 자구가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소구 (직경 15mm)의 6cm 깊이 식재는 구의 지름이 28.5mm, 높 이는 27.8mm이었고 무게가 9.2g으로 가장 양호하게 비 대되었다. 자구의 식재 배양토는 인공배양토 80%+부숙왕 겨20%에서 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였고 생 체중이7.5g으로 자구가 가장 크게 비대하였다. 소구의 비대도 인공배양토 100%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에서 양호하였다. 야간온도에 따른 자구의 비대는 10°C와 12°C에서 지름이 17.2 ~ 17.5mm, 높이는 17.8 ~ 18.7mm, 생체중은 4.2 ~ 4.9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 서 자구는 인공배양토와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여 동절기 동안 10 ~ 12°C로 유 지하고, 소구는 인공배양토에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 용하여 6cm의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의 비대에 효과 적이다.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13003-04-3-SBO10

    서 언

    우리나라에서 나리는 장미, 국화와 함께 3대 작물로 재 배 및 수출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나리의 원예종은 Asiatic Hybrids, Oriental Hybrids 및 Logiflorum Hybrids의 교배종이다(Kim et al. 1998). 나 리는 구근으로 번식하므로 병이 없고 생장이 우수한 구 근 증식 방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인 편삽에 의한 구근 증식은, 변형된 잎인 인편을 인경에서 벗겨 심어서 형성되는 자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엽삽의 일종이다. 인편삽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변이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같은 형질의 구근을 얻을 수 있으며, 번식 률도 높아서 실질적으로 나리 증식에 주로 활용하고 있 다(Song et al. 2014b).

    나리의 개화구 증식을 위하여 품종에 따라 작은 구근 을 식재함으로써 균일한 고품질의 개화 구근의 생산이 가 능하지만, 소구의 식재 깊이, 간격 및 식재 시기에 따라 서 생성되는 구근의 크기 및 품질은 다르다. 나팔나리 ‘Charm’의 경우, 둘레 6cm 이상의 소구를 7.5 × 7.5cm 간격 및 3~5cm의 깊이로 10월에 식재하는 것이 이듬해 9월, 둘레 15cm 이상의 개화구 생산에 있어서 가장 바 람직하였다(Song et al. 2014b). 나팔나리 ‘Georgia’의 양 구를 위하여 소구의 재식 간격은 5 × 5cm에, 깊이는 1 ~ 3cm로 식재하는 것이 효과적이였고(Yoo et al. 2005), 소구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화수, 초장 및 엽수가 증가하 며(Choi et al. 2002; Lee et al. 2004; Song et al. 2014a), 구근의 탄수화물 함량도 다르다(Blaney and Roberts 1966; Park and Lee 2002).

    한편 토양에 다년간 구근 증식을 하면, 선충 및 뿌리 응애 등의 병 및 연작 피해가 발생하는데 이들을 감소 시키기 위해서 소구를 상자에 재배하고 있다(Chae 2008; Lee 2003). 구근 비대를 목적으로 상자재배 시에는 인공 배양토를 사용하고 있으나, 가격이 부담되기 때문에 대 체할 토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의 인 편 번식과 여기서 생산된 소구의 효율적인 구근 비대조 건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자구의 식재 깊이, 야간온도 및 배양토에 따른 소구의 비대

    자구에서 소구 형성을 위한 식재 깊이, 야간온도 및 배 양토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아 시아틱 나리 ‘Deep Red Liasong’의 구를 2014년 7월에 수확하여 2개월간 저온 처리 후 2014년 9월 11일부터 11월 11일까지 2달간 배양하여 자구를 형성하였다. 지름 이 8mm 정도인 자구를 선별하여 플라스틱상자(가로 60cm, 세로 40cm, 높이 15cm)에 3 × 3cm 간격으로 8개 월간 재배한 후 소구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자구의 식재 깊이가 소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려고, 자구를 1cm, 2cm, 3cm 및 4cm 깊이로 식재하 였다. 구근 식재 시 사용한 배양토는, 황토 및 부숙 왕 겨와 피트모스인공배양토(Sunshine #4, Sun Gro Co., Canada)를 1 : 1 : 1 비율에 복합 비료인 오스모코트(Scotts Co., 15 + 11 + 13 + 2MgO + TE) 200mg • L−1와 살충제인 코니도(Imidaclaprid, Bayer Crop Science Co.) 입제를 20mg • L−1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자구의 식재는 12월 1일에 하였고 3월말까지인 동절기 4개월간은 야간 최저 온도가 4로 유지되는 비닐온실에서 재배하였으며 그 이 후에는 야간 최저온도를 12°C로 유지하였다.

    야간온도 조건에 따른 자구의 비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구를 저온처리 후 2014년 12월 1일에 식재하였다. 야 간 최저온도가 각각 4, 10, 12, 15°C로 유지되도록 비닐 온실 환경을 만들어 주었고, 이후 2015년 4월 1일부터 는 야간 최저온도를 12로 유지하였다.

    자구비대에 적절한 배양토의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배양토(Sunshine #4, Sun Gro Co., Canada) 100%, 인공배양토(Sunshine #4) 80% +펄라이트 20% 및 인공 배양토 80% +부숙왕겨 20%를 혼합한 토양에 3cm 깊 이로 식재하였다. 시험 시작부터 완료까지 병해충 및 기 타 재배 관리는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종합정보의 백합 재 배기술(http://www.rda.go.kr)에 준하여 관리하였으며 관수 는 주 1회 실시하였고 2개월마다 오스모코트(Scotts Co., 15 + 11 + 13 + 2MgO + TE)를 50mg • L−1 시비하였다.

    소구의 식재 깊이 및 배양토에 따른 구근 비대

    소구에서 구근 형성을 위한 식재 깊이, 토양을 구명하 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아시아틱 나리 ‘Yellow Liasong’을 이용하였다. 2013년 11월에 자구를 식재하여 10개월간 비닐온실에서 재배한 후 수확한 소구를 2개월간 저온처리하고 2014년 12월 1일에 식재하였다. 지 름이 15mm 정도인 구를 선별하여 플라스틱 상자(가로 60cm, 세로 40cm, 높이 20cm)에 7 × 7cm 간격으로 식재 하여 8개월간 재배한 후 구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식재 깊이에 따른 소구의 비대 시험에서는, 2cm, 4cm, 6cm 및 8cm 깊이로 구근을 식재하였고, 사용한 배양토는 황토 및 부숙 왕겨와 피트모스인공배양토(Sunshine #4, Sun Gro Co., Canada)를 1 : 1 : 1 비율에 복합 비료인 오스모코 트(Scotts Co., 15 + 11 + 13 + 2MgO + TE) 200mg • L−1와 살충제인 코니도(Imidaclaprid, Bayer Crop Science Co.) 입 제를 20mg • L−1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소구는 12월 1일 에 식재하였고 3월말까지는 야간 최저온도가 4로 유지되 는 비닐온실에서 재배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노지에서 재 배하였다.

    식재토양의 조성이 소구의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인공배양토(Sunshine #4) 100%, 인공배양토 (Sunshine #4) 80% +펄라이트 20%, 인공배양토 80% + 부숙왕겨 20% 및 인공배양토 50% +부숙왕겨 50%에 4cm 깊이로 식재하였다. 식재 방법, 병해충 및 기타 재 배 관리는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하였다.

    배양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조사

    배양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농촌진흥청 상토의 표준 분석법(http://lib.rda.go.kr)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함수량은 시료를 완전히 건조시켜 100mL 부피의 시료의 건조중 량을 측정하고 수분을 포화시킨 1시간 후 중량을 측정 하여 함수량을 측정하였다. 보수력은 포화시킨 시료를 7일 동안 매일 측정하여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pH와 EC는 토 양을 건조시키고 상토 10g에 증류수 50mL를 넣은 후 1시 간 동안 진탕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시료를 pH Meter(Orion Star A211, Themo Scientific, US)와 EC Meter(Orion Star A112, Themo Scientific, US)로 측정하였다.

    구근의 생장 조사

    식재 8개월 후인 2015년 7월 초에 각 처리 별로 5개 체 3반복하여 15개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구근의 지 름, 높이 및 생체중을 조사하였고, 초장, 엽수, 뿌리길이 및 뿌리개수를 조사하였다. 구근의 지름 및 높이는 캘리 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

    통계 분석용 프로그램인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2,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실시하 였으며 각 처리간의 유의성은 DMRT(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자구 및 소구의 식재 깊이에 따른 구근 비대

    자구의 식재 깊이에 따른 비대를 조사한 결과 3cm 깊 이의 식재는 자구의 지름이 19.6mm, 높이는 21.9mm, 생 체중은 3.4g이고, 4cm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자구의 지 름은 19.2mm, 높이는 21.9mm, 생체중은 3.3g으로 양호 하게 비대하였다. 식재 깊이를 1cm로 하였을 때 자구의 지름은 13.4mm, 높이는 16.0mm, 생체중이 2.0g으로 가 장 작았다. 이와 같이 구근의 생육은 3 ~ 4cm 깊이로 식 재하면 가장 양호하였으나 지상부의 생육은 식재 깊이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뿌리의 생육은 깊이 3cm의 식재에서 뿌리 수는 26.7개, 길이가 180.0mm로 생육이 가장 좋았다(Table 1, Fig. 1).

    소구의 식재 깊이에 따른 구의 비대를 조사한 결과 6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구근의 지름은 28.5mm, 높 이는 27.8mm, 생체중이 9.2g으로 가장 많이 비대하였으 며, 식재 깊이 2cm에서 구근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3.1mm, 생체중은 5.0g으로 가장 작았다(Fig. 2, 3). 나팔나 리 자구의 비대는 식재 깊이가 3 ~ 5cm에서 가장 양호하였 는데(Song et al. 2014b), 본 실험에서도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나리의 자구를 3cm 이하로 얕게 식재하면 온도 와 습도의 변화로 분구율이 증가하여 구의 크기가 작아진 다고 한다(Choi et al. 1998; Yoo et al. 2005). 따라서 자 구를 비대시키려면, 3 ~ 4cm 깊이로 심어야 구근 비대에 가 장 효율적이다. 소구는 높이가 2cm 정도이므로 높이의 3 배인 6cm에 식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판단된다.

    자구 및 소구의 식재 배양토에 따른 구근 비대

    식재 배양토의 조성에 따른 자구의 비대를 조사한 결 과, 자구의 비대는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로 혼 합한 배양토에서 자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 생체중은 7.5g이고, 인공배양토 80% +펄라이트 20%로 혼 합한 배양토는 자구의 지름이 20.2mm, 높이는 19.9mm, 생체중은 6.5g으로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지상부의 생육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와 인공배양토 80% + 펄 라이트 20% 혼합 조건에서 초장이 137.5mm와 138.6mm 으로 가장 좋았으며, 뿌리의 생육은 모든 처리에서 차이 가 없었다(Table 2, Fig. 4).

    소구의 식재 토양의 조성에 따른 비대를 조사한 결과, 인 공배양토 단용과 인공배양토 80% + 부숙왕겨 20%에서는 구근의 지름 31.9mm, 높이 28.1mm, 생체중 9.1g과 지 름 30.7mm, 높이 27.4mm, 생체중 9.0g으로 가장 양호 하게 비대하였다. 인공배양토 50% + 부숙왕겨 50%는 지 름이 21.4mm, 높이는 21.1mm, 생체중은 7.5g으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5, 6).

    토양 분석 결과, 아시아틱 나리 구근의 비대를 위하여 pH는 6.9 ~ 7.0이 적당하였으며(Huh et al. 1994), EC도 구근 생장 한계 허용치(Argo and Biernbaum 1994; Choi and Lee 1995; Miller 1992)의 범위에 있었다 (Table 3). 용적밀도는 인공배양토에서 0.25g/cm3로 가장 높았으며 인공배양토 50% + 부숙왕겨 50%에서 0.17g/cm3 로 가장 낮았다. 함수량은 인공배양토 50% +부숙왕겨 50%에서 99.1g/200mL로 가장 낮았으며 인공배양토 단 용에서는 148.6g/200mL로 가장 높았다(Table 3). 관수 후 7일의 보수력은 인공배양토 단용에서 80g/200mL로 가장 많았고, 인공배양토 50% +부숙왕겨 50%는 48.7g/ 200mL로 가장 적었다(Fig. 7). 이와 같이 부숙왕겨가 50% 포함된 배양토는 함수량이 적고 보수력이 낮았다. 오리엔탈 나리 소인경의 생육은 통기성이 좋고 상층부와 하층부의 차이가 낮으며 보수력이 높은 톱밥 + 원예용 상 토와 톱밥 + 원예용 상토 + 피트모스 배양토에서 가장 양 호하였다는(Woo et al. 2001) 결과와 일치하였다. 나리는 다육질의 잎과 줄기를 가지고 있어 재배기간 중 많은 수 분을 필요로 한다(Huh et al. 1994)는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험에서 20%의 부숙 왕겨는 구근의 생장이 양호하 였으나 50%는 수분 포화량이 적어 구근이 비대하는데 수 분이 부족하여 구근생장이 저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위 와 같이 양구에 필요한 배양토를 고가인 인공배양토에 부 숙왕겨를 20% 정도 혼합하여 사용하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구의 야간온도 처리에 따른 구근 비대

    야간온도 처리에 따른 자구의 비대를 조사한 결과, 야간 온도 10°C에서 자구의 지름이 17.5mm, 높이는 18.7mm, 생 체중이 4.9g으로 나타났고, 12°C에서는 자구의 지름이 17.2mm, 높이는 17.8mm, 생체중은 4.2g이었다. 야간온도 15°C에서는 지름이 16.3mm, 높이는 16.7mm, 생체중은 3.7g 으로, 10°C, 12°C 및 15°C의 온도 처리에 따른 구의 생장 에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4°C 처리의 구의 지름은 14.6cm, 높이는 14.1cm로 작게 나타났다(Table 4, Fig. 8).

    나팔나리의 구근 비대는 15°C에서 구의 생장이 촉진되 었으며(Song et al. 2014a), 아시아틱의 구근 비대는 초 봄에 일찍 노지에 식재할수록 구의 생장이 양호하다고 하였다(Goo, 2007). 하지만 본 실험에서 아시아틱 나 리는 생육 적온이 나팔나리보다 낮기 때문에 10°C에서 도 구의 비대가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10°C, 12°C와 15°C의 온도처리 모두 구의 생장이 양호하게 나 타났다면 겨울철 난방비절감을 위하여 온도를 높여줄 필 요가 없기 때문에 동절기에 아시아틱 나리 구의 비대를 위해서 시설 내 온도는 10°C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GSP원예종자사 업단 연구사업(과제번호 213003-04-3-SBO10)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Figure

    FRJ-24-22_F1.gif

    Effect of bulblet planting depth ranged 1 cm to 4 cm on bulb enlargement of Lilium Asiatic ‘Deep Red Liasong’.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planting bulb diameter was 8 mm,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A: 1 cm, B: 2 cm, C: 3 cm, D: 4 cm.

    FRJ-24-22_F2.gif

    Effect of planting depth of bulblet diameter 15 mm on growth of bulb in Lilium Asiatic ‘Yellow Liasong’.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data collected at August 11, 2015.

    FRJ-24-22_F3.gif

    Effect of small bulb planting depth ranged 2 cm to 8 cm on bulb enlargement of Lilium Asiatic ‘Yellow Liasong’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bulb diameter was 15 mm,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A: 2 cm, B: 4 cm, C: 6 cm, D: 8 cm.

    FRJ-24-22_F4.gif

    Effect of mixed media on bulb growth of Lilium Asiatic ‘Deep Red Liasong’.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bulb diameter was 8 mm,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A: commercial media 100%, B: commercial media 80% + rice hull 20%, C: commercial media 80% + perlite 20%.

    FRJ-24-22_F5.gif

    Effect of mixed media on bullb growth of Lilium Asiatic ‘Yellow Liasong’ by the bulblet 15 mm in diameter.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FRJ-24-22_F6.gif

    Effect of mixed media on bulb growth of Lilium Asiatic ‘Yellow Liasong’.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bulb diameter was 15 mm,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A: Commercial media 100 %, B: Commercial media 80% + rice hull 20%, C: Commercial media 80% + perlite 20%, D: Commercial media 50% + rice hull 50%.

    FRJ-24-22_F7.gif

    Moisture holding ability of mixed media.

    FRJ-24-22_F8.gif

    Effect of night temperature on bulb growth of Lilium Asiatic ‘Deep Red Liasong’. 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and bulb diameter was 8 mm,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A: 4°C, B: 10°C, C: 12°C, D: 15°C.

    Table

    Effect of planting depth from bulblet diameter 8 mm on growth of bulb in Lilium Asiatic ‘Deep Red Liasong’z.

    z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in the 4°C controlled greenhouse,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Effect of mixed media on growth of Lilium Asiatic ‘Deep Red Liasong’z by the bulblet 8 mm in diameter.

    zPlanting time was December 1, 2014 in the 4°C controlled greenhouse, and data were collected at August 11, 2015.
    yCommercial media (Sunshine #4, Sun Gro Co., Canada).
    x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of mixed media.

    zCommercial media (Sunshine #4, Sun Gro Co., Canada).

    Effect of night temperature on plant growth of Lilium Asiatic ‘Deep Red Liasong’z by the bulblet 8 mm in diameter.

    zPlanting time was December 1st, 2014, and data collected at August 11, 2015.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Reference

    1. Argo WR , Biernbaum JA (1994) Irrigation requirements, root medium pH,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Easter lilies grown in five peat-based media with and without an evaporation barrier , J Amer Soc Hort Sci, Vol.119 ; pp.1151-1156
    2. Blaney LT , Roberts AN (1966)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Easter lily bulb, Lilium longiflorum 'Croft' , Proc Amer Soc Hort Sci, Vol.89 ; pp.643-650
    3. Chae SC (2008) Effect of planting density, growing medium and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lily in box culture , Flower Res J, Vol.16 ; pp.36-43
    4. Choi JM , Lee CW (1995) Effects of irrigation methods, nutrient concentrations and media on salt accumulation in media, growth and flowering of Easter lilies , J Korean Soc Hort Sci, Vol.36 ; pp.715-724
    5. Choi SR , Lim HC , Choi DC , Choi JS , Ryu J , Choi YG , Eun JS (2002) Growth and tuber development of 'Black Magic' calla lily as affected by the rain shelter and tuber size , J Bio-Environ Control, Vol.11 ; pp.193-198
    6. Choi ST , Jung WY , Ahn HG , Chang YD (1998) Effects of duration of cold treatment ant planting depth on growth and flowering of Lilium spp , J Korean Soc Hort Sci, Vol.39 ; pp.765-770
    7. Goo DH (2007) Establishment of effective methods for scaling and bulblet enlargement of Lily , Flower Res J, Vol.15 ; pp.256-264
    8. Huh BG , Han YH , Lee SB , Kim SG (1994) Theory and practice of lily culture, Korean Flower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Press,
    9. Kim JY , Han YH , Soh HS , Lee SJ , Shim SW (1998) Production of virus-free stocks in Oriental Lilies , KGARR, Vol.9 ; pp.87-91
    10. Lee KH (2003) Effect of macro element concentrations in fertilizer solution on growth of and nutrient uptake by Oriental hybrid lily 'Casa Blanca'. PhD Thesis, Paichai Univ,
    11. Lee KH , Hahm SS , Lee EM (2004) Effects of bulb size medium composition and scale pinking from mother-bulb on bulb growth in Lilium spp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2 ; pp.90
    12. Miller WB (1992) Easter and hybrid lily production, Timber Press,
    13. Park KW , Lee CH (2002) Horticultural propagation, Sunjinmunhwasa,
    14. Song CY , Song EK , Moon JY , Kim WS , Park BM (2014a) Effect of bulb size, low temperature on the flowering of Lilium longiflorum for pot flower , Flower Res J, Vol.22 ; pp.230-234
    15. Song EK , Song CY , Moon JA , Kim WS (2014b) Flower bulb production by bulblet size, planting distance, planting depth, or planting times of Lilium longiflorum for pot flower , Flower Res J, Vol.22 ; pp.172-178
    16. Woo JH , Sim YG , Han YY , Nam HH , Choi KB , Kim KW (2001) Effect of culture medium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bulblet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 , J Korean Soc Hort Sci, Vol.42 ; pp.465-468
    17. Yoo YG , Kang SW , Kim HS , Song WY , Lee SH , Park MW , Noh YS , Kim H , Kim HS (2005) The development of acclimatization condition in bulblet of Lilium longiflorum 'Georgia' regenerated in vitro, Mokpo National Univ,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