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772X(Online)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3.21.1.5
Effect of Bending Stem Diameter on Shoot Growth and Cut Flower Quality of Spray Rose ‘Yellow King’ in Hydroponic Culture
수경재배 절화장미 ‘옐로킹’의 절곡지 굵기가 신초생장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장미 수경재배시 적절한 엽면적확보와 상품생산에 미치는 절곡지 굵기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처리별 절곡지 생장특성과 절화수량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품생산을 위해 굵은 가지를 절곡할수록 절곡지 생체중과 절곡각도가 커진 반면 잎의 량은 6~8mm 굵기의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 엽면적지수가 3.5로 가장 높았고,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오히려 2.7로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상품수량은 엽면적지수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상품률과 절화중, 절화직경은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다. 절화 길이와 꽃의 볼륨감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상품성이 좋았던 등급은 절화 길이가 60~80cm였고, 80cm 이상 지나치게 굵은 가지는 줄기와 잎에 비해 꽃의 볼륨감이 떨어져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은 이상적인 절화 생산비율이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63.4%로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8%가 높았고, 한편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굵은 절화 비율은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때 28.8%로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10% 높았다. 지나치게 굵은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절곡지 엽면적감소와 지나치게 굵은 가지의 발생으로 인해 절화수량이 감소하였다. 절곡후 잎과 상품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줄기 굵기가 6~8mm 두께의 가지를 절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01. F12-53.pdf802.9KB
서 언
장미 재배에 있어 잎의 량은 생산성을 결정짓는 첫 번째 요인이며 이러한 엽면적 확보를 위한 방편으로 절곡(Arching)은 가장 필수적이면서 보편적인 기술이다(Hoog 2001). 절곡재배 기술은 80년대 후반 일본에서 개발된 것으로 가지를 절단하는 대신 절곡함으로써 상품성 향상, 블라인드 감소, 생산성 향상 등 장미 절화재배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Okawa and Suematsu 1999; Sarkka and Rita 1999). 절곡재배(Arching)는 수확부위가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부 수확부위의 미세환경(Fuchs 1986)과 동일 가지내 액아의 잠재적 특성(Park and Jeong 2010; Jeong et al. 2007)을 고려한 수확 및 절곡방법에 따라 절화수량과 품질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 절화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합성을 통한 영양분의 생산과 축적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절곡지 형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전통적인 수관형성 방법은 재식밀도를 높여 단위면적당 엽면적지수와 건물중을 높이는 것이었는데(De Vries and Dubois 1988) 엽면적지수가 높으면 그로 인해 발생되는 Basal shoot가 두꺼워지고 무게도 늘어나게 된다(Kool and Lenssen 1997).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엽면적지수는 오히려 수관하부 잎에 햇빛을 차단하게 되고 호흡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Pien et al. 2001). 대체로 가장 적합한 엽면적지수는 LAI 3.0으로 보지만(Pien et al. 2001; Shimomura et al. 2003) 최적 엽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절곡지양이나 절곡지 굵기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절곡지 굵기에 따른 절곡지 형성과 그에 따른 절화수량과 품질 변화, 엽면적 정도를 조사하여 그 적정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재료는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육성한 ‘Yellow King’을 이용하였고(Kim et al. 2005) 발근된 삽목묘를 코코피트슬라브(20×20×100cm, Cocoslab, Marisha cocoproduct Ltd. Srilanka) 배지에 6주씩 정식하여 2열로 배치하였다. 2011년 4월 20일에 코코피트슬라브에 정식하였고 한번 적심후 5월 30일경에 절곡하였다. 절곡지 굵기별 시험처리는 절곡후 발생하는 신초가운데 굵기가 각각 3~5mm, 6~8mm, 9~11mm인 식물체를 처리별로 10주씩 선택하여 실시하였다(Fig. 1). 절곡지 공간에 따라 처리별로 필요시 추가로 절곡을 하였으며 절곡지에서 발생하는 신초 가운데 상품성이 없는 가지들은 다시 절곡하여 잎을 확보하였다. 굵기별 절곡 처리후 발생하는 신초부터 11월 30일까지 3번을 수확하여 절화수량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확은 기본적으로 모든 처리구에 동일하게 기부에서 1cm 높이를 기준으로 실시하였고, 마지막 수확시 절곡지를 기부에서 절단하여 생체중과 엽면적지수를 측정하였다. 절곡지의 엽면적지수는(LAI) 엽면적측정기(LI-3000c, LI-COR, USA)를 이용하여 먼저 무작위로 100개의 엽면적을 측정하여 잎 한 개당 평균 면적을 구한 다음, 처리구의 절곡지 잎수와 평균 엽면적을 곱하여 산출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엽면적/단위면적 값을 구하였다. 절곡지 각도는 절곡지 원줄기의 각도를 수평면 기준 아래로 구부러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양액은 일본 아이찌현원예연구소 장미처방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Table 1), 배양액의 EC(dS/m)는 1.4, pH는 6.0을 기본으로 하여 계절과 생육단계에 맞춰 조절하여 공급하였다. 실험은 임의배치 3반복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9.1, Cary, NC, USA)를 이용, Dancan 다중검정으로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Fig 1. Photos of status after bending practice by stem diameter of (A) 3~5 mm, (B) 6~8 mm (C) 9~11 mm of hydroponically grown Rosa hybrida ‘Yellow King’.
Table 1.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used in this experiment.
결과 및 고찰
장미의 생산성에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건전하고 활력있는 적정량의 잎과 기능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엽면적지수가 높으면 그로 인해 발생되는 Basal shoot가 두꺼워지고 무게도 늘어나게 되지만(Kool and Lenssen 1997) 지나치게 높은 엽면적지수는 오히려 수관하부잎에 햇빛을 차단하게 되고 호흡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적정 수준의 잎을 확보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지를 얼마만큼 절곡하는 것이 좋은지를 판단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재배자들의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절곡지수가 많거나 굵은 가지를 절곡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잎의 확보와 절화생산에 유리하다고 말하는 재배자들도 있지만 이 부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시험에서 가지 굵기별로 절곡한 다음 수확이 종료될 때까지 절곡지 특성과 절화수량 및 품질을 조사한 결과 절곡지 굵기별 확보된 절곡지 수는 첫 번째 절곡지 (정식후 첫 번째 발생한 신초)를 제외하면 굵기가 3~5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약 3.5본이었고, 6~8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약 2.5본,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1.8본이었다. 절곡지 생체중은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지만 절곡지 엽면적지수 (LAI)는 6~8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 3.5로 가장 높았고, 3~5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3.0,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2.7로 가장 낮았다. 절곡 각도는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는데 3~5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약 25ο, 6~8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40ο,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70ο로 가장 컸다. 절곡 각도는 줄기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3~5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는 잎은 거의 수평면까지 분포하지만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는 가지 무게로 인해 대부분의 잎은 수평면 아래에 분포하였다. 이 때문에 9~11mm인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는 측지발생이 적고 엽면적지수가 오히려 적었다. 잎이 확보되어가는 과정을 보면 3~5mm 가지 절곡 처리구와 6~8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측지발생을 통해 엽면적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는 절곡 초기에 비해 잎이 늘어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느렸다(Fig. 2).
Fig 2. Cut flower yield (A) and leaf area index (B) as affected by bending with different stem diameters of hydroponically grown Rosa hybrida ‘Yellow King’. Vertical bars indicates means ± SE (n=30).
Table 2. Characteristics of bending stems at last harvesting time by diameter of bending stems of hydroponically grown Rosa hybrida ‘Yellow King’.
Table 3. Effect of bending stem diameter on cut flower yield and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Rosa hybrida ‘Yellow King’
단위면적당 절화수량도 엽면적지수와 같은 경향을 보였는데 굵기가 6~8mm 가지 절곡 처리구가 50.5본으로 가장 많았고, 3~5mm 가지 절곡 처리구 44.1본,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는 37.6본으로 가장 적었다. 그러나 상품률과 절화중, 절화직경은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고, 블라인드 발생은 절곡지 굵기에 반비례하였다. 절화 길이가 60~80cm인 것은 절화 길이와 꽃의 볼륨감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상품성이 좋았고, 80cm 이상 지나치게 긴 것은 줄기와 잎에 비해 꽃의 볼륨감이 떨어져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은 등급의 절화비율은 6~8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 63.4%로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보다 8% 높았고, 반대로 상품성이 떨어진 굵은 절화 비율은 9~11mm 가지 절곡 처리구에서 28.8%로 6~8mm 가지를 절곡 처리구보다 10%나 높았다. 지나치게 굵은 가지를 절곡하였을때는 절곡지 엽면적 감소와 지나치게 굵은 가지의 발생으로 인해 절화수량이 감소하였다.
장미 신초는 눈의 위치에 따라 세력과 맹아억제 정도가 다른데 아래쪽에 있는 눈일수록 맹아억제 상태가 강하지만 전정이나 절곡에 의해 맹아억제 상태가 제거되면 맹아하는 눈의 세력은 오히려 강하다(Ohkawa and Suematsu 1999; Tjosvold 2001). 정부우세성의 관점에서 보면 전정 혹은 절곡에 의해 정아가 아래쪽 측아 생장을 지배해온 구조가 바뀌게 되지만 절곡은 절곡지 굵기 및 절곡각도에 따라 정부우세성의 세력균형이 달라진다. 줄기에 분포한 눈의 위치에 따른 차이는 각각의 눈을 이용한 삽목묘(Kim 2009)와 접삽묘(Park and Jeong 2010) 의 발근과 생장에서도 확인되었다. 기본적으로 절곡지 잎에서 만들어진 동화양분은 기부의 수확부위로 전류되어 신초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만 한편으로는 서로 경쟁하기도 한다. 따라서 수확방법과 더불어 절곡지 관리를 통해 재배자들은 생산성과 품질을 조절하고 있다(Hoog and Warmenhoven 1999; Lieth and Soo Kim 1999; Sarkka and Rita 1999). 이러한 모든 재배적 관리는 결국 건전한 잎의 확보에 귀결되는데 대체로 가장 적합한 잎의 량은 LAI 3.0으로 보지만(Pien et al. 2001; Shimomura et al. 2003) 품종이나 계절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으며 항상 절곡지에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Hoog et al. 2001). Kool and Lenssen(1996)은 절곡시기에 따라서도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신초 활력이 달라지는데 이는 기부에서 발생한 신초가 생장하는 동안 절곡에 의해 신초 기부의 광환경이 좋아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광합성에 미치는 광도의 영향은 생육중인 식물체 뿐 아니라 영양번식 중인 접삽묘의 발근과 생육에도 절대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Park and Jeong 2012). 절곡을 하거나 수확하게 되면 정부우세성이 타파되고 생장이 억제되어 있던 부분의 액아 분화와 생장이 시작되는데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어떤 세력의 가지를 어떻게 절곡하는가에 따라 다음에 발생하는 신초 생장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시험에서도 지나치게 굵은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오히려 잎의량이 적어 상품수량이 적었다.
사 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PJ00789402201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
2.De Vries DP, Dubois LAM (1998) Effect of plant density on root and shoot characters of one-season-old Rosa canina ‘Inermis’ seedling. Gartenbauwissenshaft 53:117-121
3.Hoog JD Jr (2001) Handbook for modern greenhouse rose cultivation: Crop structure. Applied Plant Research. (ed) Alsmeer, The Netherlands
4.Hoog JD Jr, Warmenhoven MG (1999) Inbuigen bij rozen: kiezen voor productie of kwaliteit, Vakblad voor de Bloemisterij. 40:50-51
5.Hoog JD Jr, Warmenhoven MG, Eveleens-Claark B, Mourik NV, Marissen N (2001). Effect of plant density. harvesting methods and bending of branches on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roses. Acta Hort 547:311-317
6.Jeong JW, Hwang SJ, Park SM, Jeong BJ (2007) Effect of length of cutting, number of leaflets attached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and growth of cuttings of Rosa hybrid L.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J of Bio-Environment Control 16:115-120
7.Kim JK, An DC, Kim SK, Been CG, Kim JH (2008) A new spray rose cultivar ‘Yellow King’ with yellow color and resistance to the powdery mildew. Korean J Breed Sci 40:54-57
8.Kim WS (2009) Rooting and bud break of single-stemmed roses (Rosa Hybrida L.) as affected by auxillary bud position and leaf area of cuttings. Flower Res J 17:297-302
9.Kool MTN, Lenssen EFA (1997) Basal shoot formation in young rose plants: effect of bending practice and plant density. J Hort Sci 72:635-644
10.Lieth JH, Kim S (1999) Development of optimal rose canopy management strategies for rose growers: “bending” versus traditional production, Roses Inc. Bulletin.
11.Okhawa K, Suematsu M (1999) Arching cultivation techniques for growing cut roses. Acta Hort 482:47-51
12.Park YK, Jeong BR (2010) Effect of topophysis and uniting method of rootstock and scion on r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stenting-propagated (cutting-grafted) rose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456-461
13.Park YK, Jeong BR (2012) Effect of light intensity during stenting propagation on r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two rose cultivars. Flower Res J 20:228-232
14.Pien H, Bobelyn E, Lemeur R, Labeke MCV (2001) Optimizing LAI in bent rose shoot. Acta Hort 547:319-327
15.Sarkka LE, Rita HJ (1999) Yield and quality of cut roses produced by pruning or by bending down shoots. Gartenbauwissenschaft 64:173-176
16.Shimomura N, Inamoto K, Doi M. Sakai E, Imanishi H (2003) Cut flower productivity and leaf area index of photosynthesizing shoots evaluates by image analysis in ‘Arching’ roses. I. Japan Soc Hort 72:131-133
17.Tjosvold SA (2001) Effect of bending on production and quality of commercial greenhouse roses in field soil. Acta Hort 547:299-301
-
-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국문 영문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
논문유사도검사
-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