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0 No.1 pp.24-31
DOI :

The Trend of Bouquets Appeared in the Korean Wedding Magazines and Consumer's Recognition
우리나라 웨딩잡지에 나타난 부케의 경향과 소비자 인식

Koh Woon Han3*, Sun Ah Choi1, Chun Ho Pak2, Jong Won Hong3
3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1Dept. of Horticultural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 Korea University, 2College of Life Science &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최선아1, 박천호2, 홍종원3, 한고운3*
1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3고려대학교 대학원
Received 3 March 2012; Revised 19 March 2012; Accepted 19 March 20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wedding bouquet inour country by analyzing wedding bouquets, which have shown in wedding magazines, and was to suggestbasic data of a research on wedding bouquet by examining the present consumers' thought and preferencefor wedding bouquet after surveying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for form, color, and material in bouquet.As a result of analyzing wedding bouquets, which were shown in wedding magazines for the recent 12years, the form of wedding bouquet, which was indicated the most in wedding magazine, stood at round(37.3%), natural (27.1%), waterfall (16.8%), arm (7.2%), crescent (3.8%), ball (1.2%), and others (6.6%).The waterfall and crescent, which had shown the high ratio along with round in the former term, reduced inthe latter term. Round, natural, and arm indicated high ratio. As a result of analyzing color frequency, itstood at the bouquet that was composed of light tone (40%), white color (35%), the bouquet of having beenused light tone and dark tone together (14%), and dark tone (10%). The white bouquet, which had shownthe high ratio in the former term, gradually reduced. On the other hand, number of bouquets with light toneincreased greatly. As a result of analyzing material of forming wedding bouquet, the number of bouquets,which used flower and foliage materials together (59.1%), was indicated most highly. It stood at the bouquetsof having used only flower (38.4%) and the bouquets of having used only foliage material (2.6%). Thebouquets of having used both flower and foliage materials in 1999 possessed high ratio with 80.9%, butsteadily reduced, resulting in having accounted for 34.4% in 2010. The bouquets of having used only flowergrew with 56.5%.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examine consumers' recognition, thepreferred bouquet design form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round (40.3%). It was indicated to be inorder of natural (31.1%), crescent (9.2%), arm (8.3%), waterfall (6.3%), and ball (4.9%). Thus, the round,which was designed with circular type, can be seen to be preferred the most as a whole. When seeing generallythe results that analyzed color of desired flower given selecting bouquet, the light tone (55.8%) wasindicated most highly.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light tone and dark tone (20.9%), white color(13.6%), and dark tone (9.7%). Thus, it can be seen that flower in color with light tone given selecting bouquetis preferred mo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using the preferred bouquet materials,bouquet of having been designed only with flower (60.7%) was indicated most highly. It was indicated to bein order of bouquet of having been designed with both flower and foliage (35.4%) and bouquet of havingbeen designed only with foliage (3.9%).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majority prefer bouquet of having beendesigned only with flower the most. As a result of analyzing wedding magazine, the fashion of weddingbouquet by year was changed. The tendency, which was indicated in the recent magazine, and the design ofbouquet preferred by consumers showed similar result.

본 연구는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 웨딩부케의 실태를 알아보고, 일반인을대상으로 부케의 형태, 색상, 소재 등에 대한 의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현재 소비자들의 웨딩부케에 관한생각과 기호를 분석하여 웨딩부케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12년 동안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한 결과 웨딩잡지에 가장 많이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형(37.3%), 내츄럴형(27.1%), 폭포형(16.8%), 암형(7.2%), 초승달형(3.8%), 볼형(1.2%), 기타(6.6%)였다. 전기에 원형과 함께 높은 비율을 보였던 폭포형, 초승달형이 후기에는 감소하고 원형, 내츄럴형, 암형이 많은 비율을 보였다. 색상빈도 분석 결과 연한 색조로 이루어진 부케(40%), 흰색(35%),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가 함께 쓰인 부케(14%), 진한 색조(10%)였다. 전기에 많은 비율을 보였던 흰색부케는 점차 감소한 반면 연한 색조 부케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웨딩부케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를 분석한 결과 꽃과 잎소재를 함께 사용한 부케(59.1%)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꽃만 사용한 부케(38.4%), 잎소재만 사용한 부케(2.6%)였다. 1999년 꽃과 잎소재를 함께 사용한 부케가 80.9%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에는 34.4%가 되었으며 꽃만 사용한 부케는56.5%로 증가하였다. 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한 결과 선호하는 부케 디자인 형태는 원형(40.3%)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내츄럴형(31.1%), 초승달형(9.2%), 암형(8.3%), 폭포형(6.3%), 볼형(4.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케 선택 시 원하는 꽃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볼 때, 연한 색조(55.8%)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20.9%), 흰색(13.6%), 진한 색조(9.7%)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부케 선택 시 연한색조의 색상 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선호하는 부케 소재의 사용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60.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꽃과 잎소재를 함께 디자인한 부케(35.4%), 잎소재만으로 디자인한 부케(3.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2년 동안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형이 가장 많았고 후기에는 내츄럴형이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형이 가장 많았다. 색상은 연한 색조의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고 소비자도 연한 색조의 웨딩부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소재는 12년 동안 꽃과 식물소재가 함께 쓰인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고 후기에는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도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잡지 분석결과 연도별 웨딩부케의 유행이 변화하였고 최근 잡지에 나타난 경향과 소비자가 선호하는 부케의 디자인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매체가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지만 현대는 다양성의 시대로 개개인의 의사와 스타일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렇듯 변화하는 소비자에 발맞춰 유행에만 따라가기보다 소비자의 성향과 개성에 맞는 웨딩부케 디자인을 제작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나라_웨딩잡지에_나타난_부케의_경향과_소비자_인식.pdf489.3KB

 

서 언

 한국의 웨딩장식은 외국에서 도입된 결혼양식이 한국의 문화와 혼합되면서 한국적인 결혼식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Kim, 2003). 과거에는 결혼식에서 사용할 꽃이나 의식을 계획하는데 전통의 지배를 받았지만, 오늘날의 신부는 자신의 개성이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결혼식을 계획하고(Lim과 Lee, 2001), 다른 무엇보다 외적으로 나타나는 화훼장식에 대해 자신의 개성과 취향, 특히 색조나 디자인에 적극적인 요구를 하게 되었다(Lim과 Lee, 2001). 결혼식장에서의 꽃 장식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고, 웨딩플라워 중에 부케는 신부에게 가장 중요한 소품 중의 하나로 신부의 이미지를 완성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신부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극대화 하고 있다(Choi, 2009). 그러므로 플로리스트는 고객의 결혼계획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런 정보는 결혼식용 꽃이나 장식을 계획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Stewart, 1999).

 결혼식장의 실내·외 공간 장식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웨딩플라워는 트렌드에 민감하고 변화 또한 플라워디자인의 어떤 분야보다도 빠르다(Lee, 2003). 유행, 트렌드라는 것은 쉽게 변화하며 동화된다. 그러나 유행이라는 한 시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대적 간격을 두고 반복되며 변화한다. 이에 따라 단순히 유행만 따라가기 보단 트렌드의 흐름을 명확하게 정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Seo,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 웨딩부케의 실태를 알아보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부케의 형태, 색상, 소재 등에 대한 의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현재 소비자들의 웨딩부케에 관한 생각과 기호를 분석하여 웨딩부케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및 범위

조사대상 및 방법

 우리나라 웨딩부케의 경향과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통한 문헌조사를 하여 현 웨딩부케의 실태를 알아보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부케의 형태, 색상, 소재 등에 대한 의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현재 소비자들의 웨딩부케에 관한 생각과 기호를 알아보았다.

 

웨딩부케에 대한 잡지조사

 우리나라 웨딩잡지 내 웨딩부케의 경향과 변화를 알아보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My wedding(1993년 창간, Design house)’과 ‘Wedding 21(1999년 창간, Onfos)’ 두 잡지를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잡지를 선정한 이유는 국내에 출간된 웨딩 월간지는 이 두 가지 뿐이며, 결혼식을 앞둔 여성에게 유행하는 결혼스타일을 지침해주며 결혼식, 허니문, 웨딩드레스, 보석, 웨딩부케 등 결혼식에 대한 빠른 정보의 습득을 용이하게 하므로(Seo, 2011), 웨딩부케를 선택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조사범위는 ‘Wedding 21’창간년도인 199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12년간의 웨딩부케 사진 중 분석이 불가능하거나 흑백인 것을 제외하고 2회 이상 게재된 것은 1장으로 하여 ‘My wedding’은 1522장, ‘Wedding 21’ 1723장인 총 3245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잡지의 항목별 비율이 유사하여 두 잡지간의 차이를 구분하지 않았고 조사기간은 2011년 5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웨딩부케에 대한 인식조사

 웨딩부케에 대한 인식의 조사대상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남녀 20대부터 50대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기간은 2011년 6월부터 9월까지 설문지 배포,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206매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설문 내용의 구성은 웨딩부케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에 관한 질문 8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위한 질문 5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조사문항은 선행연구인 현대 웨딩홀 화훼장식의 통일성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Kim, 2011)와 결혼식 화훼장식의 소비자인식과 선호도(Yoon, 2011)에서 사용되었던 문항 일부를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성 68.9%, 남성 31.1%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30.6%, 30대 50.0%, 40대 13.1%, 50대 이상 6.3%로 20~30대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혼여부는 기혼 51.5%, 미혼 48.5%로 나타났고, 직업은 회사원 51.9%, 자영업 13.6%, 전문직 12.6%, 학생 8.7%, 주부7.8% 순으로 회사원이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거주 지역은 경기 44.2%, 서울 34.0%, 기타지역 21.8%순으로 나타났다.

 

분석방법

 최근 12년간의 우리나라 웨딩잡지 내 소개된 웨딩부케의 경향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형태, 색상, 소재의 각 요소별 자료수집과 집계를 통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199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선별한 웨딩부케 사진의 개수는 3245장으로 빈도분포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12년 동안의 전체적인 웨딩부케의 흐름을 파악하고 4년 간격으로 전기, 중기, 후기로 조사, 분석하였다. 웨딩잡지에 12년 동안 가장 많이 나타난 형태는 원형(Round), 내츄럴형(Natural), 폭포형(Cascade), 암형(Arm), 초승달형(Crecsent), 볼형(Ball), 기타 순으로 나타났고 색상은 연한 색조, 흰색,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가 혼합된 색상, 진한 색조로 나누었고 소재는 꽃과 잎소재가 함께 쓰인 구성, 꽃만 쓰인 구성, 잎소재만 쓰인 구성으로 분류하였다.

 부케 구성항목별 전반적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먼저 부케 구성항목에 대한 중요도는 총 6가지 항목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를 5점, ‘중요하다’를 4점, ‘보통이다’를 3점, ‘중요하지 않다’를 2점, ‘전혀 중요하지 않다’를 1점의 Likert 5점 척도(Likert, 1932)로 측정하였으며,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구성항목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자료는 210부중 인식 가능한 최종 206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분석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웨딩부케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케 구성항목의 전반적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웨딩부케에 대한 잡지조사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태별 분석

 웨딩잡지에서 웨딩부케 형태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그 빈도를 집계한 결과 1999년부터 2011년까지를 통틀어서 원형 1209개(37.3%)로 가장 많았고 그 외 내츄럴형 881개(27.1%), 폭포형 545개(16.8%), 암형 232개(7.2%), 초승달형 124개(3.8%), 볼형 39개(1.2%), 기타 215개(6.6%)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기존에 연구된 Moon(1998)과 Choi(2002) 그리고 Seo(2011)의 연구에서도 원형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나 같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웨딩부케의 2010년 국내 트렌드 분석(Kim, 2010)이라는 선행연구에서는 웨딩부케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남의 주요 웨딩홀을 중심으로 실제 결혼식의 신부부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웨딩부케의 형태가 모두 원형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보면 신부화의 형태가 몇 가지로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신부의 개성을 살리는 것을 제한하는 한 요인이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신부화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Kwon, 2006).

Table 1. Yearly variation of wedding bouquets form in two wedding magazines from 1999 to 2011.

 웨딩잡지에서 웨딩부케 형태의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그 빈도를 집계한 결과 전기에 원형과 함께 많은 비율을 보였던 폭포형, 초승달형이 후기에는 감소하고 원형, 내츄럴형, 암형이 많은 비율을 보였다. 형태의 변화는 Kil(2001)에 따르면 1910~1990 년 동안 가장 많이 나타난 부케의 형태는 폭포형이고 2000년대 원형이 증가했다고 하였고, Seo(2011)에 따르면 2004년 이후에는 폭포형이나 샤워형의 빈도는 찾아보기 힘들었고 2009년도부터 2010년에는 라운드형과 함께 자연스러운 꽃다발형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였다.

 원형이 많이 나타난 것은 유행을 타지 않고 기하학적 형태 중에서 이상의 추구, 무한, 영원 등의 모습으로 상징된다(Lee, 2007)는 점에서 계속 꾸준히 늘어난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내츄럴형의 증가는 에코 디자인의 개념인 생태학적 가치관의 윤리적인 책임감이 고려된 진보적인 디자인 개념으로 ‘그린’, ‘에코’, ‘지속가능한’, ‘웰빙’과 같은 용어와 함께 정의되고 있으며, 창의적인 에코디자인으로 활성화되고 있다(Song, 2010)는 연구내용처럼 내츄럴리즘과 자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의 증대로 앞으로 더욱 늘어 날 것으로 보인다.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색상별 분석

 웨딩잡지에서 웨딩부케 색상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색상빈도를 분석한 결과 연한 색조로 이루어진 부케가 1305개(40%), 흰색 1148개(35%),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가 함께 쓰인 부케가 461개(14%), 진한 색조로 이루어진 부케가 331개(10%)로 나타났다(Table 2). 화훼디자인에 있어 훌륭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색의 부조화로 인하여 그 가치가 저하되는 경우를 자주보게 되므로 신부화에 있어 색상 조합은 매우 중요하다(Jin, 1998).

Table 2. Yearly variation of wedding bouquets color in two wedding magazines from 1999 to 2011.

 선행연구인 Kil(2001)과 Kim(2007) 등 대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웨딩부케에 사용된 소재의 색상은 흰색이 가장 많았던 것과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색상비율이 전기('99~'02)의 흰색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흰색은 흰빛을 좋아하는 우리민족성과 깨끗함, 순수함, 순결함, 정숙함, 진실됨, 화합, 희망 등의 상징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본래의 신부의 의미인 청초함, 순결함, 정숙함, 고결함 등의 의미와 함께 신부의 결혼의상의 상징성을 잘 나타내고(Lee, 2008) 흰색 꽃은 순수, 순결한 이미지, 검정색 꽃의 엄숙하며 침착하고 세련된 이미지(Kim, 1999)라 하여 웨딩부케에 흰색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웨딩잡지에서 웨딩부케 색상의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그 빈도를 집계한 결과 전기에 높은 비율을 보였던 흰색부케는 점차 감소한 반면 연한 색조로 이루어진 부케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Ok(2009)의 연구에서 흰색과 분홍색의 혼합이 38.6%이었고, 흰색이 14.1%로 나타난 것과 Seo(2011)의 연구에서 2001년 이후부터 흰색의 사용이 점차 줄어들면서 흰색이 많이 섞인 파스텔계열의 분홍색, 연보라색, 연노란색, 연두색의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는 것과 같은 결과이다. 색상이 흰색만 아니라 유색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미적 감각이나 개성추구측면에서 바람직스러운 결과로 생각한다(Kwon, 2006).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소재별 분석

 웨딩잡지에서 웨딩부케 소재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웨딩부케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를 분석한 결과 꽃과 잎소재를 함께 사용한 부케의 수가 1918개(59.1%)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꽃만 사용한 부케는 1244개 (38.4%), 잎소재만 사용한 부케는 83개(2.6%)였다(Table 3). Choi(2002)의 연구에 따르면 한 작품의 신부화의 잎 소재 사용은 3종이 37.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6종사용 까지도 나타난 반면에 잎 소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도 7.5%로 나타났고, 잎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라운드형과 다양한 꽃을 조밀하게 조합하여 둥근형으로 제작하는 비더메이형에서 관찰되었다고 하였다.

Table 3. Yearly variation of wedding bouquets material in two wedding magazines from 1999 to 2011.

 1999년 꽃과 잎소재를 함께 사용한 부케가 80.9%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에는 34.4%가 되었으며 꽃만 사용한 부케는 56.5%로 증가하였다. 선행연구에서도 꽃과 잎소재를 사용한 부케의 수가 63.6%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1993년도부터 2001년도 까지 꽃과 잎소재를 사용한 부케가 높은 비율을 보이다가 2002년도부터 꽃만 사용한 부케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며 2006년 이후에는 꽃과 잎소재를 사용한 부케보다 더 많은 비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Seo, 2011)는 결과를 보였다. 꽃만 사용하거나 한가지 종류의 꽃만 사용하는 단종 부케의 증가로 인하여 식물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부케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며, 이는 위에 부케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화려한 디자인에서 간결한 스타일로 변화한 흐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웨딩부케에 대한 인식조사

선호하는 부케 디자인 형태

 선호하는 부케 디자인 형태를 분석한 결과 원형이 83명(40.3%)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내츄럴형 64명(31.1%), 초승달형 19명(9.2%), 암형 17명(8.3%), 폭포형 13명(6.3%), 볼형 10명(4.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Fig. 1). 이는 Kwon(2006)과 Choi(2009)의 웨딩부케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와 비슷한 결과로 앞에서 말한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태 비율과도 같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통신과 대중매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근대의 소비자의 성향으로 매개체 중 하나인 월간잡지가 선호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Seo, 2011).

Fig. 1. Preference for wedding bouquets form.

 가장 많은 원형을 제외하고 두 번째로 선호한 형태는 자유형으로 최근 들어서 다양한 자유형의 부케가 등장하고 개인의 개성을 살리고 자기만의 특별한 부케를 가지고 싶은 욕구로 인해 자유형의 부케를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Choi, 2009). 신부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내츄럴 스타일을 선호하는 흐름이어서 부케와 개인의 개성을 살린 부케가 유행할 것으로 전망할때 디자인의 창의성이 요구된다(Kil, 2001).

 
부케 선택 시 원하는 꽃의 색상

 부케 선택 시 원하는 꽃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연한 색조의 색상이 115명(55.8%)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고,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가 혼합된 색상이 43명(20.9%), 흰색 28명(13.6%), 진한색조의 색상 20명(9.7%)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부케 선택 시 연한 색조의 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Fig. 2). 이것은 최근 웨딩잡지에 나타난 색상비율과 일치하는 것으로 역시 대중매체가 선호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Seo, 2011).

Fig. 2. Preference for wedding bouquets color.

 Choi(2009)의 연구에서 여성들이 선호하는 부케 색상에 분홍색이 많았고 Lee(2007)에서도 흰색-핑크를 가장 많이 선호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연한 색조를 선호한 것과 유사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연한색조의 색상인 파스텔색상은 색채심리상 해방감과 안정된 상태의 색을 나타낸다고 한다(Heo, 1994).

 
선호하는 부케 소재의 사용구성

 선호하는 부케 소재의 사용구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가 125명(60.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꽃과 잎소재를 함께 디자인한 부케 73명(35.4%), 잎소재만으로 디자인한 부케 8명(3.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Fig. 3).

Fig. 3. Preference for wedding bouquets material.

 1993년도부터 2001년도 까지 꽃과 잎소재를 사용한 부케가 높은 비율을 보이다가 2006년 이후에는 꽃과 식물만 사용한 부케보다 더 많은 비율을 보였다(Seo, 2011)는 선행연구와 웨딩잡지 분석에서 2010년에 꽃만 사용한 부케는 56.5%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낸 것과 같은 결과로 소재의 선호도가 대중매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현 시대의 미니멀리즘적인 디자인은 점점 더 트렌드화가 되고 있으며 특히 복잡하고 바쁜 현대인들에게 미니멀리즘적인 디자인이 선호되는 것(Chung, 2008)이기도 하다.

 
부케 구성항목별 중요도

 부케 구성항목별 전반적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볼 때, 부케에 사용된 꽃, 식물의 신선도(M=4.60)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케의 형태(M=4.58), 부케에 사용된 꽃과 식물의 색상(M=4.56), 부케에 사용된 소재(M=4.00), 부케의 가격(M=3.87), 부케의 유행경향(M=3.60)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케 구성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는 평균 4.20점으로 나타났다(Table 4). 잡지분석에서 나타난 웨딩부케의 경향과 소비자의 선호도가 비슷한 결과를 보여 소비자는 유행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유행을 중요한 항목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Table 4. The importance of wedding bouquets component.

Reference

1.Choi, J.R. 2002. Trend of forms and materials of bridal bouquet in Korea. MS Thesis, Jeonbuk Nat'l. Univ., Jeonbuk, Korea.
2.Choi, S.S. 2009. Preference on bridal flower decoration of marriable aged female centering around at Seoul and Daegu region. MS Thesis, Yeungnam Univ., Gyeongbuk, Korea.
3.Chung, H.J. 2008. The tendency and recognition of minimalism on the flower design: Focus on the flower design of event.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4.Heo, B.G. 1994. Changing flower culture. Transaction of Flower Association 160:28-29.
5.Jin, M.J. 1998. Flower design. Mijin Press, Seoul.
6.Kil, K.S. 2001. A study on the changes of materials and forms of bridal bouquet in Korea. MS Thesis, Wonkwang Univ., Jeonbuk, Korea.
7.Kim, H.K. 1999. Fashion design by colors and images of flowers.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8.Kim, H.M. 2011.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ty expression methods in modern wedding hall floral.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9.Kim, J.Y. 2003. A study on various flower decoration of different wedding halls located at Daegu city. MS Thesis, Daegu Univ., Gyeongbuk, Korea.
10.Kim, J.Y. 2010. Analysis on domestic trends of wedding bouquets in 2010.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3(5):61-67.
11.Kim, S.J. 2007. Analysis of shapes, manufacturing techniques, materials and color tones for one hundred wedding bouquets shown in eighty film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0(1):26-34.
12.Kwon, H.K. 2006. A study of the recognition of florist and consumer for bouquet.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3.Lee, H.A. 2003. Study in trend of modern flower design. MS Thesis, Catholic Univ. of Daegu, Gyeongbuk, Korea.
14.Lee, K.M. 2007. The study of fabric works using the symbolic image of circle :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work. MS Thesis, Sungkunkwan Univ., Seoul, Korea.
15.Lee, M.J. 2008. A study on the wedding dress design of Korean images : Focused on pear blossom patterns and Dangui images. M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16.Likert, R. 1932.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archives of phsycology, vol. 140, 44-53.
17.Lim, S.M. and K.M. Lee. 2001. The study on history of weeding flower in Europe. J. Kor. Flower Res. Soc. 9:81-86.
18.Moon, H.S. 1998. A study on materials and shapes of bridal bouquet used in Korea and Germany.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9.Ok, J.J. 2009. A study on the recent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bridal bouquet. J. Kor. Floral Art Res. Association 13(4):25-36.
20.Seo, B.Y. 2011. A trend study of alteration of the present age wedding flower especially wedding bouquets. MS Thesis, Kyunghee Univ., Seoul, Korea.
21.Song, J.E. 2010. A study on the color trend of eco-design in the fashion. MS Thesis, Daegu Univ., Gyeongbuk, Korea.
22.Stewart, M. 1999. Martha stewart living. Martha Stewart Living Omnimedia LLC., NY.
23.Yoon, M.Y. 2011. Consumer'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wedding flower decoration. M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