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2 pp.81-87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2.7

Nutrient Solution Affecting Growth and Photo-physiological Response of Jeffersonia dubia
양액이 깽깽이풀의 생장과 광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Yong Ha Rhie1, Seung Youn Lee1, Hyun Hwan Jung1, Ki Sun Kim1,2*
1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921, Korea
2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921, Korea

이 용하1, 이 승연1, 정 현환1, 김 기선1,2*
1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2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 Ki Sun Kim Tel: +82-2-880-4571 kisun@snu.ac.kr
April 5, 2014 June 8, 2014 June 28, 2014

Abstract

Jeffersonia dubia is an herbaceous perennial and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ornamental planting. To shorten the long cultivation period of J. dubia, effect of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J. dubia was evaluated. In the 1st experiment, to compar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fertilization treatment, plants were subirrigated with a nutrient solution of 0 (control) or 1.0 dS • m−1 fertilizer. Leaf number,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significantly increased in plants treated with fertilizer. They also showed higher SPAD values and Fv/Fm compared with plants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In the 2nd experiment, we grew one-year and two-year plants with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 [0, 0.5, 1.0, and 2.0 × full strength;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0.2, 1.2, 1.9, and 3.7 dS • m−1, respectively]. We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y matter accumulation and the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by using the quadratic equation. With this parabolic curve, we found that the nutrient concentration which gained maximum dry weight was 0.76 and 1.06 × full strength in one-year and two-yearold plants, respectively. Thus, we recommend that oneyear- old plants should be grown in about EC 1.29 dS • m−1 of nutrient solution and its concentration should be raised up to 1.9 dS • m−1 with increasing plant age for promoting growth of J.dubia.0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09096-5

    서 언

    깽깽이풀[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 f. ex Baker & S. Moore]은 다년생 초본류로 우리나라 와 중국 북부지역 그리고 동부 시베리아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자생식물이다(Hutchinson 1920). 우리나라에서 깽깽 이풀의 개화는 이른 봄인 4월에 이루어지며, 기저부에서 발달한 10 ~ 30cm의 꽃대에 청자색의 꽃이 핀다. 꽃과 함 께 발달한 잎의 모양은 원심형이며 연잎을 닮았다. 꽃이 진 이후에도 늦가을까지 잎이 남아있어 관상가치가 뛰어 난 조경식물로 알려져 있다(Huang 1995). 깽깽이풀은 조 경소재뿐만 아니라 약리적인 가치가 있는 식물이다. 깽 깽이풀의 뿌리는 예전부터 황련이라 하여 청열, 해독, 건위 의 효능이 있어 약재로 사용되었다(Bae 2000). 최근에는 깽깽이풀의 뿌리에서 berberine을 검출하였고, 이 물질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추출물질로 알려 져 있다(Duke and Ayensu 1985; Kong et al. 2004).

    관상적, 약리적인 가치가 뛰어난 깽깽이풀은 최근 무 분별한 식물 채취와 토지 개발로 인해 자생지가 훼손되 어 개체군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으며 최근까지 멸종 위 기 식물로 분류가 되었다(NIER 2004). 깽깽이풀은 종자 에서 발아하여 개화를 할 수 있는 상태의 식물체가 되 기까지 3년 이상의 재배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재배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깽깽이풀의 전체 생육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자생지 복원과 깽깽이 풀의 원예화를 위한 효과적인 기술이 될 것이다. 깽깽이 풀의 생육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깽깽이풀의 종자휴 면을 단축하는 방법(Rhie et al. 2014b)과 저온처리를 통 한 식물체의 휴면 타파(Jung 2009), 적정 차광율(Rhie et al. 2014a)에 대해서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아직 양액의 농도에 따른 생육 촉진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양액재배는 식량 작물뿐만 아니라 많은 화훼류의 생육 을 촉진시키는데 광범위하게 사용 되어왔다(Havlin et al. 2005). 안스리움(Anthurium andraeanum) 재배시 질소, 인, 칼륨의 농도를 높여주면 꽃의 크기와 화경이 증가하 였으며, 꽃의 개수는 최대 26% 증가 하였다(Higaki et al. 1992). Dole and Wilkins (1999)는 대다수의 화훼작 물 재배에 적절한 양액농도는 EC가 1.25에서 2.25dS • m−1 사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제라늄의 경우 북유럽에서 가 을에 재배할 경우 EC를 1.0 과 2.0dS • m−1로 높여 재배 하였을 때 줄기 신장량, 옆면적, 꽃의 품질 면에서 우 수하였지만 증산량이 많은 봄에 재배하였을 때는 EC 2.0dS • m−1 경우 잎의 염류 축적으로 인해 오히려 생육 이 저하되었다(Rouphael et al. 2008). 이와 같이 식물의 생육에 적절한 양액농도는 식물의 종류뿐 아니라 생육시 기와 생육단계에 따라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Havlin et al. 2005).

    깽깽이풀은 마사토에 부엽토를 혼합하여 재배하는 것 이 좋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배수성을 위해 마사토 를 사용하는 면은 긍정적이지만 추가로 비료공급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깽깽이풀의 생장은 느릴 수 밖에 없다. 따 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양액시비의 유무가 깽깽이풀 의 생육촉진을 촉진하는지 그리고 그에 나타나는 깽깽이 풀의 생리적인 반응이 무엇인지 알아보며, (2) 깽깽이풀 의 생육 단계에 따른 최대 생장량을 나타내는 양액의 농 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1차 실험은 양액시비의 유무가 깽깽이풀의 생장과 광합 성과 연관된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깽깽이풀은 강원도 평창에 위치한 한국자 생식물원(37°37'S, 128°39'E)에서 2007년 5월 채종한 종자 를 바로 직파하여 2년간 재배한 성묘를 2009년 3월 27일 분양 받았다. 분양 받은 식물체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모 래를 각각 4 : 1 : 5의 비율로 섞은 배합토를 사용하여 10cm 의 플라스틱 포트에 2009년 3월 31일 정식하였다. 위의 배 합토의 비율은 자생화 재배시 배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된 비율을 응용하여 설정하였다(Song et al. 2002). 정식 이후 식물체를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서울대학교 실험 농 장의 온실(37°27'S, 126°99'E)에서 재배하였다. 2009년 5월 1일부터 대조구의 경우 수돗물을, 액비시비구의 경우 분화 전용액비인 Technigro Plus 20N-9P-20K(Sun Gro Horticulture, Bellevue, WA, USA)를 EC 1.0dS • m−1으로 맞추어 처리하였다. 이때의 질소 농도는 150mg • L−1(34% NH4+, 46% NO3)이었다. 관수는 매일 아침 09:00에 30분 동안 저면관수로 하였다. 염류의 집적을 막기 위 해 2주에 한차례 수돗물로 모든 처리구에 충분히 두상 관수하여 집적된 염류를 용탈시켰다. 양액 처리에 따른 생육을 조사하기 위해 처리 12주 후(2009년 7월 24일) 에 엽수, 초장, 엽면적, 건물중 등을 조사하였다. 엽면적 은 엽면적 측정기(LI-3000A, LI-COR, Lincoln, Nebrask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건물중은 식물체의 지상 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80℃에서 72시간 건조시킨 이후에 측정하였다.

    1차 실험 기간 동안 2주 간격으로 SPAD-502(Konica Minolta, Osaka, Japan)을 이용하여 엽록소를 비파괴적으 로 측정하였다. 처리 40일 후(2009년 6월 18일) 엽록소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엽록소 형광측정기(PAM-2000, Walz, Effeltrich, Germany)를 사용하여 오전 10시에 30분 이상 암적응 시킨 후 측정하였다. 0.1μmol • m−2 • s−1 PPFD이 하의 빛에서 발생하는 잎의 암적응 상태의 바닥 형광값 (Fo)과 약 8,000μmol • m−2 • s−1 PPFD의 포화광을 0.8초 동안 조사하여 발생하는 암적응 상태의 최대형광값(Fm) 을 측정하였다. 광화학 반응에 대한 양자수율의 최대치 값인 Fv/Fm= (Fm-F0)/Fm을 계산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깽깽이풀의 생장에 적합한 양액농도를 구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2012년 4월 25일에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한택식물원(37°5'S, 127°24'E)에서 1, 2년생 깽깽이풀을 공급받았으며, 식물체의 정식은 1차 실 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정식 후 경기도 수원시 소 재의 서울대학교 실험농장의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처리 에 사용된 양액은 Sonneveld 분화용 양액이며 처리농도 는 0배액(대조구), 0.5배액, 1.0배액, 2.0배액 총 4가지 수 준이었다. 대조구는 수돗물만을 사용하였다. 매일 아침 09:00에 저면관수를 30분간 하였으며 대조구인 0배액의 EC는 0.220dS • m−1이었으며 pH는 7.5였다. 0.5배액은 EC 1.150dS • m−1(질소수준 60mg • L−1, pH 6.6), 1.0배액은 EC 1.930dS • m−1(질소수준 120mg • L−1, pH 6.3), 2.0배액은 EC 3.670dS • m−1(질소수준 240mg • L−1, pH 6.0)이었다. 1년생 깽깽이풀은 실험 처리 후 72일(2012년 7월 6일) 에, 2년생 깽깽이풀은 실험 처리 후 86일(2012년 7월 20일)에 각 처리의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1차 실험은 처리당 12개체, 2차 실험은 처리당 15개체 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하였다. 1차 실험 결과는 무처리 구와 양액처리구간의 차이를 t-test로 검정하였고, 2차 실험에서는 SAS 9.1(SAS Institute Inc., Cary, USA)을 이용하여 일반선형모형(GLM)을 통해 분산분석을 수행하 였다 Sigma Plot 10.0(SPSS, Inc., Chicago, USA)을 이 용하여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 은 5% 유의수준에서 Duncan 다중검정을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양액처리를 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엽수는 43%, 초 장은 35%, 엽면적은 24% 증가하였다(Table 1). 건물중 도 양액처리시 크게 증가하였는데 대조구에 비해 지상부 는 111%, 지하부는 79%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와 지하 부의 상대적인 비율인 S/R율(shoot:root ratio)에서는 양액 처리가 약간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양액처리구에서는 깽깽이풀 잎의 SPAD값이 증가하여 일 정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대조구에서는 실험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으로 SPAD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Fig. 1). SPAD값은 비파괴적으로 잎의 엽록소함량을 측정한다. 영 양이 결핍된 콩의 경우 잎의 엽록소함량이 감소하고 결 국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Ma et al. 1995).

    실험 처리 후 40일이 지나고 엽록소 형광값을 측정해 보았을 때 양액을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Fo, Fm값이 각각 0.14 ± 0.01, 0.68 ± 0.02이었고, 대조구에서는 Fo, Fm값이 각각 0.17 ± 0.01, 0.60 ± 0.02이었다(Fig. 2A, B). Fv/Fm값 은 양액처리에서 0.80 ± 0.00, 대조구에서는 0.72 ± 0.02로 대조구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Fig. 2C). 광합성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낼 때의 이상적인 Fv/Fm값은 0.85라고 알려 져 있다(Bolhar-Nordenkampf et al. 1991). Fv/Fm값이 낮아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식물의 광포화점 을 넘는 고광도나 생육적온을 넘는 고온의 환경에서 재 배하였을 때 광저해현상(photoinhibition)이 생기는 것이 대 표적인 이유이다(Barber and Andersson 1992; Demmig- Adams 1990). 깽깽이풀도 고광도에서 재배하였을 때 Fv/ Fm값이 낮아지면서 광합성 효율이 떨어진다(Rhie et al .2014a). 그런데 고광도로 인한 스트레스뿐 아니라 질소 가 결핍된 식물에서도 Fv/Fm값이 낮아졌으며, 이는 질소 결핍으로 인하여 광계II를 구성하는 폴리펩타이드, 엽록 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엽록소 a/b안에 있는 광수용체의 부족 등으로 인해 결국 광합성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광저해현상이 나타난다(Nunes et al. 1993). 하지만 고농 도의 질소를 처리했을 때 광저해현상이 대조구에 비해 감 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D1 단백질과 같이 광계 II를 구성하는 단백질이 빠르게 재합성이 되어서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기 된 것으로 밝혀졌다(Nunes et al. 1993). 따라서 본 실험에서 양액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Fv/ Fm값이 낮아지게 된 것은 광수용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광저해현상이 생겼다고 판단된다. 또 한 대조구에서 Fv/Fm값이 낮아지게 된 것은 Fo이 증가 하고 Fm값의 감소에 기인한 것인데(Fig. 2), 특별히 Fo 값이 증가하는 원인은 PSII의 안테나 엽록소의 저해가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Critchley and Russell 1994). 대조구에서 SPAD값이 낮았던 것과 연관 하여 비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잎의 엽록소 양 이 줄어들고 이때 들어오는 과다한 양의 빛을 광수용체 가 수용하지 못하여 광저해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여겨 진다. 1차 실험을 통해 무처리구에서는 엽록소 함량감 소, 광저해현상, 그에 따른 광합성효율 감소 등 생육장 애가 나타나지만, 이러한 장애를 양액처리를 통해 극복 하고 생육을 정상화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차 실험에서는 깽깽이풀 1, 2년생을 다양한 양액농도 에서 재배하고 생육을 조사하였다. Sonneveld 양액은 숙 근 초화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화용 화훼류를 재배하고 실험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Kil et al. 2011; Kim et al. 2012; Kim et al. 2008), 2차 실험에서 는 Sonneveld 양액을 사용하였다. 실험 처리 후 72일째, 1년생 깽깽이풀은 총 건물중이 0.5배액(EC 1.2dS • m−1)에 서 가장 높았으며 이보다 높은 농도 처리에서는 오히려 건물중이 감소하였다(Fig. 3A, 4A). 지하부 건물중도 0.5 배액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지상부 건물중은 1.0배액(EC 1.9dS • m−1)에서 0.5배액보다 약간 무거웠으나 서로 유의 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건물중을 2차식으로 추세선을 그 렸을 때 가장 무거운 건물중을 보이는 예상 배액은 0.76 배액이었다. Kim et al.(2003)은 Sonneveld 양액을 이용 하여 숙근초화류인 범부채, 붓꽃, 돌단풍, 바위취의 생육 을 조사한 결과, 붓꽃에서는 Sonneveld 2.0배액에서 생 육이 가장 좋았지만 범부채, 돌단풍, 바위취의 경우에는 Sonneveld 0.5, 1.0, 2.0배액에서의 처리간 유의적인 차 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식물에 따라 최적의 생 장을 나타내는 양액농도가 다양하며, 깽깽이풀 1년생의 경 우에 Sonneveld 0.76배액이 적당함을 알 수 있다.

    2년생 깽깽이풀의 경우 총건물중, 지하부, 지상부 건 물중이 1.0배액(EC 1.9dS • m−1)에서 가장 무거웠다(Fig. 3B, 4B). 추세선을 그려 보았을 때 2년생 깽깽이풀에서 는 1.06배액에서 가장 무거운 건물중을 나타냈다. 1차 실 험에서 사용한 EC 1.0dS • m−1의 Technigro Plus 20N- 9P-20K와 2차 실험에 사용한 Sonneveld 양액과 질소 수 준으로 비교해 보면 Technigro Plus 20N-9P-20K의 질소 농도가 150mg • L−1 수준이었다는 것을 볼 때 Sonneveld 1.25배액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1차실험에 사용한 식 물체와 2년차실험에 사용한 2년생 식물체가 년생이 같더 라도 실험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양액처리효과를 나타낼 수는 없지만 건물중의 경우 양액처리를 하였을 때 무시비구인 대조구에 비해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이 약 2배 무거운 것으로 보여 어느 정도 실험이 재현성 있 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Table 1, Fig. 3). 깽깽이풀 의 생장년수가 많아짐에 따라 최대 건물중을 얻는 최적 양액 농도가 약간 높아져 생육단계가 진행될수록 비료요 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국화 재배 시 생 육 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양액의 공급 농도를 높일수록 초장, 엽수, 개화 품질에서 좋았다는 보고에서와 같이 (Hwang et al. 2009) 식물체의 생육이 진전될수록 식물 체의 크기가 커지면서 양액 요구도가 더 증가한 것과 연 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Barker(1989)도 식물이 유년 단 계일수록 질소의 요구도가 적다고 하였다.

    S/R율은 양액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 내었다(Fig. 5). S/R율은 식물의 양분의 가용도를 나타내 는 지표로도 사용된다(Davidson 1969). 필요한 양분이 부 족한 토양에서 지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지하부의 생육을 극대화 시키며 뿌리 공생균과의 결합력도 증대시켜 최대 한 양분을 흡수하려는 경향을 보여 결국 S/R율이 낮게 나타난다(Chapin 1980). 2년생 깽깽이풀의 경우에 1.0배 액 부근에서 가장 높은 S/R율을 보이고 그 수준이 유지 되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생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 던 0배액(EC 0.2dS • m−1)과 0.5배액(EC 1.2dS • m−1)에서 S/R율이 낮게 유지된 것도 배합토의 보유 양분이 낮아 생긴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깽깽이풀과 같은 초본류는 아 니지만,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Betula pendula의 경우에도 적정 양액의 농도수준까지는 S/R율이 높아지다가 그 이 상의 양액 수준에서는 더 이상 비율이 높아지지 않고 일 정 수준을 유지하였다(Ingestad and Agren 1991). 양액 이 적정농도보다 훨씬 더 높아질 때 식물체는 고농도의 이온들로 인해 피해를 입게 된다. 이때 식물은 토양 속 에 있는 고농도의 비료를 적게 흡수하기 위해 뿌리의 생 육을 상대적으로 줄여 뿌리로부터 양액이 흡수되는 것을 막아 결과적으로는 S/R율을 높게 유지하는 방향이 될 것 이라고 예상하였다(Wilson 1988). Wilson and Haydock (1971)은 고농도의 질소, 인 처리가 저농도보다 S/R율을 높인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식물에 따라 고농도의 양 액처리에서 S/R율이 높아지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 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Wilson 1988).

    위의 결과로 적정 양액시비를 통해 엽수와 건물중 등 깽깽이풀의 생장을 촉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절한 양 액의 공급이 없을 때는 엽록소 양의 감소와 광저해현상 으로 광합성 효율이 떨어져 전체적인 생장이 느려지는 것 으로 판단되었다. 적정 Sonneveld 양액 농도는 일년생묘 의 경우 0.76배액에서 2년생 묘는 1.06배액에서 최대 생 장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 이와 같이 깽 깽이풀 재배에는 1년생의 경우에는 EC 1.29dS • m−1 정 도로 하고 생장이 진전될수록 EC를 1.9dS • m−1까지 높 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숙근성 자생식물이 개화하기 위해선 적정 엽수와 뿌리 생 육 등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깽깽이풀의 경우 적정 양액농 도처리시 지상부, 지하부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적정 양액농도재배는 생육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 린 깽깽이풀의 생육을 촉진하여 전체 재배기간을 단축시 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초 록

    깽깽이풀은 관상적인 가치가 뛰어난 다년생 초화류이다. 깽깽이풀의 재배 기간 단축을 위해, 양액의 농도에 따른 깽깽이풀의 생장 효과를 구명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양 액의 유무가 식물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 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화 전용 양액(Technigro 20N-9P- 20K Plus fertilizer)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 0(대조구)과 1.0dS • m−1으로 저면관수 처리하였다. 엽수, 초장, 엽면적, 건물중은 양액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양액 처리구에서 Fv/Fm값과 SPAD값이 대조구에 비해 높 은 수치를 보였다. 두 번째 실험은 1, 2년생 식물체를 4가지 다른 수준의 Sonneveld 양액 농도(0, 0.5, 1.0, 2.0 배액; EC는 각각 0.2, 1.2, 1.9, 3.7dS • m−1)에서 각각 재배하였다. 건물중과 양액농도와의 관계를 2차식으로 표 현하였다. 포물선 식에 따르면 최대 건물중을 획득하는 양 액의 농도는 1년생에서는 0.76배액, 2년생에서는 1.06배 액이었다. 이와 같이 깽깽이풀 재배에는 1년생의 경우에 는 EC 1.29dS • m−1 정도로 하고 생장이 진전될수록 EC 를 1.9dS • m−1까지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 되었다

    추가 주요어:

    엽록소 측정, 유년기, 광저해현상, 광합성, 지상부: 지하부 비율

    사 사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109096-5)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FRJ-22-81_F1.gif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on chlorophyll content of the leaves of Jeffersonia dubia. The plants were subirrigated with 0 or 1.0 dS • m−1 Technigro 20N-9P-20K Plus fertilizer. Data were collected at 7, 21, 42, 63, 77, and 91 days after treatment. Bars represent standard errors.

    FRJ-22-81_F2.gif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on minimal fluorescence (A), maximal fluorescence (B), and maximal photosystem II photochemical efficiency (C) of the leaves in Jeffersonia dubia at 40 days after treatment. The plants were subirrigated with 0 or 1.0 dS • m−1 from Technigro 20N-9P- 20K Plus fertilizer. Bars represent standard errors.

    FRJ-22-81_F3.gif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dry weight of oneyear (A) and two-year (B) old Jeffersonia dubia. The plants were subirrigated with 0.0, 0.5, 1.0, or 2.0 × full strength of Sonneveld solution (EC 0.2, 1.2, 1.9, or 3.7 dS • m−1,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at harvesting times (72 days and 86 days after treatment for one-year and two-year plants, respectively). Lines indicate significant quadratic effects; P ≤ 0.05.

    FRJ-22-81_F4.gif

    Growth of one-year (A) and two-year (B) old Jeffersonia dubia under different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with 0.0, 0.5, 1.0, or 2.0 × full strength Sonneveld solution (EC 0.2, 1.2, 1.9, or 3.7 dS • m−1, respectively) at 72 days for one-year and at 86 days after treatment for two-year plants, respectively. Bar = 5 cm.

    FRJ-22-81_F5.gif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shoot:root ratio of one-year (●) and two-year (○) old Jeffersonia dubia. The plants were subirrigated with 0.0, 0.5, 1.0, or 2.0 × full strength Sonneveld solution (EC 0.2, 1.2, 1.9, or 3.7 dS • m−1,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at 72 days for one-year and at 86 days after treatment for two-year plants, respectively. Solid and dotted lines indicates significant quadratic effects of one-year and two-year old Jeffersonia dubia, respectively; P ≤ 0.05.

    Table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Jeffersonia dubia at 12 weeks after treatmentz.

    zThe plants were subirrigated with 0 or 1.0dS • m–1 from Technigro 20N-9P-20K Plus fertilizer.
    yns, *,**,***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ly different at P = 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Reference

    1.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sa Co Ltd,
    2. Barber J , Andersson B (1992) Too much of a good thing light can be bad for photosynthesis , Trends Biochem Sci, Vol.17; pp.61-66
    3. Barker AV (1989) Genotypic responses of vegetable crops to nitrogen , HortScience, Vol.24; pp.584-591
    4. Bolhar-Nordenkampf HR , Hofer M , Lechner EG (1991) Analysis of light-induced reduction of the photochemical capacity in field-grown plants , Evidence for photoinhibition? Photosyn Res, Vol.27; pp.31-39
    5. Chapin FS (1980) The mineral nutrition of wild plants , Ann Rev Ecol Systematics, Vol.11; pp.233-260
    6. Critchley C , Russell AW (1994)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 vivo the role of protein turnover in photosystem II , Physiol Plant, Vol.92; pp.188-196
    7. Davidson RL (1969) Effects of soil nutrients and moisture on root/shoot ratios in Lolium perenne L and Trifolium repens L , Ann Bot, Vol.33; pp.571-577
    8. Demmig-Adams B (1990) Carotenoids and photoprotection in plants a role for the xanthophyll zeaxanthin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Bioenergetics, Vol.1020; pp.1-24
    9. Dole JM , Wilkins HF (1999) Floriculture principles and species, Prentice-Hall Inc,
    10. Duke JA , Ayensu ES (1985) Medicinal plants of China, Reference Publications,
    11. Havlin J , Beaton JD , Tisdale SL , Nelson WL (2005) Soil fertility and fertilizers an introduction to nutrient management, Prentice-Hall, Inc,
    12. Higaki T , Imamura JS , Paull RE (1992) N, P, and K ratesand leaf tissue standards for optimum Anthuriumandreanum flower production , HortScience, Vol.27; pp.909-912
    13. Huang M (1995) New ornamental crops in Asia , Acta Hort, Vol.397; pp.43-58
    14. Hutchinson J (1920) Jeffersonia and Plagiorhegma Bul , Miscellaneous Info (Royal Botanical Gardens Kew), pp.242-245
    15. Hwang IT , Cho KC , Kim HG , Ki GY , Yoon BK , Kim JG , Lim JH , Choi SR , Shin HK (2009) Reduction of stem cavity and improvement of flower quality in Chrysanthemum ‘Baekma’ by hydroponic culture , Flower Res J, Vol.17; pp.251-255
    16. Ingestad T , Agren GI (1991) The influence of plant nutrition on biomass allocation , Ecol Applications, Vol.1; pp.168-174
    17. Jung JH (2009) Effect of transfer date to a growth chamber and low temperature on growth and flowering of Jeffersonia dubia Benth , Flower Res J, Vol.17; pp.266-270
    18. Kang JG , van Iersel MW (2004)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ffects shoot: root ratio, leaf area ratio, and growth of subirrigated salvia (Salvia splendens) , HortScience, Vol.39; pp.49-54
    19. Kil MJ , Shim MS , Park SK , Shin HK , Jung JA , Kwon YS (2011) Selection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and media in potting without nutrient solution recycling in Gerbera ‘Sunny Lemon’ , Korean J Soil Sci Fert, Vol.44; pp.1300-1305
    20. Kim JS , Jeong MI , Han SW , Jang HK , Lee SM , Jung HH (2012) Evaluation of water purification ability of marginal water plants native to Korea ,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Vol.15; pp.357-362
    21. Kim SJ , Chang DC , Suh JT , Lee EH (2008) Optimun media of Sedum kamtschaticum for pot culture in an Ebb & Flow system , Flower Res J, Vol.16; pp.205-210
    22. Kim YS , Lee JS , Yoon PS (2003) Media depth, light intensity levels and nutrient solution on the several wild plants in the rooftop environment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1; pp.87(Abstr)
    23. Kong WJ , Wei J , Abidi P , Lin MH , Inaba S , Li C , Wang YL , Wang ZZ , Si SY , Pan HN , Wang SK , Wu JD , Wang Y , Li ZR , Liu JW , Jiang JD (2004) Berberine is a novel cholesterol-lowering drug working through a unique mechanism distinct from statins , Nature Medicine, Vol.10; pp.1344-1351
    24. Ma BL , Morrison MJ , Voldeng HD (1995) Leaf greenness and photosynthetic rates in soybean , Crop Sci, Vol.35; pp.1411-1414
    25.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4) The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endangered and reserved plants based on the ec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IV) , Natl Inst Environ Res Flower Res,
    26. Nunes MA , Ramalho JC , Dias MA (1993) Effect of nitrogen supply on the photosynthetic performance of leaves from coffee plants exposed to bright light , J Expt Bot, Vol.44; pp.893-899
    27. Rhie YH , Lee SY , Jung HH , Kim KS (2014a) Light intensity influences photosynthesis and crop characteristics of Jeffersonia dubia , Korean J Hort Sci Technol (In press) ,
    28. Rhie YH , Lee SY , Kim KS (2014b)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in Jeffersonia dubia (Berberidaceae) 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gibberellic acid , Plant Biol (In press) ,
    29. Rouphael Y , Cardarelli M , Rea E , Colla G (2008) The influence of irrigation system and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potted geranium produc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of radiation and temperature , Scientia Hort, Vol.118; pp.328-337
    30. Song JS , Lee SY , Bang CS , Huh KY (2002)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 of Korean Native Plants in Potted Medium added Decomposed Manure , Flower Res J, Vol.10; pp.27-32
    31. Wilson JB (1988) A review of evidence on the control of shoot root ratio, in relation to models , Ann Bot, Vol.61; pp.433-449
    32. Wilson Jr , Haydock KP (1971) The comparative response of tropical and temperate grasses to varying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orus nutrition , Crop Pasture Sci, Vol.22; pp.573-587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