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2 pp.48-53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2.2

Efficient Irrigation Practice through Soil Moisture Sensor Based Automated Irrigation System in Ornamental Plant Production
화훼작물의 효율적 생산을 위한 토양수분센서 자동관수시스템

Jongyun Kim
Department of Horticulture, Pai Chai University, Daejeon 302-735, Korea

김 종윤
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Corresponding Author : Jongyun Kim Tel: +82-42-520-5361 jongyun@pcu.ac.kr
March 15, 2014 May 7, 2014 June 24, 2014

Abstract

As the interests in plant factor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have been increased, researches on advanced management practice with sensor technology in ornamental plant production became very active throughout the world. In particular, soil moisture sensor based automated irrigation system can provide more efficient and environmental friendly ornamental production practice. Among the soil moisture measurement sensors (tensiometer, gypsum block, neutron prove, and dielectric soil moisture probe) that can fit in horticultural production,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sensors are the most suitable soil moisture sensor for automated irrigation system, and this automated irrigation system can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of appropriate soil moisture level for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to produce quality ornamental plants, as well as providing well-described environmental condition for environmental plant physiology. In practice, soil moisture sensor based automated irrigation system could save water and fertilizer use, reduce diseases, produce quality plants, and als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Through these advantages, growers could produce the plants more efficiently and environmental friendly, and increase their income. This review paper will discuss about the introduction, method, and practical examples of soil moisture sensor based automated irrigation system.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313059-03-1-HD030

    서 언

    1940년대부터 인간의 식량과 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농 업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생산 위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농업 과학 및 기술이 발달되어 왔으며, “녹색혁명 (Green revolution)”이라고 일컬어질 만큼 농업 기술의 발 전에 크게 기여하였다(Hazell 2009). 이 과정에서 효과적 인 시비를 위한 기술 개발과 식량자원의 생산 증대가 이 루어졌지만, 화학비료의 과다한 시비를 통한 토양 염류 집적 등 환경오염이 농업생태계를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 로 대두되고 있으며, 2000년도에 들어서는 미래를 위한 친환경적 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에 대한 연구의 필요 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Conway and Barbier 2013; Hazell 2009). 이를 위해, 분자생물학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적응성이 강한 신품종을 육종하거나 유기 농법(organic farming)과 같이 친환경 농업을 위한 기술 개 발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이 될 수 있도록 전세계적 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Jury and Vaux 2005).

    최근, 미국과 유럽 등을 중심으로 공학 분야 학문과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식물 환경의 측정 및 제어를 위한 환경 측정 센서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재배 방안(best management practice)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 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근권환경과 관련하여 토양수 분센서(soil moisture sensor)를 이용한 원예작물의 토양 수분함량 측정 및 제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즉, 기존 에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웠던 식물의 수분 요구량 및 관수 시기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들을 통해 친환경적이며 고품질의 화훼작물을 생산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토양 수 분 함량 측정 및 제어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 이다. 이와 같은 국내의 연구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현 재까지 수행되었거나 진행중인 연구를 소개하고 이를 통 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생력적인 관수방법에 대한 제언, 그리고 이를 통한 고품질 화훼 생산 가능성과 경제적 이 익에 대하여 논하고자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최적재배방안을 위한 효율적 관개관수

    식물이 생장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생리작용 은 광합성이며 광과 함께 여러 환경요인들이 광합성에 영 향을 미친다. 광 조건 외에 일반적인 재배환경에서 작물 생장에 가장 큰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물이다 (Boyer 1982). 광의 경우 노지 재배에서 자연광을 인위 적으로 조절하기 어렵지만, 시설 재배시 차광막을 사용 한 광도 조절이나 인공광원을 이용한 보광을 통해 광환 경을 변화시키고 작물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로 인 해 많은 원예작물의 적정 광도 및 광질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LED 기술의 개발과 함께 광 환경 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Choi et al. 2012; Park et al. 2012). 식물 영양에 관련되는 비료의 경우도 오래 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작물의 외관과 생육 상태를 기초로 특정 성분의 결핍 및 과잉에 대한 진단이 가능하며, 이 역시 계속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Yoo and Roh 2012).

    그러나, 물의 경우는 언제나 “충분히” 혹은 “적당히” 라는 구체적이지 못한 수준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많은 농가에서는 관수량이 부족하였을 때 발 생하는 건조장해로 인한 작물의 품질 저하를 피하기 위 해 충분히 관수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재 배농가에서 적용하는 장치인 자동관수시스템의 경우 근 권부의 함수량에 기초한 관수가 아니라 단순히 시간에 맞 추어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타이 머(timer)에 의해 작동되는 관수시스템을 적용하고 근권 부가 과습한 상태를 지속할 경우 작물의 뿌리 생육에 좋 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이는 식물 병의 발생과 함께 원예산물의 품질 저하 및 수확량 감소의 원인이 된다 (Nelson 2011). 과거의 관행적인 농산물 생산에서 효율 적인 관수 방법을 터득하기 위하여 재배농가는 수년간의 직접적인 경험이 필요하고, 경험을 통해 취득한 지식을 근거로 관수 시기 및 관수량을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작 물의 수분 요구도를 고려한 관수 시기의 결정 및 관수 량의 정량화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결국 생산량과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어왔다.

    1950년대에 화본과 식량작물을 대상으로 작물의 물 이 용량을 예측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작물이 생장하고 있는 대기환경 조건을 기초로 잔디와 같은 식물들의 증 발산량(evapotranspiration)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이 Penman과 Monteith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는 현재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에서 작물의 증발산량 측정 기준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Allen et al. 1998). 이 방법은 기준 증발 산량(reference evapotranspiration), 각 작물의 생육 정도, 그리고 작물 특성에 따른 작물계수(crop coefficient, Kc)를 이용하여 작물의 잠재 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을 구하는 계산식을 토대로 하고 있다. 토양, 일사량, 상 대습도, 온도 및 풍속 등의 환경 측정값에 의한 에너지 균형(energy balance)이 본 계산식에 포함되며, 기상 측 정이 이루어지는 기상청과 같은 곳에서 기후 데이터를 통 한 기준 증발산량을 농민들에게 제공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곡류와 같은 식량작물은 토양(soil)에서 재배되 는 것에 반해 원예작물은 집약적으로 용기재배(container culture) 되고 작물의 생리적 특성에 적합하도록 토양 물 리화학적 특성이 조절된 상토(substrate)가 용기재배에 이 용된다. 또한 원예작물의 생육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며, 식물의 종 및 품종도 다양하여 Kc를 설정하는 것 이 매우 어렵다(Bacci et al. 2008). 특히 원예작물을 시설 내에서 재배하는 경우에는 시설 내의 미기후(microclimate) 의 영향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시설 내 의 환경 때문에 작물의 잠재 증발산량을 계산하기 어려 운 문제점을 갖는다.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 환경조건을 측정할 수 있 는 센서들이 등장하였고, 데이터로거(data logger)와 같은 정보 수집/처리 장치가 함께 사용되면 측정 뿐 아니라 제 어도 가능할 수 있어 작물의 최적 생육 환경을 좀더 구 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 었다. 그 중 토양수분센서는 토양 및 상토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제어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도구이다. 센 서들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토양수분함량을 측정함으로 써 언제, 얼마만큼의 관수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빠르고, 비파괴적이며, 재배농가에 서 쉽게 수치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측정치 를 데이터로거와 같은 데이터 수집장치에 연결하면, 증 발산량이나 상토 내의 수분함량의 시간적 선형 변화를 측 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Gaskin and Miller 1996). 현재 개발된 토양수분센서가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 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토양 매트 릭포텐셜(matric potential, ψ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과 토양 내의 실제 수분 함량(예, 용적수분함량; volumetric water content)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토양수분센서 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수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 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Bacci et al. 2008; Blonquist et al. 2006; Muñoz-Carpena et al. 2005; Nemali et al. 2007; Thompson et al. 2007), 각 센서들의 특성에 따라 이용방법이나 측정에 장단점이 있어 센서들의 활용가능 성을 비교한 내용이 보고되기도 하였다(Jones 2004).

    토양수분센서의 종류

    현재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양수분센서는 토 양수분장력계(tensiometer), 석고블록(gypsum block), 중 성자수분측정기(neutron probe), 유전상수측정기(dielectric soil moisture probe)와 같이 크게 네 종류로 나뉘어질 수 있다. 토양수분장력계는 토양내의 매트릭포텐셜을 측정 할 수 있는 센서로서 이를 이용하여 딸기(Krügera et al. 1999), 국화(Lieth and Burger 1989), 장미(Hansen and Pasian 1999) 등의 관수를 조절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Bacci et al.(2008)은 기후환경을 이용한 증발산량 측정 과 토양수분장력계를 동시에 이용하여 분화식물의 관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각각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 적이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토양수분장력계를 이용하여 토양수분함량을 측정하는 경우, 영하의 온도에서는 토양 수분포텐셜 측정에 한계가 있으며(Hansen and Pasian 1999), 토양수분장력계의 기계적인 특성상 측정부위와 정 확하게 접촉되지 못할 경우 쉽게 측정값에 오류가 생기 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실제 농가에서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Jones 2004; Nemali et al. 2007).

    석고 블록(gypsum block)을 이용한 센서는 아연 도금 된 두 전선을 석고로 감싸서 토양수분에 따른 석고의 전 기 전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쉽 게 이용할 수 있는 센서이다. 그러나, 석고 블록의 측정 치는 토양 염류나 pH에 큰 영향을 받으며, 토양이 건조 하는 속도와 석고 블록이 건조되는 속도가 다르고, 시간 이 지남에 따라 석고가 토양 안에서 녹는 현상이 생기는 등 여러 단점이 있어 현재는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다. 중성자수분측정기(neutron probe)는 토양 내에 있는 수분 의 중성자산란(neutron scattering)을 이용하여 토양내의 수분이 얼마나 유지되어 있는지 측정하는 방법으로, 토 양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정확도가 매우 높은 장 점을 지니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방사능의 위험이 있 으며, 온실과 같은 시설에서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단점 을 지니고 있다(Gaskin and Miller 1996).

    근래에 들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이용되고 있는 토양수 분센서들은 time-domain reflectometry(TDR)과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FDR)이며, 이들은 유전체상수(dielectric constant)값을 측정하여 토양수분함량을 측정하게 된다. 일 반적으로 물은 높은 유전체상수(~ 80)를 지니고 있는데 비 하여 토양 내 고형물질(< 4)과 기체(< 1)는 매우 낮은 유 전체 상수를 지니고 있어, 물이 지니고 있는 높은 유전 체상수(dielectric constant)를 이용하여 토양수분함량을 측 정한다. TDR의 경우는 초기 설치 비용이 비싸고 이용하 는데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를 보완한 센서가 FDR이다. FDR은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라고 불리우 기도 하며, 현재 시중에 나온 커패시턴스 센서로는 미국 의 ECH2O 센서(Decagon Devices, Pullman, WA, USA) 와 영국의 ML2X 센서(Delta-T Devices, Cambridge, UK) 가 대표적이다. 이 센서들간의 원예 상토내 토양수분함량 측정에 대한 비교 및 보정이 연구된 바 있으며, 가격대 비 성능이 뛰어난 ECH2O 센서의 원예산업에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된 바 있다(Nemali et al. 2007). 이후 미국 Spectrum 사와 다른 여러 회사에서 비슷한 센 서들을 개발해 왔으며, 다른 센서들에 비하여 가격이 저 렴하면서도 시설재배 및 노지에서의 원예작물 재배를 위 한 이용측면에서 간편하고 내구력이 강한 FDR 센서를 이용하기 위해 관련 연구들이 미국과 유럽을 위주로 많 이 이루어지고 있다(Lea-Cox et al. 2013). 또한 최근에 는 토양수분함량 뿐 아니라 토양의 온도 및 전기전도도 (EC; electrical conductivity)까지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센서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어,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다.

    토양수분센서의 원예적 이용

    토양수분센서는 토양수분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 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자동관수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토양수 분센서를 이용하여 자동관수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최근 FDR 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이 원예적 이용에 가 장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자동관수 시스템들이 곧 세계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Jones 2007; Majsztrik et al. 2013a).

    Nemali and van Iersel(2006)은 기존의 데이터로거와 FDR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을 개발하였 으며, 이를 통해 정량화된 토양수분함량에 따른 식물의 반응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FDR 토양수분센서의 경 우, 토양 혹은 상토의 특성에 따라 센서의 올바른 계수 설정(calibration)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적절하게 보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계속해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의 구성은 1) 토 양수분함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를 식물의 뿌리 부분이 있는 토양에 설치하고, 2) 실시간으로 센서의 측 정값을 기록하고 처리하는 데이터로거 및 컴퓨터에 연결 시켜주며, 3) 데이터로거나 컴퓨터에 관개를 개시할 토 양수분함량의 기준치를 설정하게 되면, 4) 일정한 토양 수분함량에 도달하였을 때 릴레이를 조작하게 되어 5) 연 결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며 적정량의 관수가 가능하 게 되고, 이를 통하여 적정수준의 토양수분함량을 지속 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Fig. 1). 자료처리와 컨트 롤 기능이 가능한 데이터로거를 이용하면 이러한 시스템 을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현재 여러 제어시스템 개발 산업체에서 상용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중에 있다.

    자동관수시스템의 이용은 적정수준의 토양수분함량을 유 지시키고 작물 생육 환경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이머로 작동되는 기존의 관수시스 템이 단위시간당 몇 회 관수라는 명확하지 않은 관수 방 법을 적용하는 것에 비하여 토양수분함량을 더 구체적으 로 명시해 줄 수 있어, 건조장해 및 식물환경생리를 연 구하는데 좀 더 정확한 환경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러한 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토양수분함량에 따른 Salvia splendens, Catharanthus roseus, Petunia × hybrida, Impatiens walleriana와 같은 화단식물의 생육 반응에 대한 연구(Nemali and van Iersel 2008)가 수행되었고, 적정량 의 관수를 통한 Petunia × hybrida(Kim et al. 2011), Hibiscus acetosella(Bayer et al. 2013)의 물 이용량을 일 일적산광량(DLI; daily light integral)과 같은 환경조건을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Kim et al.(2012)은 토양수분함량 수준에 따른 페튜니아 의 생육과 생리적 변화 뿐 아니라 ABA의 생합성에 관 련된 유전자 발현을 보고하여, 본 시스템의 이용방법이 많은 연구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자동관수시스템의 재배적 이점과 경제적 이점

    앞에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동관수시스템은 좀 더 명확한 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 제어하여 연구에 많 은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작물을 재배하고 고품질의 화훼산물을 생산해 내는데 큰 장점을 갖는다. 자 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한 화훼생산의 재배적 이점으로는 가 장 먼저 효율적인 관수를 통하여 재배에 이용되는 물의 양을 아낄 수 있다는 점이다. 대량으로 수국(Hydrangea macrophylla)을 재배하는 농가의 실험에서, 관행적인 방 법으로 관수를 한 대조구에 비해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으로 관수를 한 처리구에서 이용된 물의 총량을 비교하였을 때 전체 물 이용량의 83%을 절약하 였다. 또한 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배된 수국은 수 확시기의 토양 EC가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비료 의 이용량도 절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고되었다(van Iersel et al. 2009). Majsztrik et al.(2013b)은 작물 재 배시 물 이용량을 줄임으로서 근권부로부터 용탈되는 비 료의 양을 줄이고, 이를 통해 환경오염 저하, 친환경적 재배, 그리고 작물 재배를 위한 비료 구매 비용의 절약 등 많은 장점이 유발될 수 있다고 하였다. 자동관수시스 템을 이용하여 재배한 꽃치자(Gardenia jasminoides) 생 산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관행적인 관수방 법으로 재배한 경우 많이 발생하는 뿌리 썩음 문제가 해 결되었고 균일한 생장을 통한 수확시기 단축(14주에서 5- 8주로 단축)도 가능하였으며, 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한 재 배는 병충해 방지, 품질 향상, 수확량 증가, 그리고 생육 시기 단축이라는 많은 장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다(Chappell et al. 2013).

    이상과 같이 자동관수시스템을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 할 때 많은 장점이 있지만 농가에서는 시스템을 설치하 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해야 하며 투자를 통해 발생 한 경제적 이득이 농가의 경영상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자 동관수시스템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를 비교한 연구에서 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물의 이용량, 비 료 구매 비용, 그리고 병충해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 으며 또한 품질 향상과 생육시기 단축이 가능하여 실제 생산농가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은 관행재배를 통한 소 득의 1.5배로 예측되었다(Lichtenberg et al. 2013). 미국 의 경우 농가의 규모와 재배비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빠르면 4개월에서 늦게는 3년안에 투자금액을 회수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Belayneh et al. 2013). 또한, 미국의 화훼류 재배 농가들을 대상으로 자동관수시스템의 이용 에 대하여 설문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농가에서 본 시스 템의 도입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자동 관수시스템 기술의 미래가 밝다고 하였다(Majsztrik et al. 2013a).

    결 론

    최근 국내외적으로 융합 학문/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 지며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농업적 이용과 관련 기술 개발이 급격히 증가하 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인구증가로 인하여 지속가능한 친 환경적 농업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최근 개발된 토양수분센서들을 이용한 자동 관수시스템을 적용하여 좀 더 생력적이며 효율적으로 고 품질의 화훼작물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하여 농가의 수입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물의 환경생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좀 더 정확한 환경 측 정 및 제어가 가능하므로 자동관수시스템의 원예적 이용 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초 록

    최근 식물공장 및 친환경적 농업에 대한 국내외적 관 심이 증가하면서, 화훼생산에서도 환경측정센서를 이용한 자동제어시스템 관련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 히,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은 고품질 화 훼류의 생산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재배방 법으로 현재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 고 있다. 원예 생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 측정 센서 종류로는 토양수분장력계, 석고블록, 중성자수분 측 정기와 유전상수측정기 등이 있으나, 현재 가장 효율적 으로 이용되는 토양수분센서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방식으로서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면 고품 질의 화훼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토양수분함량 기준을 설 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식물생육환경에 대한 연 구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화훼생산을 하게 되면 관수 량을 절약할 뿐 아니라, 비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병 충해를 줄이며, 고품질의 화훼작물을 생산해내며, 균일한 생 장을 통해 생육시기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를 통해 농가에서는 고품질의 화훼작물을 생력적으로 생 산해낼 수 있으며, 소득을 증대시키고, 환경오염도 줄여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에 대한 개요, 제작 방법 및 실제 활용에 대해서 논하였다.

    추가 주요어:

    FDR 센서, ICT, 식물공장, 융복합, 자동제어시스 템, 친환경농업

    Figure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oil moisture sensor based automated irrigation system (revised from Nemali 2005).

    substrate

    soil moisture sensor

    multiplexer

    data logger

    relay driver

    solenoid valve

    main water source line

    drip emitter and stake

    (Only one container and one solenoid valve are shown in detail although multiple valves and many pots per valve can be used).

    Table

    Reference

    1. Allen RG , Pereira LS , Raes D ,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 FAO, Rome Italy,
    2. Bacci L , Battista P , Rapi B (2008) An integrated method for irrigation scheduling of potted plants , Scientia Hort, Vol.116; pp.89-97
    3. Bayer A , Mahbub I , Chappell M , Ruter J , van Iersel MW (2013) Water use and growth of Hibiscus acetosella ‘Panama Red’ grown with a soil moisture sensorcontrolled irrigation system , Hort Science, Vol.48; pp.980-987
    4. Belayneh BE , Lea-Cox JD , Lichtenberg E (2013) Costs and benefits of implementing sensor-controlled irrigation in a commercial pot-in-pot container nursery , Hort Technology, Vol.23; pp.760-769
    5. Blonquist JJM , Jones SB , Robinson DA (2006) Precise irrigation scheduling for turfgrass using a subsurface electromagnetic soil moisture sensor , Agr Water Mgt, Vol.84; pp.153-165
    6. Boyer JS (1982) Plant productivity and environment , Science, Vol.218; pp.443-448
    7. Chappell M , Dove SK , van Iersel MW , Thomas PA , Ruter J (2013) Implement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irrigation control in three container nurseries , Hort Technology, Vol.23; pp.747-753
    8. Choi SY , Kil MJ , Kwon YS , Jung JA , Park SK (2012)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on growth and flowering in chrysanthemun , Flower Res J, Vol.20; pp.128-133
    9. Conway GR , Barbier EB (2013) After the green revolution sustainable agriculture for development, Routledge,
    10. Gaskin GJ , Miller JD (1996) Measurement of soil water content using a simplified impedance measuring technique , J Agr Eng Res, Vol.63; pp.153-159
    11. Hansen RC , Pasian CC (1999) Using tensiometers for precision microirrigation of container grown roses , Appl Eng Agr, Vol.15; pp.483-490
    12. Hazell PBR (2009) The Asian green revolution. DiscussionPaper 911 , Intl Food Policy Res Inst Washington DC,
    13. Jones HG (2004) Irrigation scheduling advantages and pitfalls of plant-based methods , J Expt Bot, Vol.5; pp.2427-2436
    14. Jones HG (2007) Monitoring plant and soil water status established and novel methods revisited and their relevance to studies of drought tolerance , J Expt Bot, Vol.58; pp.119-130
    15. Jury WA , Vaux H (2005) The role of science in solving the world’s emerging water problems , Proc Natl Acad Sci USA, Vol.102; pp.15715-15720
    16. Kim J , Malladi A , van Iersel MW (2012) Physiological and molecular responses to drought in Petunia the importance of stress severity , J Expt Bot, Vol.63; pp.6335-6345
    17. Kim J , van Iersel MW , Burnett SE (2011) Estimating daily water use of two petunia cultivars based on plant and environmental factors , Hort Science, Vol.46; pp.1287-1293
    18. Krügera E , Schmidta G , Brücknerb U (1999) Scheduling strawberry irrigation based upon tensiometer measurement and a climatic water balance model , Scientia Hort, Vol.81; pp.409-424
    19. Lea-Cox JD , Bauerle WL , van Iersel MW , Kantor GF , Bauerle TL , Lichtenberg E , King DM , Crawford L (2013) Advancing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irrigation management of ornamental crops an overview , Hort Technology, Vol.23; pp.717-724
    20. Lichtenberg E , Majsztrik J , Saavoss M (2013) Profitability of sensor-based irrigation in greenhouse and nursery crops , Hort Technology, Vol.23; pp.770-774
    21. Lieth JH , Burger DW (1989) Growth of chrysanthemum using an irrigation system controlled by soil moisture tension , J Amer Soc Hort Sci, Vol.114; pp.387-392
    22. Majsztrik J , Lichtenberg E , Saavoss M (2013a) Ornamental grower perceptions of wireless irrigation sensor networks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 Hort Technology , Vol.23; pp.775-782
    23. Majsztrik JC , Price EW , King DM (2013b) Environmental benefits of wireless sensor-based irrigation networks casestudy projections and potential adoption rates , Hort Technology , Vol.23; pp.783-793
    24. Muñoz-Carpena R , Li YC , Klassen W , Dukes MD (2005) Field comparison of tensiometer and granular matrix sensor automatic drip irrigation on tomato , Hort Technology, Vol.15; pp.584-590
    25. Nelson PV (2011) Greenhouse operation and management, Prentice Hall,
    26. Nemali KS (2005) Water requirements of bedding plants Managing substrate water content and studying physiological and growth responses of plants to varying levels of water content , The Univ of Georgia, Athens, PhD,
    27. Nemali KS , Montesano F , Dove SK , van Iersel MW (2007) Calibration and performance of moisture sensors in soilless substrates ECH2O and Theta probes , Scientia Hort, Vol.112; pp.227-234
    28. Nemali KS , van Iersel MW (2006) An automated system for controlling drought stress and irrigation in potted plants , Scientia Hort, Vol.110; pp.292-297
    29. Nemali KS , van Iersel MW (2008) Physiological responses to different substrate water contents Screening for high water-use efficiency in bedding plants , J Amer Soc Hort Sci, Vol.133; pp.333-340
    30. Park IS , Lim TJ , Oh W (2012) Growth responses of interior Plectranthus amboinicus and Fittonia albivernis influenced by different artificial light sources , Flower Res J, Vol.20; pp.179- 186
    31. Thompson RB , Gallardo M , Valdez LC , Fernández MD (2007) Using plant water status to define threshold values for irrigation management of vegetable crops using soil moisture sensors , Agr Water Mgt, Vol.88; pp.147-158
    32. van Iersel M , Seymour RM , Chappell M , Watson F , Dov S (2009) Soil moisture sensor-based irrigation reduces water use and nutrient leaching in a commercial nursery , Proc Southern Nursery Assoc Res Conf, Vol.54; pp.17-21
    33. Yoo YK , Roh YS (2012) Growth and cut flower quality as affected by irrigation and nutrient level during short day treatment in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kma’ , Flower Res j, Vol.20; pp.211-217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