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3 pp.172-178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3.15

Flower Bulb Production by Bulblet Size, Planting Distance, Planting Depth, or Planting Times of Lilium longiflorum for Pot Flower
분화용 나팔나리의 자구 크기, 재식 간격과 깊이 및 식재 시기에 따른 개화구 형성

Eun Kyung Song1, Cheon Young Song2*, Ja Young Moon2, Wan Soon Kim1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130-743, Korea
2Department of Floricultur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wasung 445-893, Korea

송 은경1, 송 천영2*, 문 자영2, 김 완순1
1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2한국농수산대학 화훼학과
Corresponding Author : song@af.ac.kr
July 30, 2014 August 6, 2014 September 25, 2014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bulb production system of Lilium longiflorum F1 hybrid domestic cultivar ‘Charm’ for pot flower. The bulblet circumference of 8 cm from ranged 2 cm to 8 cm was proper to produce the MFB (marketable flowering bulbs above 15 cm circumference) showing 16.4 cm of bulb circumference. The planting distance ranged from 5 × 5 cm to 15 × 15 cm using 6 cm bulb circumference was no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bulb circumference and bulb weight from the 7.5 × 7.5 cm to the 15 × 15 cm, however the 7.5 × 7.5 cm was highest yield of MFB. The planting depth of bulblets was proper 3 ~ 5 cm showing higher sprouting rate, bigger bulb weight and circumference compared to others from the 1 cm to the 11 cm. The sprouting rate of bulblet in the unheated greenhouse was 90.5%, remarkably higher compared to 17.8% uncovered open field or 29.6% covered with straw. The sprouting rate of planting time from October 10th to November 10th by the 4 cm bulblet was above 90%, and the bulb size of planting at October 10th was 13 cm of bulb circumstance. The bulblet size 8 cm of Lilium longiflorum ‘Charm’ planted in October and harvested in September the following year, the bulb can be used for MFB.



초록


    서 언

    나리는 원예적으로 오리엔탈 나리(Lilium Oriental hybrids), 아시아틱 나리(Lilium Asiatic hybrids) 및 나팔나리(Lilium longiflorum Thunb.)로 구분된다. 국립종자원에 등록된 국 내에서 육성된 나리 품종은 2014년 현재 146종이지만 대 부분이 절화용 품종이고, 분화용 품종은 20종 내외에 불 과하다(MAFRA 2013). 분화용 나팔나리는 주로 일상 생 활과 종교 의식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sher and Lieth 1999). 2007년 국내에서 분화용 나팔나리 ‘Charm’이 Song(2008)에 의해 개발되었고, 초 세가 강건하고, 다화성이라서 시장성이 뛰어나지만 아직 까지 종구 생산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소비와 수출에 필요한 나리 구근 대부분을 네덜 란드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이 중 종구 구입비가 나리 생 산비의 55%를 차지하고 있어 생산농가에 부담을 주고 있 다(MAFRA 2013). 개화구를 양성하기 위한 나리 번식 방법은 종자로부터 형성된 자구, 주아, 인편 삽목, 그리 고 생장점의 기내 조직배양방법이 널리 이용된다(Van Aartrijk and Blom-Barnhoorn 1980; Matsuo and Van Tuyl 1986). 하지만 구근을 이용하여 영양번식을 지속할 경우, 종구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상품성이 떨어져 지속 적인 개화용 구근 생산이 곤란하다(Yoo et al. 2005). 따 라서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생장점 배양이나 종자를 이 용하는 효율적인 종구 생산 체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인편 삽목에 의한 구근 증 식 방법은 변형된 잎인 인편을 인경에서 분리, 삽목하여 자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여러 번식 방법 중 에서 간단하면서도 변이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같은 형 질의 자구를 얻을 수 있으며, 번식률도 높다. 나팔나리 ‘Georgia’의 인편번식은 분리된 인편을 삽목하여 20 ~ 25℃ 의 항온실에서 10 ~ 14주 저장하면 자구가 형성되고, 그 후에 17℃에서 4주 처리 후 5℃에서 4 ~ 6주 경과하면 휴 면이 타파된다(Yoo et al. 2005). 또한 나팔나리 ‘Georgia’ 의 소구를 3 ~ 6 cm 깊이로 식재하였을 경우 구근의 무게 가 가장 컸다(Choi et al. 1998)는 보고가 있다. 한편 이 러한 구근 증식을 위해서는 주로 상자재배 방법을 사용 하는데, 나리를 토양에 다년간 연작하면 선충, 뿌리응애 등 토양 전염성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고, 염류 집적 및 토양 pH가 높아지며, 철 결핍 등의 생리장해 발생 증가 로 인해 생산성 및 품질이 하락하기 때문이다(Chae 2008).

    본 연구는 종자로 생산된 분화용 나팔나리 ‘Charm’의 증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자구를 이용하여 개화용 구근 을 증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배양토

    나팔나리 구근은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하여 품종보 호등록(등록번호 2013-4362)된 ‘Charm’ 품종을 2010년 무가온 온실에 양구하여 2011년 수확한 후, 자구의 크 기 별로 구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토는 인공배양토(Sunshine #4, SunGro Co., Canada) 를 기본으로 살충제인 코니도(Imidaclaprid, Bayer Crop Science Co.) 입제를 20mg • L−1, 복합 비료 입제 인 오스모 코트(Scotts Co., 15 + 11 + 13 + 2MgO + TE)를 200mg • L−1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플라스틱상자는 네덜란드 산 구근 시판 보급용 상자 이며, 크기는 가로 60cm, 세로 40cm, 높이 23cm이다.

    자구 크기에 따른 구근 생육

    자구의 크기에 따른 구근의 생육을 알아보고자 구 둘 레가 2 ± 1cm, 4 ± 1cm, 6 ± 1cm, 8 ± 1cm의 자구들을 2011년 10월 10일에 한국농수산대학 무가온실에 식재하 였다(Fig. 1). 구근의 식재는 바닥 및 측면에 구멍이 나 있는 플라스틱상자에 배양토를 15cm 정도 채운 후 자 구를 7.5 × 7.5cm 간격으로 식재하고, 배양토를 5cm 정 도 복토하였다. 동절기인 11월 10일부터 2월 25일까지 는 구근이 심겨져 있는 플라스틱 상자를 plastic film(PE film, 두께 0.05mm)으로 덮고 군데군데 구멍을 내어 호 흡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실험 기간 무 가온 온실의 최 고 최저온도는 Fig. 1과 같다.

    자구 식재 간격에 따른 구근 생육

    개화용 구근 생산에 적합한 자구의 식재 간격을 알아보 고자 6 ± 1cm의 자구를 2011년 10월 10일에 한국농수산 대학 무가온 온실에서 식재 간격을 각각 5 × 5, 7.5 × 7.5, 10 × 10, 12.5 × 12.5, 15 × 15cm로 식재하였다. 자구의 식 재 용기 및 기타 관리 요령은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하 였다.

    자구 식재 깊이에 따른 구근 생육

    개화용 구근 생산에 알맞은 자구의 식재 깊이를 알아 보고자 4 ± 1cm의 자구를 2011년 10월 10일에 한국농수 산대학 무가온 온실에서 식재 간격은 7.5 × 7.5cm로 하 고 복토 높이를 1, 3, 5, 7, 9, 11cm로 식재하여 구근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자구의 식재 용기 및 기타 관리 방 법은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하였다.

    노지와 무가온 온실에서 자구 식재 시기에 따른 구근 생육

    개화용 구근 생산에 알맞은 자구의 식재 환경 및 시 기를 알아보고자 자구 둘레가 4±1cm 인 것을 2011년 10월 10일, 10월 27일, 11월 10일(가을)과 2012년 4월 10일(봄), 총 4회에 걸쳐 노지 포장과 무가온 온실에 식재 하였다. 무가온 식재는 위의 실험과 같은 식재 용기 및 방 식으로 하였다. 노지 토양 실험의 포장 넓이는 2.4 × 1.2m 이고, 토양의 pH는 6.6이었다.

    노지 식재 구근의 동절기 동해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plastic film(PE film, 두께 0.05mm)과 짚(두께 5 ± 1cm)을 10월 20일에 피복 처리하여 맹아율 및 구근의 생육을 조 사하였다.

    지상부 생육 조사

    모든 실험은 처리별로 10개체씩 3반복하여 30개체를 대 상으로 맹아율, 초장, 엽수를 조사하였다. 맹아율은 지상 부로 싹이 올라오는 개체를 실험 개체수로 나누어 100 을 곱하여 구하였고, 초장은 지제부로부터 식물체 상부 인 화경 상단까지의 길이로 나타내었으며, 엽수는 엽장 5cm 이상의 잎의 수를 조사하여 나타내었다.

    구근 생육 조사

    처리별로 10개체씩 3반복하여 30개체를 대상으로 지상 부가 고사한 후에 구근을 수확하여 수량과 구근의 무게 와 둘레, 자구 수를 조사하였다. 구근의 수량은 생존 및 분구 여부로 인해 달라진 개수를 세어서 구하였고, 무게 는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둘레는 줄자를 이 용하여 횡축의 둘레로 나타내었다. 자구 수는, 구근의 윗 부분인 땅속 줄기에 형성된 어린 구근의 개수를 세어서 구하였다. MFB(marketable flowering bulb)의 비율은 구 근크기가 15cm 이상으로 시장에서 판매 가능한 구의 수 량을 식재 수량에 나누어 구하였다.

    통계 분석

    통계 분석용 프로그램인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2,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ANOVA (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간의 유의성은 DMRT(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자구 크기에 따른 구근 생육

    자구 크기(둘레 2, 4, 6, 8cm)별 구근 생육을 조사한 결과, 맹아율은 자구 크기 6cm와 8cm가 100%, 4cm가 90.5%, 2cm가 51.2%로써 자구 크기가 작으면 맹아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초장 및 엽 수는 자구 크기 2cm에서 각각 13.9cm, 22.5개, 4cm에서 18.9cm, 27.4개, 6cm에서 27.9cm, 31.3개, 8cm에서 29.6cm, 34.6개로 자구 크기가 클수록 초장 및 엽수가 증 가하였다. 구근 크기에 따라 구의 수, 무게와 둘레 길이 는 2cm 구는 각각 1.5개, 7.5g, 9.2cm이었고, 8cm 구는 1.5개, 33.2g, 16.4cm로 크기가 큰 자구를 식재하면 구 의 수는 차이가 없지만 구근의 생장은 양호하였다. 즉, 지상부인 초장 및 엽수와 지하부인 구의 무게 및 둘레 는 자구 크기가 클수록 양호하였다. 수확한 구근 중에 개 화 구근(둘레 15cm 이상)의 비율은 자구의 크기 6cm 처 리에서 48.0%, 8cm는 62.5%로써 개화용 구근을 많이 형 성하기 위해서는 8cm 이상의 자구를 이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Table 1).

    한편 오리엔탈 절화 품종인 ‘Sorbone’의 구근 크기에 따 른 개화구(14 ~ 16cm) 생산은 6 ~ 9cm는 35%, 9 ~ 10cm 는 89%, 10 ~ 12cm는 99%를 나타냈으나, ‘Siberia’ 품종 은 각각 25%, 44%, 86%를 나타내어 품종에 따라 구근 크기가 달리 나타나지만 자구 크기가 클수록 개화구 생 산율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고, ‘Sorbone’의 경우 자 구가 9 ~ 10cm는 되어야 개화구 생산이 무난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KCRDA 2013). 본 실험에서의 나팔나리 의 자구가 클수록 개화구 생산율이 높게 나타낸 결과는 자구의 크기에 따라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고 구근비대가 양호했다는 다른 실험 결과와 일치한다(Matsuo 1972; Boonekamp 1997).

    자구 식재 간격에 따른 구근 생육

    자구 정식 간격별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장과 엽 수의 경우 재식 밀도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나 평균 맹아 율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Table 2). 식재 간격 10 × 10cm 이상에서는 재배 면적에 비하여 생산된 개화 용 구근의 수가 30개 이내로 적었고, 구의 둘레도 차이 가 없었다. 간격 5 × 5cm에서는 밀식으로 인하여 식물체 간의 통풍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병해 발생의 가능성 이 높아서 가장 바람직한 식재 간격은 7.5 × 7.5cm로 판 단되었다. 7.5 × 7.5cm의 간격으로 식재하면 맹아율이 96.3%로 높고, 분구 수는 1.5개로 적으면서 구근의 무게 와 둘레가 29.3g, 15.1cm인 충실한 구근을 수확할 수 있 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자구 비대에 식재 간격이 상 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맹아율은 자구의 생존율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적 정 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절화용 나팔나리 ‘Georgia’ 자구의 개화구 생산을 위한 정식 간격 실험에서, 10 × 10cm 이상의 식 재 간격은 단위 면적당 구근 생산 수가 적을 뿐만 아니 라 5 × 5cm와 7.5 × 7.5cm 처리에 비해 구근의 크기도 크지 않아 효과적이지 못하고, 7.5 × 7.5cm의 간격에서 생 장이 양호한 구근을 많이 수확할 수 있다는 결과(Yoo et al. 2005)와 일치한다.

    자구 식재 깊이에 따른 구근 생육

    무가온 온실에 구 둘레 4cm인 나리 자구를 깊이 1, 3, 5, 7, 9, 11cm로 구분하여 식재한 결과, 식재 깊이가 3cm 보다 얕으면 생산된 구의 둘레가 9.4cm, 구의 무 게는 6.7g로 나타났다(Table 3). 반면, 자구를 깊게 식재 하면 맹아율은 7cm에서 71.4%, 9cm에서 50.0%, 11cm 에서 28.6%로 현저하게 낮아졌고, 초장과 엽수도 감소하 였다. 한편 식재 깊이 3 ~ 5cm에서는 맹아율이 90% 이 상이며 분구 수는 1.5개이고, 구의 둘레는 11cm 이상으 로써 본래의 크기보다 3배 이상 증가하였다(Fig. 2).

    나리의 적정 식재 깊이는 계통과 품종에 따라 차이 가 있고, 나팔나리는 분구가 잘 안 된다고 알려져 있다 (Hertogh and Nard 1993). 하지만 나리 구근을 깊이 3cm를 기준으로 얕게 식재하면 저온 및 습도의 격변으 로 분구율이 증가하여 구의 크기가 작았다(Choi et al. 1998; Yoo et al. 2005). 한편 나팔나리 ‘Gelria’의 경우 에는 3 ~ 6cm 깊이(자구 높이의 1 ~ 2배)로 식재하였을 때 생산된 구근의 무게가 가장 무거웠다고 하였다(Choi et al. 1998). 본 실험에서 사용한 ‘Charm’의 자구 높이가 2cm임을 감안한다면, 2 ~ 4cm의 깊이가 적당하리라 예상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나리 구근을 깊이 3cm 보다 얕게 식재하면, 온도 및 습도의 변화로 분구율이 증 가하여 구의 크기와 무게가 크게 증가하지 못하였다. 따 라서 나팔나리 양구 깊이는 다른 실험의 경우와 같이(Choi et al. 1998; Yoo et al. 2005), 자구의 식재 깊이는 3 ~ 5cm가 개화 구근 형성에 가장 이상적이라 판단된다.

    노지와 무가온 온실에서 자구 식재 시기에 따른 구근 생육

    자구를 개화용 구근으로 비대시키기 위해서 노지와 무 가온 온실에 2011년 10월 10일에 식재하여 지상부가 고 사한 2012년 9월 10일까지 조사한 결과, 노지가 무가온 온실에 비해 구의 생존율이 낮아서 맹아율이 현저하게 낮 았다(Table 4). 노지에서 상자에 식재한 자구는 동절기에 모두 동사하였고, 포장에 식재한 자구는 맹아율 17.8%, 초장 7.9cm, 엽수 19.7개, 구 무게 9.7g, 구 둘레 9.2cm 이었다. 무가온 온실에서 상자에 식재한 자구는 맹아율 90.5%, 초장 18.9cm, 엽수 25.4개, 구 무게 22.1g, 구 둘레 13.6cm로써 노지보다 생육이 월등히 양호하였다. 노 지 식재에서 무피복의 맹아율은 0%, 비닐 피복의 맹아 율은 13.4%, 짚 피복의 맹아율은 29.6%로 나타났다 (Table 5). 동절기 노지에서는 나팔나리의 구근은 동사하 므로 피복이 필요하며, 비닐 피복보다 짚 피복의 효과가 다소 더 컸지만 짚 피복도 맹아율이 낮았기 때문에 자 구를 이용하여 개화용 구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가온 온실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재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구근의 생육에 있어서 가 을 식재 시기(10월 10일, 10월 27일, 11월 10일)에는 맹 아율이 90% 이상, 초장이 12cm 이상, 엽수가 20개 이 상, 구의 둘레가 11cm 이상이었고 10월 10일 식재는 구 둘레가 13cm이었고, 일찍 심을수록 구의 무게가 컸다. 이 듬해 4월 10일에는 맹아율 79.7%, 초장 8.5cm, 엽수 16.1개, 구 무게 11.2g, 구 둘레 8.9cm로써 지상부 및 구 근의 생육이 저조하였다(Table 6). 나팔나리의 구근은 일 반적으로 여름과 가을 사이에 수확하여 저온처리 후 다 시 식재하는데, 정식 시기가 늦어질수록 구의 생육이 억 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식재시기가 늦 어질수록 구의 무게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는 연구결과 와 일치한다(Yoo et al. 2004). 따라서 자구를 10월에 식 재하여 이듬해 9월에 굴취하면 충분한 구의 비대가 이 루어져 개화용 구근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오리엔탈 절화 백합의 개화구 형성은 4월 상순에 ‘Siberia’ 8 ~ 10cm구를 식재하면 구중 76.2g, 구주 18.5cm이었 고, 4월 중순은 구중 48.6g, 구주 15.3cm이었으나 4월 하순은 구중 41.2g, 구주 14.8cm로 나타난 것(KCRDA 2013)과 같이 본 실험에서도 자구 정식시기에 따라 개화 구 형성이 현저하게 차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오 리엔탈 절화 백합 구근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종인 ‘Reneve’ 의 경우 8월 15일 수확은 구중 43.9g, 구주 15.2cm이었으 나 9월 25일 수확은 구중 72.5g, 구주 19.3cm이었고, 중 생종인 ‘Sorbone’의 경우는 9월 28일 수확은 구중 50.3g, 구주 15.7cm이었으나 11월 15일 수확은 구중 85.0g, 구 주 19.7cm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구의 비대는 양 호한 것으로 나타났다(KCRDA 2013).

    결론적으로, 국내 육성종 분화용 나팔나리 ‘Charm’의 자구를 촉성 재배하여 둘레 15cm 이상인 개화용 구근 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둘레가 8cm인 자구를 가을철인 10월에 무가온 온실에서 간격 7.5 × 7.5cm, 깊이 5cm로 식재하여 이듬해 9월에 수확하면 된다(Fig. 3).

    초 록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일대 잡종 ‘Charm’의 자 구를 개화용 구근으로 비대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 의 크기, 식재 간격, 깊이 및 시기를 조사하였다. 자구의 크기가 2cm에서 8cm를 식재한 후 수확한 구는 8cm에서 구의 둘레가 16cm 이상이었고, 개화 구근(구 둘레 15cm 이상)의 비율이 62.5%로 가장 높았다. 구의 둘레가 6cm 인 자구를 간격 7.5 × 7.5cm 이상으로 식재하였을 때, 구 근의 둘레가 14.7 ~ 15.2cm이고, 무게는 28.2 ~ 30.8g이었으 며, MFB(marketable flowering bulb) 비율은 48.0 ~ 49.8% 로 유의 차이가 없었으나 구근의 생산 수량을 감안하면 7.5 × 7.5cm가 가장 이상적이다. 소구의 식재 깊이는 맹 아율과 분구율, 구의 둘레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깊이 3 ~ 5cm의 식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노지에서 상자에 식재 한 소구는 동절기에 모두 동사하였고, 포장에 식재한 소 구는 맹아율 17.8%이었으나 무가온 온실에서 상자에 식 재한 것은 90.5%이었다. 노지 식재에서 무피복의 맹아율 은 0%, 비닐 피복은 13.4%, 짚 피복은 29.6%로 나타 났다. 소구의 크기가 4cm를 10월 10일, 10월 27일과 11월 10일에 무가온 온실에 식재하였을 때 맹아율은 모 두 90% 이상이었으나, 일찍 심을수록 구의 무게가 커서 10월 10일 식재인 경우 구 둘레가 13cm가 되었다. 따라서 분화용 나팔나리는 구 둘레가 8cm 정도인 자구를 10월 초 에 간격 7.5 × 7.5cm, 깊이 5cm로 식재하여 이듬해 9월 에 굴취하면 충분히 구 비대가 되어 개화용 구근으로 이 용할 수 있다.

    추가 주요어:

    구 둘레, 개화구, 생산체계, 맹아율, 무가온 온실

    Figure

    FRJ-22-172_F1.gif

    The temperature of experiment duration (from 2011 to 2012) in unheated greenhouse.

    FRJ-22-172_F2.gif

    Effect of bulblet (size 4 cm) planting depth on growth of bulb in Lilium longiflorum ‘Charm’. Planting depth of A: 1 cm, B: 3 cm, C: 5 cm, D: 7 cm, E: 9 cm, and F: 11 cm.

    FRJ-22-172_F3.gif

    Effects of bulblet planting time (A), bulblet size (B), planting depth (C), and distance (D) on marketable flowering bulb circumference (15 cm) of Lilium longiflorum ‘Charm’.

    Table

    Effect of bulblet size on the growth and marketable flowering bulb (MFB) formation of Lilium longiflorum Charm in the unheated greenhousez.

    zPlanted at October 10, 2011, and data collected at September 10, 2012.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 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xFlowering bulbs above 15 cm in circumference.

    Effect of bulblet planting distance on marketable flowering bulb (MFB) formation of Lilium longiflorum ‘Charm’ in the unheated greenhousez.

    zBulblet size is 6 cm, planted at October 10, 2011, and data collected at September 10, 2012.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xNumber of flowering bulbs above 15 cm in circumference per square meter (bulbs/m2).

    Effect of bulblet planting depth on marketable flowering bulb (MFB) formation of Lilium longiflorum ‘Charm’ in the unheated greenhousez.

    zBulblet size is 4 cm, planted at October 10, 2011, and data collected at September 10, 2012.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xFlowering bulbs above 15 cm in circumference.

    Effect of different bulblet planting location on growth of bulb and plant of Lilium longiflorum ‘ Charm’z.

    zBulblet size is 4 cm, planted at October 10, 2011, and data collected at September 10, 2012.
    yPlanting box size, 60 40 23 cm.
    x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 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bulb and plant of Lilium longiflorum ‘Charm’ in the fieldz.

    zBulblet size is 4 cm, planted at October 10, 2011, and data collected at September 10, 2012.
    yPlastic film thickness: 0.05 mm, straw depth: 5 ± 1 cm.
    x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Effect of different bulblet planting location on growth of bulb and plant of Lilium longiflorum ‘Charm’z.

    zBulblet size is 4 cm, data collected at September 10, 2012.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 s new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Reference

    1. Boonekamp PM (1997) The role of external factors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flower bulbs and bulb-flowers an update since 1992 , Acta Hort, Vol.430; pp.35-43
    2. Chae SC (2008) Effect of planting density, growing medium and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lily in box culture , Flower Res J, Vol.16; pp.36-43
    3. Choi ST , Jung WY , Ahn HG , Chang YD (1998) Effects of duration of cold treatment ant planting depth on growth and flowering of Lilium spp , J Korea Soc Hort Sci, Vol.39; pp.765-770
    4. Fisher PR , Heinrich LJ (1999) Variability in flower development of Easter lily (Lilium longiflorum Thunb): model and decisionsupport system ,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26; pp.53-64
    5. Hertogh AAD , Nard M (1993) The physiology of flower bulbs, Elsevier,
    6. Matsuo E (1972) Studies on the Easter Lily (Lilium longiflorum Thunb.) of Senkaku Retto (Pinnacle Islands). I. Comparativestudy on growth response of scale bulblets in ‘Senkaku’,‘Hinomoto’, and ‘Munakata’ , J Japan Soc Hort, Vol.41; pp.383-392
    7. Matsuo E , Van Tuyl JM (1986) Early scale propagation result in forcible bulbs of Easter lily HortScienc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3) Annual report of floriculture in 2012 , MAFRA Gwacheon Korea, Vol.21; pp.1006-1007
    8. Song CY (2008) Lilium longiflorum ‘Charm’ as a F1 hybrid for pot plant , Flower Res. J, Vol.16; pp.304-308
    9. (2013) The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ilium, Korea (KCRDL) , Research about production system of lily bulb. MAFRA Gwacheon Korea, pp.216-313
    10. Van Aartrijk J , Blom-Barnhoorn GJ (1980) Effects of sucrose, mineral salts, and some organic substances on the adventitious regeneration in vitro of plantlets from bulb-scale tissue of Lilium speciosum ‘Rubrum’ , Acta Hort, Vol.109; pp.297-302
    11. Yoo YG , Kang SW , Song WY (2004)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planting time on dormancy breaking and growth of bulblet in Lilium longiflorum ‘Georgia’ regenerated in vitro ,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Vol.7; pp.70-75
    12. Yoo YG , Kang SW , Kim HS , Song WY , Lee SH , Park MW , Noh YS , Kim H , Kim HS (2005) The development of acclimatization condition in bulblet of Lilium longiflorum ‘Georgia’ regenerated in vitro , Mokpo National University,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