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3 pp.149-154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3.2

Cut Flower Productivity of New Bred Spray Roses as Affected by Apical Flower Bud Thinning Time and Seedling Type
국내 육성 스프레이 장미의 정아 적뢰시기와 묘종에 따른 절화 생산성

Dong-Chun Cheong*, Chang-Hak Choi, Young-Ju Song, Jeong-Man Kim, Jin-Jae Lee, Jong-Sung Jeong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ksan 570-704, Korea

정 동춘*, 최 창학, 송 영주, 김 정만, 이 진재, 정 종성
전라북도농업기술원
Corresponding Author : Dong-Chun Cheong Tel: +82-63-290-6000 solano@korea.kr
May 8, 2014 July 20, 2014 August 14, 2014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ical flower bud thinning time (flower bud diameter 3, 5, and 7 mm), and seedling type (rooted cutting or grafted plant onto Rosa multiflora cv ‘Hort. No. 1’) on the cut-flower quality and productivity to promote export potential and also extensively diffuse domestic bred spray rose cultivars. As a result of apical flower bud thining, the differentiated floret number on a stem was improved in ‘Magic Scarlet’ and ‘Yellow King’, as an apical flower bud was thinned after growing 5 ~ 7 mm (flower bud diameter). However ‘Morning Shine’ and ‘Little Su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As consequence of investigating cut flower quality and yield according to seedling type, in all cultivars (‘Magic Scarlet’, ‘Pinky’, ‘Lovely Pink’, and ‘Little Sun’) flower stem length was observed higher in plants propagated by cutting than in grafted plants. However, flower stem diameter, spike length and diameter, node number, and 7 leaflet number were higher in grafted plants than in those propagated by cuttings. The total flowering stem on a plant number of florets on a stem petal number, and exportable stems were superior in grafted plant onto rootstock compared with plants propagated through cuttings.



초록


    서 언

    국내 장미 재배면적은 377ha로 국화에 이어 두 번째 에 위치하고 있으나, 생산액은 781억원으로 절화류 중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MIFAFF 2013). 수출액은 최근 세계 경기불황과 주 수출국인 일본의 경제사정으로 인해 주춤하고 있으나,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3.5억원에서 2012년 306억원으로 87배 상승하였다 (KITA 2013; Kwon et al. 2013). 장미 수출은 전체 물량 의 95% 이상이 일본에 수출되고 있으며, 일부 스텐다드 품종을 제외하면 대부분 스프레이 품종 위주로 이루어지 고 있다. 국내 생산액이 높고 수출 물량 확대에도 불구 하고 많은 장미 재배농가들은 외국 도입품종 재배에 따 른 로열티 부담과 농자재 비용 상승으로 실질적인 소득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막대한 로열 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농촌진흥청, 각 도 농업기술원, 민 간 육종가 및 종묘생산업체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국산 신품종 개발, 규격 종묘 생산 및 보급에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였으나, 품종별 상품성 향상 기술개발은 다 소 미진한 실정이다.

    1990년도에 국내 도입된 장미 양액재배의 경우 건전한 종묘 생산, 특히 접목묘 생산, 대목 종류와 굵기(Chung 1994; Han et al. 1993, 1996, 1998), 절화 생산성 향상 을 위한 양액공급 조절, 근권 온도, 보광, 수확방법과 신 초 발생률 향상 기술(An et al. 2001, 2002; Bredmore 1997; Han et al. 2001; Kim and Lieth 2012; Kim et al. 2002; Kwon et al. 2007; Lee et al. 2003; Lee et al. 2004a, 2004b) 등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대부분 외국 도입품종이나 스텐다드 품종 위주로 이루어 져 스프레이 장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지금 까지 연구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처리에 따른 품종별 생 육반응, 절화품질 및 생산량 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An et al. 2002; Yang et al. 2003).

    장미는 꽃 형태에 따라 Hybrid Tea(HT), floribunda (F) 및 Spray(SP)로 구분하는데, HT는 대표적인 절화장 미로 대형화, F는 스텐다드로 중형이며 수량성이 HT보 다 2배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RDA 2001). 스텐다드 는 한 줄기에 꽃 하나만 피우는 반면, 스프레이는 줄기 하나에 여러 개 꽃이 달리는 것으로 소화가 4개 이상 분 화된 절화가 수출 상품으로 분류되며, 특히나 본당 소화 수가 많을수록 상품 가치가 높아진다. 스프레이 장미의 정아를 제거(적뢰)하고 2차 측지를 조기에 정리함으로서 무적뢰보다 상품성이 17.6% 향상되었다는 보고(Go et al. 2002)와 같이 정아를 제거하고 1차 측아들이 균일하게 개 화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정 아를 어느 정도 생육단계에서 제거하는 것이 소화수 향 상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 한 국산 스프레이 장미 중 소비자 기호도는 매우 높지 만, 절화 품질과 절화 생산성이 낮아 농가 보급이 부진 한 품종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 내 육성 스프레이 장미의 농가 보급 확대와 수출 절화 상품성 향상을 위한 적정 정아 적뢰시기 및 삽목묘와 접 목묘 즉 묘종에 따른 품종별 절화 품질 및 생산성 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스프레이 장미 정아 적뢰시기에 따른 절화 생산성

    정아 적뢰시기가 국산 스프레이 장미의 절화품질과 상 품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농업기 술원 화훼자원연구소(현재,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유 리온실에서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 동안 시험을 수 행하였다. 시험품종은 ‘Magic Scarlet’, ‘Yellow King’, ‘Morning Shine’, ‘Little Sun’의 삽목묘를 이용하였고 (Table 1), 적뢰는 농가 관행(정아의 화색이 보이거나 개 화가 시작되면 적뢰 실시)을 대조구로 정아 직경이 3, 5, 7mm 생장하였을 때 실시하였다. 배지는 암면 슬라브 (Grodan 암면, 75 × 150 × 1000mm)를 이용하여 2009년 5월 10일 슬라브 당 6주씩 2열로 정식하여 아칭 재배하였다. 배 양액은 일사량에 따라 하루에 식물체 주당 280 ~ 600mL 배액식으로 공급하였고, 이 때 급액 pH는 5.5 ~ 6.0, EC 는 1.5mS • m−1이었다. 기타 관리방법은 표준 장미재배법 에 준하였다(RDA 2001). 적뢰시기에 따른 품종별 특성 은 절화장, 소화수 등 절화품질과 수출 가능한 절화 상 품율을 조사하였고, 수출 가능한 절화 상품율은 절화장 에 상관없이 처리별로 수확한 전체 절화 중 본당 소화 수가 4개 이상의 절화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스프레이 장미 묘종에 따른 절화품질 및 생산성

    국내 육성 스프레이 장미 중 수출 경쟁력은 높으나, 신 초 분얼력이 약하고 본당 소화수가 적어 절화 생산성이 낮거나 절화장이 짧아 농가 보급이 부진한 품종을 대상 으로 접목묘와 삽목묘, 묘종에 따른 품종별 절화품질 및 수출 상품 생산성을 검토하고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화 훼자원연구소(현재,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 유리 온 실에서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시험을 수행하 였다. 시험품종은 ‘Little Sun’, ‘Pinky’, ‘Magic Scarlet’, 및 ‘Lovely Pink’을 공시하였고(Table 1), 삽목묘는 암면 큐브(75 × 75mm)에 품종별로 직접 삽목하여 이용하였으 며, 접목묘는 찔레 ‘원예 1호’(Rosa multiflora cv ‘Hort. No 1’)를 대목으로 2009년 가을에 경북 경산에서 아접 을 실시하여 이용하였다. 배지는 암면 슬라브(UR암면, 100 × 150 × 1,000mm)를 이용하여 슬라브 당 6주씩 2열 로 2010년 5월 25일 정식, 8월 5일 최종 절곡하여 아칭 재배하였다. 배양액은 일사량에 따라 하루에 식물체 주 당 280 ~ 600mL 배액식으로 공급하였고, 이 때 급액 pH 는 5.5 ~ 6.0, EC는 1.5mS • m−1이었으며, 기타 관리방법 은 표준 장미재배법에 준하였다(RDA 2001). 품종별 묘 종에 따른 절화장, 소화수 등 절화품질은 3작기(2010년 9월, 11월, 2011년 5월) 평균으로 표시하였으며, 주당 발 생 신초수, 상품수량 및 수출 상품수량 등은 3작기 합 으로 표시하였다. 상품수량은 소화가 본당 2개 이상, 수 출 상품수량은 본당 4개 이상인 절화수로 나타냈으며, 주 당 수확 본 수에 대한 상품 수량과 수출 상품수량을 각 각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스프레이 장미 정아 적뢰시기에 따른 절화 생

    스프레이 장미 수출을 위한 절화 상품은 ‘절화장이 크 고 소화수가 많아야’ 하는데(Park and Park 2006), 특히 소화수는 본당 4개 이상 분화되어야만 수출 가능한 절 화로 평가를 받게 된다. 그래서 국산 스프레이 장미 소 화수 향상을 위해 정아 적뢰시기를 달리하여 품종별 절 화특성과 수출 상품율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2과 같다. 절화장, 꽃목 길이와 굵기는 시험품종 모두 적뢰시기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Magic Scarlet’ 품종의 경우 지제부 상 단 10cm에서 측정한 줄기 굵기는 정아 직경이 5mm와 7mm에서 적뢰하였을 때 다른 시기보다 굵었다. 소화수, 생 체중 및 수출 상품율은 ‘Magic Scarlet’과 ‘Yellow King’ 은 정아 제거시기 5mm와 7mm 때 처리한 구에서 우수 하였고, 나머지 품종은 적뢰시기별로 차이가 없었다. 본 시 험은 스프레이 장미 양액재배시 정아 무적뢰보다 적뢰함 으로서 상품수량이 증가하였다는 이전의 보고(Go et al. 2002)와 정아를 제거함으로서 정아 우세성이 타파되어 하 위 마디에서 화아 분화를 유도하여 소화수가 증가되어 수 출 가능한 절화수량이 많아질 것으로 추측하였으나, 이 상의 결과와 같이 정아 제거시기에 따른 절화장과 소화 수가 부분적으로 향상되는 품종이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정아 제거시기에 따른 소화수 향상 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스프레이 장미가 정아와 거의 동시 에 액아들이 분화되기 때문에 정아 제거에 의한 정아 우 세성 타파(호르몬 변화)가 액아를 추가로 발생시키는 효 과는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장미의 신초 발생과 화아 분화 유도는 일사량과 온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 에 소화수 증진을 위해서는 품종 고유 특성에 맞는 재 배환경과 양액공급을 적절하게 조절 관리하는 것이 더 효 율적이라고 판단된다(Cheong et al. 2012; Kim et al. 2002; Kim and Lieth 2012).

    스프레이 장미 묘종에 따른 절화품질 및 생산성

    국산 스프레이 장미 묘종에 따른 품종별 절화특성을 조 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묘종별 절화장은 ‘Little Sun’과 ‘Lovely Pink’의 경우 삽목묘가 접목묘보다 3 ~ 6cm 더 길었으나, 나머지 두 품종은 차이가 없었다. 줄기 굵기는 시험품종 모두 삽목묘보다 접목묘가 약간 더 굵었으나, ‘Little Sun’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꽃목 길이는 ‘Pinky’와 ‘Lovely Pink’ 는 삽목묘가 더 길었고, 꽃목 굵기는 접목묘가 더 굵은 ‘Little Sun’을 제외하고 다른 품종들은 묘종별로 차이가 없었다. 마디수는 시험품종 모두 접목묘가 삽목묘보다 본 당 0.4개에서 1.5개 더 많았고, 생장활성의 지표가 되는 7매 소엽 역시 접목묘가 0.6개에서 많은 품종은 1.9개 더 많아 접목묘에서 생장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묘 종에 따른 품종별 소화특성과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묘종별 소화수는 모든 시험품종에서 삽 목묘보다 접목묘가 본당 0.6 ~ 1개 더 많았다. 소화폭은 ‘Little Sun’과 ‘Pinky’에서 삽목묘가 2 ~ 3.8mm 더 넓은 반면, 꽃잎수의 경우 ‘Little Sun’에서 접목묘가 더 많았 고 다른 시험품종은 묘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주당 신초 수는 ‘Pinky’와 ‘Magic Scarlet’에서 접목묘가 삽목묘보 다 각각 1.7개, 0.9개 더 많았고, 수출 가능한 상품 본 수도 모든 시험품종에서 접목묘가 더 많았으며, 특히 ‘Little Sun’, ‘Pinky’ 및 ‘Magic Scarlet’은 0.8 ~ 1.5개 더 많이 생산되었다. ‘Pinky’와 ‘Little Sun’ 삽목묘의 경 우 정식 후 생육이 진전되어도 암면 큐브가 움직일 정 도로 뿌리활착이 불량하여 basal shoot 발생이 미약하고 절화 생산성이 떨어졌으나, 지제부 근경 발달과 뿌리활 착이 우수한 찔레 ‘원예1호’ 대목을 아접묘로 이용하였 을 때 절화수량이 증가하였다. ‘Maroussia’ 등 스텐다드 품종을 Rosa canina ‘Inermis’에 접목한 묘와 삽목묘의 생육 및 절화품질을 비교하였을 때, 생체중, 줄기굵기, 소 화크기, 꽃잎수 및 엽록소 함량 등 품질이 삽목묘보다 접 목묘에서 우수하였고, 절화장은 유의성은 없으나 삽목묘 에서 더 컸다는 보고(Nazaril et al. 2009)와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 장미 뿐만 아니라 참박에 수박을 접목한 묘가 무접목 묘보다 줄기가 굵어졌고, 노지 단호박에서 접목재 배가 실생묘보다 생육이 우수하고 수량이 증수하였다는 보 고가 있다(Chung and Choi 2002; Park et al. 2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Little Sun’, ‘Pinky’ 및 ‘Magic Scarlet’ 삽목묘보다 찔레 ‘원예 1호’를 대목으로 아접을 실시한 접목묘를 활용하여 양액재배하는 것이 수 출 상품성 향상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장미 재배 에 이용되는 종묘는 품종과 재배양식에 따라 다르다. 토 양재배는 접목묘가 주로 이용되고 있고, 암면, 코이어 등 고형배지를 이용한 양액재배에서는 대부분 삽목묘가 이 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접목묘나 접삽묘 활용이 증 가되는 추세이다. 찔레 대목을 이용한 규격묘 생산, 병 저항성 계통 선발, 대목 굵기와 대목 종류 및 접삽묘 생 산(Han et al. 1993, 1996, 1998; Oh et al. 2002; Park and Jeong 2010)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토경재배에서 장미 품종에 따른 대목별 접목친화성, 절화 수량 및 품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Kwon et al. 2005), 최근 유럽, 중남미 등지에서 활용되고 있는 나탈브 라이어(Rosa × spp. Natal Briar), 오도라타(Rosa × odorata) 대목에 대한 연구도 금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 었다.

    초 록

    국내 육성 스프레이 장미의 수출 상품성 향상과 농가 보급 확대를 위하여 정아 제거시기(정아 직경, 3, 5, 7mm) 및 묘종(접목묘와 삽목묘)에 따른 절화품질과 생 산성을 조사한 결과, 적뢰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장미의 본당 분화된 소화수와 수출 상품률은 ‘매직스칼렛’과 ‘옐 로킹’의 경우 정아 직경이 5mm와 7mm시에 적뢰 처리 구에서 우수하였으나, ‘모닝샤인’과 ‘리틀썬’은 적뢰시기 간 차이가 없었다. 묘종에 따른 품종별 절화장은 ‘매직 스칼렛’, ‘핑키’, ‘러블리핑크’ 및 ‘리틀썬’ 모두 삽목묘가 접목묘보다 길었고, 줄기 굵기, 꽃목 길이와 굵기, 마디 수 및 7매 소엽수는 접목묘가 삽목묘다 더 우수하였다. 본당 소화수, 꽃잎수, 주당 발생 줄기수 및 수출 가능한 상품 줄기수 역시 시험품종 모두 삽목묘보다 접목묘가 우 수하였다.

    추가 주요어:

    수출 상품수량, 접목, 찔레, 삽목묘, 대목

    Figure

    Table

    Overview of cultivars used in this experiment.

    z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yFlower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ut flower quality and exporting yield as affected by apical bud thinning time in domestic bred spray rose cultivars.

    zPercentage of exporting stem (differentiating over four floret) number to total differentiated stem.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Cut flower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seedling type, grafted (stenting) plant and rooted cutting in domestic bred spray rose cultivars.

    zGrafting stock used Rosa multiflora (= wild baby rose) cv Hort. No. 1 .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Floret characteristics and yield as affected by seedling type, grafted (stenting) plant and rooted cutting in domestic bred spray rose cultivars.

    zStem numbers differentiated over two or four floret per stem, respectively.
    yStem numbers differentiated over two or four floret per stem, respectively.
    xGrafting stock used Rosa multiflora (= wild baby rose) cv Hort. No. 1 .
    wPercentage of exporting or marketable stem number to total differentiated stem, respectively.
    vPercentage of exporting or marketable stem number to total differentiated stem, respectively.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
    *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
    *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or 0.01, respectively.

    Reference

    1. An DC , Jin YD , Hwang JC , Kim JG , Jeong BR (2001)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mount during sprouting period on rose shooting in hydroponic cultur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19; pp.85(Abstr)
    2. An DC , Jin YD , Hwang JC , Kim JG , Jeong YM , Jeong BR (2002) Effect of NO3-: NH4+ ratio in hydroponic solution on yield and quality of cut rose cultivars , J Korean Soc Hort Sci, Vol.43; pp.617-622
    3. Bredmore N (1997) Chronology of three physiological development phases of single-stemmed rose (Rosa hybrida) plants in response to increment in light quantum integral , Sci Hort, Vol.69; pp.107-115
    4. Cheong DC , Choi CH , Lim HC , Song YJ , Kim JM , Lee JJ (2012) Cut flower productivity of new bred spray rose cultivars as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trol of cultivation facilities in Korea , Flower Res J, Vol.20; pp.187-192
    5. Chung SK (1994) Studies on simple installation, cutting propagation and seed root-zone warming for rockwool cultivation in cut roses (Rosa hybrida) , PhD Thesis Wonkwang Univ Iksan,
    6. Chung HD , Choi YJ (2002) Effect of grafting, BA and Fulmet on setting, growth and cracking of small watermelon fruits in field cultur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0; pp.56
    7. Go JY , Han YY , Chung SW (2002) Effect of floret thinning methods on yields and quality of spray roses in nutricultur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0; pp.140
    8. Han YY , Sim YG , Choi KB , Choi BS , Yu SN (2001) Effects of harvesting height on yield and quality of cut roses in rockwool culture , J Korean Soc Hort Sci, Vol.42; pp.95-98
    9. Han YY , Kwak BH , Chung SK (1993) Effect of different rootstock on the yield and quality of cutflower roses (Rosa hybrida) , J Korean Soc Hort Sci, Vol.11; pp.284-285
    10. Han YY , Sim YG , Song IK , Yoon JT , Choi BS (1996) Influence of rootstock diameter on yield and quality of cut flower in rose (Rosa hybrida) , J Korean Soc Hort Sci, Vol.37; pp.99-105
    11. Han YY , Woo JH , Sim YG , Choi KB , Choi BS (1998) Studies on the plug seedling of rose rootstock (Rosa multiflora ‘Hort. No. 1 ) , Korean J Hort Sci Tech, Vol.16; pp.133
    12. Kim WS , Kim HJ , Jo SJ , No MY (2002) Estimating nutrient solution absorption in cut roses (Rosa hybrida)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 Korean Res Soc Protected Hort, Vol.14; pp.5-9
    13. Kim WS , Lieth JH (2012) Simulation of year-round plant growth and nutrient uptake in Rosa hybrid over flowering cycles , Hort Environ Biotechnol, Vol.53; pp.193-203
    14. Kwon JK , Cho MW , Choi YH , Choi GH (2007) Effects of different supplementary lighting lamps on growth and quality of cut rose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5; pp.98-0
    15. Kwon MK , Han YY , Ko JY (2005) Effect of rootstocks on yield and quality of cut rose in soil cultur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3; pp.106
    16. Kwon OH , Kim WH , Lee EK , Kim ST , Lee SY , Kim WS (2013) Effect of SO2 on grey mould (Botrytis cinerea) in cut rose , Flower Res J, Vol.21; pp.190-194
    17. Lee HJ , Lee YB , Bae JH (2004a) Effects of root zone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single-stemmed rose in cut rose production factory , J of Bio-Environment Control , Vol.13; pp.266-270
    18. Lee HJ , Oh JS , Lee YB (2003)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single-stemmed rose in winter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1; pp.89
    19. Lee HJ , Yang EY , Park KS , Lee YB , Bae JH , Jeon KS (2004b) Effects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single-stemmed rose in cut rose production factory , J of Bio-Environment Control , Vol.13; pp.258-265
    2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3) The present condition of cultivation of flower in 2012 , MIFAFF. Gwacheon Korea,
    21. Nazaril F , Morteza KK , Hassan S (2009) Growth and flower quality of rosa hybrida cultivars in response to propagation by stenting or cutting in soiless culture , Sci Hort, Vol.119; pp.302-305
    22. Oh YN , Lee KS , Kim WH , Yoo BS , Lee EK , Huh KY , Lee DW , Kim JY (2002) Newly bred rosa multiflora ‘Sunkangchile’ with resistance to sou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ia Chitwood) , Korean J Hort Technol, Vol.20; pp.122-0
    23. Park DK , Na C , Lee WM , Lee HJ , Yang EY , Choi HS , Chae WB , Jang YA , Huh YC , Yoon MK (2013) Screening of rootstocks appropriate for stable production of squash (Cucurita maxima Duch)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1; pp.63
    24. Park KW , Park HT (2006) A competitiveness and promotion subjects of Korean roses in Japanese flower markets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Policy, Vol.33; pp.495-518
    25. Park YG , Jeong BR (2010) Effects of topophysis and uniting method of rootstock and scion on r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stenting-propagated (cutting-grafted) rose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8; pp.456-461
    26. (200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 Standard cultivation textbook for rose,
    27.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2013) Trade statistics of korea , (http://www.kita.net/statistic),
    28. Yang EY , Park KS , Yeo KW , Lee YB (2003)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on different cultivar of ros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1; pp.89(Abstr)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