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1 pp.7-11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1.2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Limonium sinuatum by Chilling Treatment for Summer Cultivation in Sub-Alpine Region
일년생 스타티스 준고냉지 여름재배의 묘 저온처리에 따른 생육 및 개화

Chang Hak Choi*, Young Ju Song, Dong Chun Cheong, Hoi Chun Lim, Jin Jae Lee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ksan 570-704, Korea

최 창학*, 송 영주, 정 동춘, 임 회춘, 이 진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Corresponding Author : Chang Hak Choi Tel: +82-63-290-6077 chang7131@korea.kr
January 5, 2013 February 14, 2014 March 2, 2014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Limonium sinuatum Mill. ‘Deep Blue’ by chilling treatment at sub-alpine region during summer cultivation. The seedling quality was not different, regardless of the low-temperature processing on plant height, plant length and plant width, but the more number of leaves were recorded as the sowing time was delayed. The mortality ratio of seedling was highest with 16.5 percent in 40 days chilling treatment at 2°C with dark condition. The growth at 70 days after transplanting had no effect on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and regardless of the chilling treatment, but twice the number of leaves in nonchilling treatment. The flowering time in 30 days and 40 days chilling storage were earlier about twenty days than control. The quality of cut-flow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except for 40 days in chilling storage. Cut-flower yield was highest in the 30 days chilling treatment in 6,339 bundles per 1,000 m2, and in July 3,135 bundles the initial quantity of about 50 percent.



초록


    서 언

    일년생 스타티스(Limonium sinuate)가 우리나라에 절 화 재배를 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70년대로 추정되고 있으며, 1980년대 후반 절화 소비가 증가하면서 스타티 스류가 주목을 받게 되었고, 1990년 이후에는 종간잡종 계열의 품종인 ‘오션블루’, ‘환타지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12년 재배면적은 10.2ha, 생산량은 209만본이 며, 생산액은 9.4억원이다(MIFAFF, 2013). 주요 재배지 역은 전북, 충남, 경남, 경북, 전남이며 재배면적은 2004 년까지 50ha 이상 유지되었으나 2005년부터 감소하는 추 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스타티스가 안개초와 같이 용도가 주로 배경화로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 이다. 최근 새로운 화종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어 소비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스타티스의 새로운 소비 확대를 위한 신품종 도입과 주년 안정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일년생 스타티스 (Limonium sinuatum Mill.)는 내한성이 강하며, 보통재배 에서는 가을에 잎이 지표면에 깔린 상태로 전개하여 겨 울의 저온을 경과한 후 이듬해 2월경 추대하고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신장하여 5~6월경 개화하는 생육상을 가 지고 있다. 이러한 추대 및 개화 즉 화아분화에는 반드 시 생육 중 일정기간의 저온이 요구되며 만일 저온감응 이 불충분할 경우 잎은 로젯트상으로 영양생장만을 계 속하게 된다. 춘화처리는 종자 춘화형과 녹색식물 춘화 형의 두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며 종자 또는 묘의 저온 처리에 의해 추대 및 개화가 촉진된다(Azuma et al. 1983a; Fujita 1993). 여름철 재배 시 가장 큰 문제는 고온에 따른 이춘화로 화경 추대가 불량하여 절화 생산 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일년생 스타티스는 춘화에 필요 한 저온요구량이 종과 품종에 따라 다르고, 춘화된 식 물도 환경조건에 따라 이춘화가 되기 쉬운 특징이 있다. 스타티스 최아종자를 2 ~ 3℃에서 30일간 저온처리하면 추대가 현저하게 빨라 조기개화가 가능하지만 종자 저 온처리에 의한 화아 형성 촉진효과는 30℃ 고온에서 이 춘화 하는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Azuma et al. 1983a). 준고냉지에서 재배되는 스타티스는 종간잡종인 ‘오션블 루’가 대부분이지만 최근 전북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시 넨시스 계열의 ‘옐로크림’, ‘핑키크림’ 등은 준고냉지에 서 여름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스타티스의 여름 철 소비자 구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색을 지 닌 일년생 스타티스의 재배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 러나 일년생 스타티스는 고온 조우에 따른 이춘화로 여 름철에 절화 가치가 높은 진보라 계열의 품종을 재배하 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인기가 많은 ‘Deep Blue’ 는 저온 처리가 부족하면 로젯트 상태로 영양생장을 계 속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년생 스타티 스를 준고냉지에서 여름철에 안정적으로 절화를 생산 하기 위해 묘 저온처리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는 일년생 스타티스(Limonium sinuatum Mill.) ‘Deep Blue’를 사용하였고, 남원 운봉에 소재한 전북 농업기술원 약용자원연구소 허브시험장(화훼자원연구소 <구>, 해발 500m)의 단동형 폴리에틸렌 비가림 하우스 포장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육묘는 유리온실에서 파종 상 온도를 야간 최저 20℃로 하였고, 128공 플러그에 종자를 파종하여 30일 후에 지름 10cm의 비닐 폿트로 이식하였으며, 20일간의 육묘기를 거쳐 50일 묘로 육 성하였다. 파종시기는 저온처리기간과 육묘기간을 역산 하여 2월 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하였으며, 무처리는 3월 20일에 파종하였다. 저온처리는 2 ± 1℃에서 암 상 태로 20일, 30일, 40일간 수행하였으며, 저장 중 수분 관리는 15일 마다 저장고 밖에서 관수하여 3시간 후 다 시 저온처리를 지속하였다. 저온처리가 끝난 묘는 저 온저장고에서 그늘진 곳으로 옮겨 2일간 순화하여 정 식하였으며,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정식 시 재식거리를 40 × 30cm로 하여 처리구 당 20주 씩 5월 10일에 정식하였다. 정식 시 이랑과 고랑은 각 각 90cm, 60cm폭으로 하였으며, 기비는 성분량으로 10a 당 N-P2O5-K2O-퇴비 = 20-20-25-3000kg 시용하였다. 관 수시설은 점적호스를 2줄로 설치하여 주당 1홀씩 배치 하였고, 관수량은 포장 수분 정도에 따라 적정량을 급 수하였다. 정식 후 약 10일간 활착이 될 때까지 충분 히 관수하였고, 일반관리는 일년생 스타티스 표준재배법 에 준하였다. 생육 및 절화품질은 농촌진흥청 표준조사 기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하우스 내 온도는 온도측정기 (TR 71S)를 이용하여 생육 전반기인 5~6월의 기온을 조 사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일년생 스타티스의 종자를 파종한 후 50일간 육성된 묘는 저온 처리기간을 역산한 파종시기 조만에 관계없 이 초장, 엽장, 엽폭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 수는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저온 처리 40일의 경우 8.2매로 무처리 3월 20일의 14.2매보 다 6장이 적었는데 이는 파종시기가 2월 10일의 동절 기로서 육묘 환경이 다소 불리했던 원인으로 판단된다 (Table 1). 저온저장 후의 묘 소질은 저장 전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저장고 내부의 낮은 온 도와 암상태로 인하여 생장이 거의 없었던 결과로 보 인다. 그러나 40일 저온처리 경우 장기 저장에 의해 묘 손실률이 16.5%로 높아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였다 (Fig. 1).

    묘를 5월 10일에 정식한 후 70일후에 생육을 조사한 결과(Table 2), 저온 처리기간에 관계없이 초장, 엽장, 엽 폭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indsay et al.(1996) 은 저온을 충분히 받은 식물체에서 발생한 신초는 생육 이 왕성할 뿐만 아니라 생식생장으로의 전환도 빨라 형 태적인 로젯트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무처리 의 경우 엽수가 주당 152.1매로 다른 저온처리구 묘의 71~77매 보다 2배 정도 많았으며, 영양생장이 지속되는 경향이었다(Fig. 2). 저온처리는 화훼의 개화조절 방법으 로 널리 이용되어 왔는데, 많은 종류의 스타티스와 숙 근성 화훼류는 종자나 묘에 저온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생육과 개화를 촉진시키고 있으며(Huh et al. 1997; Yoo et al. 1994), 절화수량도 증가시킨다(Choi et al. 2002; Hwang et al. 2003). Suh et al.(1983)에 의하면 저온처 리에 의한 효과는 식물체내 ABA와 GA의 활성에 변화 가 있으며, GA처리는 화경신장 및 조기개화 유도가 가 능하다고 하였다. 또한 추대에는 일정기간의 저온이 반 드시 필요하며 저온감응이 불충분하면 로젯트 상태로 영 양생장을 계속한다(Azuma et al. 1983b; Fujita 1993). 본 실험에서는 저온처리기간이 20일 이상에서는 저온 감 응 효과가 있었다. 개화기는 묘 저온저장 30일과 40일 이 공히 7월 14일로 정식 후 약 60일 정도 소요되었 고, 20일 저장은 66일이었으며, 무처리는 개화기가 8월 5일로 80일 가량으로 가장 오래 소요되었다. 30일 저장 묘의 개화기는 무처리에 비해 약 20일을 앞당겨 졌는 데, Hwang et al.(2003)이 안개초 발근묘의 경우 3℃에 서 4주간 묘를 냉장하면 개화기가 8~13일 정도 앞당겨 졌다고 한 것과 같은 경향이었다. 절화품질은 Table 3 에서 보면 절화장은 처리에 관계없이 약 60cm 정도였 고, 화수폭은 약 19cm 전후였다. 분지수와 경경은 무처 리가 다소 양호하였으나, 저장기간이 가장 긴 40일처리 에서는 감소하였다. 절화중은 본당 44g 정도였고, 꽃 의 관상 가치를 높여주는 화관수는 본당 35개로 비슷 하였다. 일년생 스타티스의 여름재배시 가장 큰 문제는 탈춘화로 인한 화경추대와 절화생산의 불안정인데, 일 년생 스타티스는 춘화에 필요한 저온요구량은 종과 품 종에 따라 다르고, 춘화된 식물의 탈춘화도 발생한다고 하였다. Doi et al.(1991a)에 따르면 숙근 안개초의 저 온자극의 감응부위가 지상부와 뿌리의 정단분열조직이 며, 저온자극은 정아와 액아의 정단 분열조직으로 이동 하여 유지된다고 하였다. 또한 안개초는 저온 감응기간 중 15℃를 넘는 온도는 저온효과를 상쇄하여 탈춘화 작 용이 발생한다고(Doi et al. 1991b) 하였다. 그러나 일 년생 스타티스의 저온처리에 의한 개화촉진 효과는 본 엽 8 ~ 10매까지 보전하게 되면 그 후 고온에 조우하여 도 개화촉진 효과가 소실되지 않는다고 하였고, 탈춘화 는 어린 묘일수록 쉽게 발생되며, 탈춘화 온도는 주 간 최고 29℃, 야간 21~22℃로 묘령이 높을수록 높다 (Azuma and Inubushi. 1990)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묘를 50일간 육묘하여 엽수가 8~14매의 묘를 사용하여 온도가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온의 개화촉진 효과 가 상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처리 기간별 절 화 생산량은 30일 저온저장이 주당 15.4본으로 가장 많 았고, 다음은 20일 저장이 13.7본 이었으며, 무처리는 5.1본으로 가장 적었다(Table 4). 무처리의 절화 생산 량은 8월이 1,252속으로 가장 많았는데, 전체 생산량은 1,000m2당 2,118속으로 저온 처리구에 비하여 매우 적 지만 시간이 경과되면서 일정량 절화가 가능하였다. 20 일 저장은 7월 절화량이 2,214속, 8월은 3,066속이었으 며, 전체 절화량이 5,665속으로 30일처리에 비하여 다 소 적지만 절화 생산량이 높은 편이서 저온감응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저장은 7월의 절화 량이 3,135속으로 초기 수량이 많았고, 8월은 2,832속이 었으며, 전체 절화량은 6,339속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 서 ‘Deep Blue’는 묘를 2 ± 1℃에서 20 ~ 30일간 저온처 리를 하여 정식하면 안정적인 추대가 가능하다고 판단 된다.3

    초 록

    일년생 스타티스의 준고냉지 여름 절화재배에서 묘 저 온처리가 개화 및 절화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 였다. 저온처리에 따른 묘 생육은 초장, 엽장, 엽폭에서 는 차이가 없었으나, 엽수는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증가 하였고, 저온처리 후 묘 손실률은 40일 저장에서 16.5% 로 높았다. 묘를 정식한 70일 후 저온처리간의 생육은 초장, 엽장, 엽폭에서 차이가 적었으나 엽수는 무처리가 2배 정도 많았다. 개화기는 30일과 40일 묘 저온저장이 공히 7월 14일로 무처리의 8월 5일에 비해 20일 정도 빨랐다. 절화품질에서 절화장, 분지수와 경경은 40일 저 장을 제외하고는 비슷하였다. 절화 생산량은 30일 저장 이 1,000m2당 6,339속으로 가장 많았고, 7월 의 초기 수량이 3,135속으로 약 50%를 차지하였다.

    추가 주요어:

    추대, 고사율, 감응, 로젯트, 이춘화

    Figure

    FRJ-22-7_F1.gif

    Seedlings after chilling storage. A, no treatment; B, 20 days; C, 30 days; D, 40 days.

    FRJ-22-7_F2.gif

    Growth responses between Control (no chilling treatment) (A) and chilling treatment for 20 days (B), 30 days (C), and 40 days (D).

    FRJ-22-7_F3.gif

    Change of air temperature inside vinyl house from May 1 to June 30 in sub-alpine region.

    Table

    Seedling characteristics of Limonium sinuatum Deep Blue before and after chilling treatment in sub-alpine region.

    zStorage at 2 ± 1°C in the dark.
    y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Growth of Limonium sinuatum ‘Deep Blue’ affected by chilling treatment in sub-alpine region.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Cut flower quality of Limonium sinuatum ‘Deep Blue’ by chilling treatment in sub-alpine region.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Yield of Limonium sinuatum ‘Deep Blue’ by chilling treatment period in sub-alpine region.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Reference

    1. Azuma A , Shimazaki J , Inubushi S (983a) Acceleration of flowering of statice (Limonium sinuatum Mill.) by seed cold treatment , J Japan Soc Hort Sci , Vol.59; pp.795-800
    2. Azuma A , Shimazaki J , Inubushi S (1983b) Acceleration of flowering of statice (Limonium sinuatum Mill.) by seed cold treatment , J Japan Soc Hort Sci , Vol.51; pp.466-474
    3. Azuma A , Inubushi S (1990) Studies on the regulation of flowering in Limonium altaica , J Japan Soc Hort Sci, Vol.59; pp.822-823(Abstr)
    4. Cheong DC , Jeong JS , Park HB , Lim HC , Song YJ (2006) Effects of inching time and node position on growth and flowering of Gypsophila paniculata on autumn cultivation in subalpine area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4; pp.492-496
    5. Choi CH , Jo JH , Choi YG , Choi JS , Park HB (2002) Effect of chilling treatment period and planting time on autumn yield of perennial statice ‘Ocean Blu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0; pp.108(Abstr)
    6. Doi M , Morita E , Ogasawara N (1991a) Growth and Floweringof G. paniculata L. ‘Bristol Fairy’ selections as influenced bytemperature and shoot-root interactions , J Japan Soc Hort Sci, pp.119-124
    7. Doi M , Morita E , Takeda Y , Asahira T (1991b) Effects of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shoots on rosette formation and flower malformation of Gypsophila paniculata L , J Japan Soc Hort Sci, Vol.59; pp.795-801
    8. Fujita M (1993) Breeding and culture of Limonium (statice), Sungmundangsinkwang Press,
    9. Huh KY , Bang CS , Song JS , Song CY , Kim BH , Chung SK (1997) Effect of low temperature raising on flowering and cut flower quality of Eustoma grandiflorum , Korean J Hort Sci, Vol.39; pp.107-111
    10. Hwang JC , Chin YD , An DC , Jeong BR (2003) Effects of planting date, chilling treatment of liners, growth regulator, and lighting on flowering and cut flower yield of Gypsophila paniculata ‘Bristol Fairy’ , Korean J Hort Sci, Vol.44; pp.97-101
    11. Lindsay JD , Hicklenton PR , Catley JL (1996) Vernalization and growth regulator effects on flowering of Gypsophila paniculata L cvs Brisrol Fairy and Bridal Veil , J Horticultural Science, Vol.71; pp.1-9
    12. (201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 Statistics for floricultural industry in 2012. Gwacheon Korea,
    13. Suh JK , Byun JK , Chung HD , Roh SM (1983) Studies on tulip (Tulipa gensneriana L) forcing TI The influence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tulip , Korean J Hort Sci, Vol.24; pp.49-56
    14. Takeda Y , Doi M , Asahira T (1981) Influence of growth regulator on release from rosette of Gypsophila paniculata L , Japan Soc Hort Sci, pp.304-305(Abstr)
    15. Tsukada T , Miyazawa Y , Nagase Y , Sekiguch A (1983)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s and cultivation of Gypsophila paniculata L Effect of temperature, photoperiod and cyclic lighting on the growth and flowering , Bulletin Nagano Vegetable & Ornamental Crops Experiment Station Japan, Vol.3; pp.61-70
    16. Yoo DL , Kim WB , Nam CW , Hahn BH , Kim BH , Kim JK , Choi KS (1994) Flowering and yield of statice (Limonium sinuatum Mill) by sowing date for summer season production in alpine area , Korean J Agri Sci, Vol.36; pp.435-443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