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4 pp.283-287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4.9

Development of a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with Large and Unique Red Eye Zone on Pink Petals
단심이 크고 독특한 홍단심계 무궁화 ‘근형(槿亨)’육성

Hae Yun Kwon*, Sea Hyun Kim
Division of Special 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uwon 441-847, Korea

권 해연*, 김 세현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Corresponding Author : Hae Yun Kwon Tel: +82-31-290-1193 kwonhy@forest.go.kr
October 27, 2014 November 6, 2014 November 19, 2014

Abstract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was developed at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2011. It was initially bred from a artificial cross in 2003, between H. syriacus × paramutabilis cv. Shichisai, a seed parent, a Japanese hybrid cultivar with unique flower color and long bloom period, and H. syriacus cv. Kaeryangtansim, as a pollen parent, a tetraploid cultivar with vigorous growth. ‘Geunhyeong’ was preliminarily selected as ‘KFRI-SK16’ for the aesthetic and stable quality of its unique color of its flower and rapid growth in elongation in 2006. Trial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5 years (2007 ~ 2011), meanwhile, all investigated traits were retained in rooted cuttings originated from it. ‘Geunhyeong’ had a bright pink flower with large, strong red eye zone. Mean of the flower diameter was 108.6 mm, length of red eye spot on petals was 30.3 mm, and strong red radiation lines were extended from the edge of the red eye zone to more than three quarters of the way to the edge of the flower. Leaves were 71.1 mm long and 33.5 mm wide, and petiole length was 12.9 mm. Flowering period of the cultivar investigated in 2011 was 82 days. It was registered as a new cultivar at the Korea Seed & Variety Service in 2013 (Grant Number 4358). Its tree habit showed vigorous and fast upright growth, so it can be used as an ornamental tree or a street tree.



초록


    Korea Forest Service
    S110911L050100

    서 언

    우리나라 국화(國花)인 무궁화(Hibiscus syriacus L.)는 한여름에는 드물게 7월 초에서 9월 말까지 아름답고 화 려한 꽃을 피우는 관상수로 세계 50여 개국에서 재배되 고 있다(Lee 2013). 세계적으로 무궁화 품종은 약 300 여 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는데, 이 중 국내에서 육 성된 품종은 100여 종 이상으로 1960년대 이후 주로 국 공립 연구기관 및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다(Park 2005; Song 2004).

    그러나 최근까지의 여론조사 결과 무궁화에 대한 국민 인식이 여전히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꽃이 작고 색이 아름답지 않다’거나 ‘병충해 가 많아 심고 가꿀 나무가 못 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소비 형태가 고급화• 다양 화 되면서 무궁화의 경우에도 다른 화훼식물들처럼 실생 활에서 가깝게 활용될 수 있는 실내 재배용, 절화용 등 맞춤형 품종에 대한 요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KFS 2008).

    육종 재료로서 무궁화의 장점은 꽃이 아름답고 개화기 간이 길어 관상가치가 높고 인공교배가 비교적 잘 되며, 무성증식이 쉽다는 점 등이다. 반면 목본식물로 초본류 에 비해 세대가 길어 육종 기간이 길게 소요되며, 자가 불화합성(自家不和合性)이 강하여 순계(純系) 육성이 어려 운 것은 단점이라 할 수 있다(Kwon et al. 2012; Song 2004). 또 국내 자생 집단이 없고 장기간 꽃 색과 형태 위주의 반복 선발로 인한 유전다양성 감소로 기존 품종 간 교배를 통해 무궁화 육종의 주된 목표인 진딧물 저항 성 및 내한성 증진, 꽃 수명 연장, 잎의 조기 황화(黃化) 방지 등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KFS 2012). 이에 근연종 간 인공교잡이나 방사선• 화학물질을 이용 한 돌연변이, 배수체 유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우량 품종을 획득하는 한편 육종 집단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KFS 2012; Kyung 2001; Shim et al. 1993; Tachibana 1971).

    일본의 Tachibana는 1950년대 후반부터 Hibiscus속 내 종간 교잡 관련 연구를 시작하여 무궁화와 H. sinosyriacus 또는 H. paramutabilis와의 교잡을 통해 다수의 신품종을 개발하였다(Tachibana 1971; Tachibana and Ihara 1968; Tachibana et al. 1957). 그 중 우리나라에서 ‘무지개’로 재명명된 ‘七彩(Shichisai)’ 일본 육성 청단심계 무궁화 ‘夏空(Natsuzora)’ 무궁화와 근연종인 중국 원산 노산부용 (H. paramutabilis)의 교잡을 통해 선발된 품종으로, 기존 무궁화 품종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꽃 색깔을 나타 내며 개화기간이 100일 안팎으로 길다(Tachibana 1971; Yu and Yeam 1987). 한편 ‘개량단심’은 1977년 임목육 종연구소(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에서 육성한 4배체 홍단심계 홑꽃 품종으로, 수세가 강하며 가지가 예 각으로 뻗어 수형이 퍼지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Song 2004).

    본 연구는 상기 두 품종의 인공교배를 통해 보다 꽃 이 아름답고 인상적이며 수세가 강하고 재배가 용이한 신 품종 무궁화를 개발함으로써 무궁화의 일상 속 활용범위 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나라꽃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육성 경위

    나라꽃 무궁화 우량품종 육성을 위하여 2003년 8월 경기 도 수원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무궁 화 품종보존원에서 ‘七彩(무지개, H. syriacus × paramutabilis cv. Shichisai)’를 모본으로, ‘개량단심(H. syriacus cv. Kaeryangtansim)’을 화분친으로 한 인공교배를 수행하였다. 그 해 11월 결실된 삭과 40개 중 종자 50립을 2004년 4월 초에 해당기관 야외포장에 파종하였으며, 여기서 획 득한 실생묘 45주를 2005년 4월 m2당 16본 간격으로 포 지 이식하였다. 2006년 8월초 개화된 차대묘를 대상으로 무궁화 품종 육성 시 주요개량 대상형질인 생장 및 수 형, 꽃모양, 꽃크기, 꽃잎색, 단심 존재여부와 크기, 엽특 성, 수형특성, 생장량 등을 조사하여 생장이 우수하고 화 색이 특이한 10개체를 1차 선발하였으며, 이들을 삽목 증 식하여 2007 ~ 2008년까지 2년 동안 생육시키며 국립종 자원의 신품종 심사를 위한 특성조사요령(KSVS, 2004) 에 의거, 계통별 특성조사를 수행하였다. 2009년 4월 1차 선발 개체 중 꽃이 크고 단심선 길이가 길며 수형 이 곧고 절간 생장이 빠른 ‘KFRI-SK16’ 1개체를 2차 삽목 증식하였으며, 동시에 선발개체의 화분친이며 수형 및 엽과 꽃의 형태적 특성이 유사한 ‘개량단심’을 대조 품종으로 선정하여 동일 포지에 삽목증식하였다. 육성계 통과 대조품종에 대한 생육 및 개화 특성검정은 2009년 부터 2011년 늦가을까지 3년간 각각 20주씩을 대상으 로 시행되었으며, 주요 표현형 안정성 및 이형주 발생여 부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개체를 최종 선발하 여 ‘근형’으로 명명하였다(Fig. 1).

    주요 특성

    신품종 ‘근형’은 교목성 품종으로 수세가 강하고 가지 는 다소 곧추 서서 주간(主幹)과 예각을 이루며 분지밀 도가 빽빽한 편이다. 당년지 길이생장은 5년생 삽목묘에 서 평균 64.0cm로 교배 모본인 ‘七彩’의 48cm, 화분친 이며 대조품종인 ‘개량단심’의 40cm보다 컸으며, 5년생 삽목묘 평균 수고 역시 ‘근형’이 189.2cm로 ‘七彩’의 148.7cm 및 ‘개량단심’의 126.2cm 보다 각각 1.3배, 1.5배 가량 큰 것으로 나타나 독립수 또는 가로수로 재 배하기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Table 11).

    꽃의 전체적 모양은 꽃잎이 조금 안으로 모이는 깔대 기형으로 꽃잎이 5장인 홑꽃이다. 꽃잎 바탕색은 보라색 이 섞인 분홍색(RP65B)으로 화분친(花粉親)이자 대조품 종인 ‘개량단심’의 WN155B보다 다소 진하며, 진한 붉 은색(RPN66A) 단심과 단심선이 꽃 중심부로부터 꽃잎 길 이의 약 3/4까지 매우 넓고 길게 퍼져 독특한 모양을 나타 낸다(Fig. 2, Table 2). 화관(花冠)의 평균 직경은 108.6mm 로 대조품종 ‘개량단심’의 89.7mm 보다 크며, 꽃잎 길이 는 64.8mm, 꽃잎폭은 35.2mm로 꽃잎 길이/너비 비율이 1.84에 이르는 I-b형이다. 대조품종인 ‘개량단심’과 비교 할 때 꽃잎 길이는 비슷한 반면 꽃잎 너비는 작아 꽃잎 간 겹침이 상대적으로 덜하다(Table 3).Fig. 3

    2011년 조사된 개화 시작일은 7월 10일이며 같은 해 9월 30일에 개화가 종료되어 개화기간은 총 82일이었다. 대조품종인 개량단심의 경우 개화 시작일은 7월 13일로 3일 정도 늦었으나, 개화 종료일은 다소 빨라 총 개화 기간은 69일이었다.

    잎의 전체적인 모양은 다소 긴 형으로 잎몸의 길이/너 비 비율은 2.12였으며, 잎몸 기부 모양은 끝으로 갈수록 점차 뾰족해져 전체적으로 대조품종 ‘개량단심’과 유사하 나 길이와 폭이 각각 71.1mm, 33.5mm로 ‘개량단심’의 58.3mm, 21.4mm보다 다소 컸다(Table 4). 잎몸의 열편 은 없거나 미미하고 잎몸 가장자리 물결 정도는 중간으 로 결각이 적은 편이며, 엽병 길이는 12.9mm로 대조품 종 ‘개량단심’의 6.37mm 보다 약 2배 길었다.

    품종의 주요 조사특성은 당대에 충분히 균일하게 발현 하였으며 수령 증가에 따라 변화하지 않았다. 또 삽목증 식 하여 조사한 결과 대조 품종과 확연히 구별되는 특 성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동시에 균일성을 유지하였으 며, 삽목 1세대와 2세대 시험에서 균일성 판정 결과가 각 각 다르지 않았다.

    재배상 유의점

    품종 고유의 형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삽목 또는 접 목 등 영양 번식법을 통해 증식되어야 한다. 수세가 강 하고 가지 절간 생장이 빠른 품종이므로 번식 초기에 집 중적인 전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용도에 알맞게 수형을 만 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로수로 이용하기 위해 주 간형으로 유도하려면 처음 4 ~ 5년 동안 수간 정단부 절 단과 가지 솎음전정을 병행해서 실시하도록 하며, 수형 정돈과 양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근원부에서 발생하는 가지는 수시로 제거하도록 한다. 토질에 대한 적응성이 강한 편이나 양호한 생장을 위해서는 사질양토나 양토로 비옥하고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식재하여야 한다. 병과 충 및 생리장해에 대한 저항성은 기존 품종과 큰 차이가 없다. 개화량과 관련하여 태양 광선 요구도가 크므로 성 목의 경우 3 ~ 5m 정도 충분한 간격을 두고 식재하며, 매 년 전정을 통한 가지밀도 조절을 수행하도록 한다.

    유용성

    종자산업법 제26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8조에 의하 여 본 품종에 대한 품종보호권을 출원하였고(출원번호: 제 2011-576호), 2013년 2월 18일 품종보호등록원부에 품종 보호 제 4358호로 등록되었다.

    초 록

    무궁화 ‘근형’은 2003년 무궁화속 종간교잡 품종으로 꽃 색이 독특하고 개화기간이 긴 ‘七彩(무지개)’(H. syriacus × paramutabilis cv. Shichisai)를 모본으로, 4배체 무궁화로 수세가 강건한 ‘개량단심’(H. syriacus cv. Kaeryangtansim) 을 화분친으로 인공교배 후 양묘된 실생묘로부터 선발되 었다. 2006년 1차 선발 후 형질 안정성 검정을 수행 한 뒤, 2011년 ‘KFRI-SK16’를 최종 선발하여 ‘근형’으로 명명하였다. 해당 품종은 직립형으로 가지가 곧추 서며 연간 신초 길이생장이 평균 64.0cm이고 5년생 삽목묘 평균 수고가 189.2cm에 달하므로 교목형으로 유도하여 가 로수 또는 조경수로 이용하기 적당하다. 전체적인 꽃의 형 태는 깔대기형으로 평균 직경이 108.6mm에 이르는 홍단 심계 홑꽃이며, 꽃잎 길이/너비 비율은 약 1.84로 꽃잎 이 다소 겹치는 I-b형이다. 꽃잎색은 RP65B으로 보라색 이 섞인 분홍색이며, 진한 붉은색의 단심과 단심선이 꽃 잎 길이의 약 3/4까지 매우 넓고 길게 퍼져 있다. 2011년 조사된 개화 시작일은 7월 10일, 개화 종료일은 9월 30일 로 총 개화기간은 82일에 달하였다. 잎의 전체적인 모양 은 다소 긴 형으로 잎몸의 길이/너비 비율은 2.12이며, 엽 병 길이는 12.9mm로 긴 편이다. 잎몸의 열편은 없거나 미 미하고 잎몸 가장자리 물결 정도는 중간으로 결각이 적은 편이다.

    추가 주요어:

    인공교배, ‘칠채’, ‘개량단심’

    Figure

    FRJ-22-283_F1.gif

    Pedigree diagram of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FRJ-22-283_F3.gif

    The tree form of 9-year-old seedling selected as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FRJ-22-283_F2.gif

    Comparison of flower between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A) and H. syriacus cv. Kaeryangtansim (B), the pollen parent and control cultivar.

    Table

    Growth characteristics of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zMean ± standard error (n = 5), yMean ± standard error (n = 20).

    Flower characteristics of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zRHS colour chart (Royal Horticultural Society Flower Council of Holland, 2001).

    Flower size of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zMean ± standard error (n = 20).

    Leaf characteristics of a new Hibiscus cultivar ‘Geunhyeong’.

    zMean ± standard error (n = 20).

    Reference

    1. Kyung HY (2001) Breeding of single and three way interspecific hybrids among Hibiscus syriacus, interspecific hybrid (H syriacus × H paramutabilis) and H sinosyriacus , PhD thesis Kangwon University Korea,
    2. Kwon HY , Kim SH , Park HS (2012) Growing and management of Hibiscus syriacus,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Seoul Korea, pp.7-16
    3. Korea Forest Service (KFS) (2008) A Master plan for more market-friendly and extensive utilization of the national flower , Daejeon Korea, pp.1-8
    4. Korea Forest Service (KFS) (2012) Development of Available Rose of Sharon-Product in Real Life Forest Science & Technology Projects (Project No S110911L050100):Report , Daejeon Korea, pp.143-158
    5. Korea Seed & Variety Service (KSVS) (2004) Guidelines of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of new varieties in Hibiscus syriacus , Anyang Korea, pp.1-18
    6. Lee JS (2013) Distribution and status of Hibiscus syriacus of the world. Proceedings of the 5th symposium of Hibiscus syriacus research society , Seoul Korea, pp.47-50
    7. Park JH (2005) A study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axonomy of Hibiscus syriacus L cultivars PhD Dissertation , Sung Kyun Kwan University Korea,
    8. (1993) Royal Horticultural Society Flower Council of Holland , RHS colour chart,
    9. Song YS (2004) Hibiscus syriacus-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 Semyeongseogwan Seoul Korea,
    10. Shim KK , Kim KH , Ha YM (2001) Characteristics of triploid cultivars ‘Diana’ and ‘Helene’ in Hibiscus syriacus L , J Korean Soc Hort Sci, Vol.34; pp.54-67
    11. Tachibana Y (1971) Studies on Hibiscus VI Reciprocal crosses between American herbaceous species and Asian arboreal species , J Jpn Soc Hort Sci, Vol.40; pp.183-189
    12. Tachibana Y , Ihara Y (1968) Studies on Hibiscus V Self and cross-compatibility and hybridization (2) , J Jpn Soc Hort Sci, Vol.37; pp.79-82
    13. Tachibana Y , Sakazaki N , Ihara Y (1957) Studies onHibiscus II Self- and cross-compatibility and hybridization , J Jpn Soc Hort Sci, Vol.25; pp.255-260
    14. Yu TY , Yeam DY (1987) Korean national flower, Hibiscus syriacus, Hakwon Co, pp.424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