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2 No.4 pp.215-222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4.22.4.2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lowering of Pot Lily depending on the Planting Date
분화용 나리의 식재 시기에 따른 생장 및 개화 특성

Byoung Mo Park*
Departmen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ksan 570-752, Korea

박 병모*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Corresponding Author : Byoung Mo Park Tel: +82-63-850-0726 lily0926@jbnu.ac.kr
July 28, 2014 September 11, 2014 November 14, 2014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four Lilium Asiatic hybrids cultivars viz. ‘Mount Dragon’, ‘Angelique’, ‘Fortune’, and ‘Genovië’ for pot breeding. For this purpose, the lilies selected as testing material were planted from March 3 to May 2 divided by 5 different periods of planting in order to explor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o offer the data derived therefrom for farmers to use in flowering in pots and planting on flower bed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Mount Dragon’ required 59 ~ 95 days from planting to flowering, that is, a precocious species with higher ornamental values and 85 ~ 101.6 leaves which were relatively more than other species used for experimentation. Besides,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flowers depending on the planting dates, those planted on April 2 turned out to have yielded the maximum number of leaves and flowers in shorter period of breeding but the longest period of flowering with 13.6 days, a favorable factor as marketable species. In case of ‘Angelique’, the plant height was 30 ~ 40 cm when planted from March to May and, especially, the species planted on March 18 yielded 6.7 flowers, more than those planted in April and May, proving to have outstanding quality as pot flower. ‘Fortune’, planted on May 2, required 83.5 days to flower, the shortest period, but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ize of flower depending on the planting date. But, there was difference in number of flowers, for instance the plant planted on April 2 produced maximum number of flowers (5.4). In contrast, the species planted in March had the longest period of flowering with 6.5 days but had less market value due to its tall height (~ 61 cm). Finally, ‘Genovië’ came into bloom as many as 88 ~ 130 days after planting date, indicating to be a relatively late-maturing variety compared to other species used for the present experimentation. The species planted on April 17, yielded maximum number of flower (6.2) having 1.8 cm size, and 10.0 days of flowering, proved it best fit as pot flowering plant.



초록


    서 언

    나리류(Lilium spp.)는 백합속 식물로 절화, 분화 및 정 원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30여종의 자 생종이 분포하고 있다. 이 중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 아 지역에 71종, 유럽 및 유라시아에 22종, 북미대륙에 37종이 각각 자생한다(Shimizu 1987). 우리나라에 자생하 는 나리는 아시아틱 나리가 많으며 참나리 등 약 10종, 7변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1989). 세계 적으로 변종을 포함한 백합의 종은 약 600여종에 달하 며 원예품종은 2,000여종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Jeong et al. 1991). 이러한 나리는 절화 뿐만 아니라 분 화로도 인기가 있지만 최근에는 공원과 화단 등 여러 공 간에 식재가 되어 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 중 참나리는 화형이 우수하고 번식이 용이 할 뿐 만 아니라(Jeong and Kwon 2005) 천변이나 습한 지역 에서 자생하는 나리의 생태적 특성상 수변부의 경관용 소 재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는 관상용보다는 주로 약용으로 이용 되어져 왔기 때 문에 분화 및 화단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 았다. 따라서 절화용 나리의 초장을 작게 하여 분화용으 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왜화제를 이용하고 있으나(Jeong and Kwon 2005; Park et al. 2005; Park et al. 2010; Suh et al. 2005) 왜화제의 경우 발암 물질을 함유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에는 위험성이 따른다. 따라 서 최근에는 초장이 작은 분화용 나리품종을 육성하여 대 중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Rhee 2007; Song et al. 2005). 그러나 국내 육성품종은 아직 대중화 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입품종을 이용하여 화분재배 및 화단 등의 식재 현장에서 경관용 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왜성의 분화용 나리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Rhee et al. 2005). 이러한 도입 품종을 농가에서 재배 하여 출하 계획을 세우고자 할 경우 도입 품종의 식재 시기에 따른 생육 및 개화 특성에 대한 정보가 없어 출 하 계획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또한 화단용으로 이용 할 경우 현장에서는 식재 시기가 일정치 않아 개화시기를 비 롯한 생육특성을 미리 파악 하지 못해 어려움이 많다. 따 라서 본 실험은 봄철에 분화용 나리의 식재 시기에 따 른 품종 별 생육특성과 개화시기를 구명하여 그 결과를 농가 및 정원 식재시 활용 하고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실습장의 무가온 하우스에서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공시재료는 서울 종묘회사에서 구입한 Lilium Asiatic Hybrids ‘Mount Dragon’, ‘Angelique’, ‘Fortune’, ‘Genovië’ 등 4품종이 었다. 시험에 이용된 구근은 2012년 생산한 구근을 그 해 11월에 구입하여 3℃에서 60일간 저장하여 휴면을 타 파시킨 후 식재할 때까지 −1.5℃에 저장하였다. 1차 식 재는 3월 3일이었으며 2차부터는 15일 간격으로 5월 2일까지 5회에 걸쳐 품종당 구근박스(가로 ×세로 ×높 이 = 59.5 × 39.5 × 20.5cm)에 10구씩 3박스에 총 30구를 식재 한 후 하우스에서 재배를 하였다. 정식전의 구주, 구고, 구중 등을 조사 하였다(Table 1). 재배 상토는 부 숙 왕겨 및 버미큘라이트와 피트모스를 1 : 1 : 1로 혼 합하여 1개월 정도 비닐하우스에 저장한 후 사용 하였 으며 정식 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기 위하여 토 양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은 pH 6.23, EC는 0.33dsm−1, 유기물함량은 4.76%이었 다(Table 2). 본 실험에서 사용된 토양의 pH는 6.23으로 서 Boontijes(1975)의 실험에 의하면 5.5 ~ 7.5에서 백합 의 생육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백합 생육에 적 정토양이라고 생각된다. EC는 0.33dsm−1로 양분함량이 조 금 높았으며 가비중이 낮고 유기물 함량은 4.76%로서 일 반토양의 2 ~ 3% 에 비하여 높은 편이었다. 정식 후 점 적 관수 시설을 이용하여 충분히 관수하였으며, 이후에 는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토양이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수 시로 관수를 하였다. 재배 온도 조건은 자연상태와 같은 조건하에서 재배를 하였다(Fig. 1). 기타 재배상의 관리 는 일반 관행 재배법에 준하였다. 식재시기별 백합의 생 육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식 후 출아일, 출아소요일 수, 초장, 엽수, 개화소요일수, 개화기간 등 생육 및 개 화특성을 조사하였다. 개화시점은 첫 번째 꽃이 1/3정도 개화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개화기간은 첫 번째 꽃 이 1/3개화 시점부터 시들을 때 까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정식시기에 따른 품종 별 출아 및 개화의 특성

    식재 시기에 따른 아시아틱 나리 4품종의 출아 및 개 화는 모든 식재구에서 ‘Mount Dragon’이 가장 빨리 개 화하여 조생종이었다. 3월 3일 식재시에는 개화가 95.8 일이 소요 되었으나, 식재시기가 늦어질수록 개화가 빨 라져 5월 2일 식재시에는 59.1일이 소요되어 36.7일이나 빨리 개화를 하였다(Table 3). 그러나 ‘Genovië’ 품종은 모든 식재구에서 가장 늦게 개화를 하여 만생종 이었으 며 특히 3월 3일 식재시에는 개화까지 130.8일이 소요 되어 모든 실험구에서 가장 늦게 개화하여 오랜 기간 관 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식재 시기에 따른 아시아틱 나리 4품종의 출아 및 개 화는 모든 식재구에서 ‘Mount Dragon’이 가장 빨리 개 화하여 조생종이었다. 3월 3일 식재시에는 개화가 95.8 일이 소요 되었으나, 식재시기가 늦어질수록 개화가 빨 라져 5월 2일 식재시에는 59.1일이 소요되어 36.7일이나 빨리 개화를 하였다(Table 3). 그러나 ‘Genovië’ 품종은 모든 식재구에서 가장 늦게 개화를 하여 만생종 이었으 며 특히 3월 3일 식재시에는 개화까지 130.8일이 소요 되어 모든 실험구에서 가장 늦게 개화하여 오랜 기간 관 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품종 별 식재시기에 따른 출아 및 개화 특성을 보면 ‘Mount Dragon’의 경우 출아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 시에는 3월 29일 출아가 되어 26.9일이 소요 되었으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5월14일에 출아가 되어 식재 시기 가 늦어 질수록 출아 소요 일수가 단축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3월 18일 식재의 경우 4월 2일 식재 와 4월 17일 식재에 비하여 오히려 출아 소요일수가 단 축되었는데 이는 일시적으로 외부 기온의 영향에 의한 것 이라고 생각된다. 백합의 경우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서 생 육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특히 온도에 의해 출아 및 개 화가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5월 2일 식재의 경우 3월 3일 식재에 비하여 13.9일이 더 빨리 출아되었으며 ‘Mount Dragon’의 평균 출아소요일수는 19.3일이 소요 되 었다. 따라서 식재 시기가 3월에서 5월로 갈수록 출아 소 요 일수가 빨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의 경우 6월 5일 개화하여 95.8일이 소요 되었으나 5월 2일 식재시 6월 30일 개화하여 59.1일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5월 2일 식재시 3월 3일 식재에 비 하여 36.7일이나 빨리 개화를 하였다. Yoo et al.(2001) 은 정식시기가 고온기로 갈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 었다고 하였는데 ‘Mount Dragon’의 경우 식재 시기가 3월에서 5월로 늦어질수록 개화 소요일수는 단축되어 빨 리 개화 됨을 알 수 있었다. 출아 후 개화는 3월 3일 식재의 경우는 68.9일 후에 개화를 하였으나 5월 2일 식 재의 경우는 출아 후 46.1일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식재 시기가 3월에서 5월로 늦어짐에 따라 외부 온도의 영향 으로 개화 소요 일수가 적게 소요되었으며 더 빨리 개 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월 18일 식재시 16.9일 만에 출아가 되어 4월 2일 식재시 20.6일에 비하여 빨리 출아 가 되었지만 개화 소요일수는 오히려 더 많이 소요 됨을 알 수 있었다. ‘Mount Dragon’은 ‘Angelique’, ‘Fortune’, ‘Genovië’에 비하여 가장 빨리 개화하였으며, 개화기간은 4월 2일 식재 시 13.6일로 가장 길었으나 그 이후 식재 시에는 개화기간이 짧았다. 그러나 본 실험에 사용한 다 른 품종들에 비하여 모든 식재시기에서 개화 기간이 가 장 길었다(Table 5).

    식재 시기에 따른 ‘Angelique’의 출아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시에는 4월 6일 출아하여 35.4일이 소요되었으 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5월 19일 출아하여 18.1일이 소 요되었다(Table 3). 3월 18일 식재시에는 27.9일이 소요 되었으나 4월 2일 식재시에는 29.8일 소요되어 오히려 더 늦게 출아가 되었다. 이는 일시적인 외부 기온차이에 한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Angelique’는 본 실험에 사 용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식재 시기에 따라 출아가 18.1일 ~ 35.4일이 소요되어 상대적으로 더 길었다. 개화 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 시 6월 5일 개화하여 122.5일 이 소요되었으며 5월 2일 식재시에는 6월 30일 개화하 여 79.8일이 소요되어 3월 3일에 비하여 42.7일이나 더 빨리 개화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식재 시기가 늦 어짐에 따라 개화소요 일수가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식재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식재 후 개화 소요 기간 은 적어 빨리 개화됨을 알 수 있었다. 구근류의 하절기 식재의 경우 식재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은 구근의 크기에 상관없이 식재 시기가 늦어질수록 단축하였다고 하였는 데(Park and Kim 1997) ‘Angelique’는 식재 시기가 늦 어질수록 다른 품종에 비하여 더 단축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출아 후 개화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 시 87.1일 소요되었으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61.7일이 소요 되었다. 따라서 식재 후 출아는 식재 시기에 따라 일정 하지 않았지만 개화는 식재 시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 화함을 알 수 있었다. Lee et al.(2004)은 신나팔나리을 5 ~ 6월경에 식재 할 경우 6월 식재 보다는 5월 식재의 경우 생육속도가 늦어졌다고 하였다. 따라서 식재 시기 가 늦어질수록 개화소요기간이 단축되었다고 보고하였 는데 본 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을 알 수 있었다. 나리 ‘Angelique’의 개화기간은 5월 2일 식재 시 7.2일과 3월 3일 식재시 6.7일로 가장 오랫동안 개화를 하였다. 그 러나 4월 17일 식재 시 개화 기간이 4.7일 밖에 유지 되 지 않아 가장 적은 개화기간을 유지 하였다(Table 5).

    식재시기에 따른 ‘Fortune’의 출아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시에는 3월 29일 출아가 되어 28.0일 소요 되었으 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5월 11일 출아가 되어 9.8일이 소요되어 18.2일이나 빨리 출아가 되었다(Table 3). 개화 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 시 6월 5일 개화하여 128.1일 이 소요되었으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83.5일이 소요되 었다. 또한 기타 식재의 경우에도 식재 시기가 늦어 질 수록 개화소요기간이 적게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재배지역의 3월의 평균온도가 6.3℃에서 5월의 17.7℃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의 영향으로 식재 후 빨리 출 아가 되어 개화가 되는 것으로 생각 된다(Fig. 1). 출아 후 개화는 3월 3일 식재 시 100.1일, 3월 18일 식재시 에는 95.6일이 소요되었으며 4월 2일 식재시와 4월 17일 식재시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5월 2일 식재시 에는 73.1일이 소요되어 개화함을 알 수 있었다. 개화기 간은 3월 3일 식재시와 4월 17일 식재시 각각 6.5일과 6.1일 동안 유지하여 유의차가 없었으며 ‘Fortune’은 식 재 시기에 관계없이 모든 식재구에서 개화 기간이 비슷 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Table 5). 그러나 4월 2일 식재시 3.7일 밖에 유지하지 못해 개화 기간 동안 일시 적으로 외부의 환경적 영향에의한 것으로 생각 된다.

    ‘Genovië’의 식재시기에 따른 출아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시에는 34.5일이었으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9.7일이 소요되었다(Table 3). 따라서 5월 2일 식재시에는 3월 3일 식재에 비하여 24.7일이나 빨리 출아가 되었다. 3월 3일 식재 이후에는 식재 시기가 늦어질수록 빨리 출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식재간에는 많은 차이가 나 지는 않았다. Kim et al.(2003)의 연구 결과 식재 시기 가 늦을수록 출현기의 차이가 적었다고 하였는데 본 실 험도 유사한 결과이었다. 이는 구근이 휴면타파가 되어 외부 온도의 영향으로 늦게 식재 할수록 빨리 출아가 되 어 식재간에 차이가 많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개화소 요일수는 3월 3일 식재 시 130.8일이 소요되었으며 4월 2일 식재시에는 8월 2일에 개화하여 109.9일이 소요 되 었으나 5월 2일 식재시에는 7월 28일에 개화하여 88.2일 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백합의 경우 휴면 타파가 완료 된 구근을 식재 할 경우 외부온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식재 를 하면 식재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개화소요 일수가 단 축 됨을 알 수 있었다. 출아 후 개화소요일수는 3월 3일 식재시에는 96.3일 소요되었으나 5월 2일 식재시에 는 78.5일이 소요되었다. 특히 4월 17일에 식재을 한 경 우 3월 18일과 4월 2일에 식재를 한 경우 보다 오히려 출아 후 개화 소요일수가 더 소요된 것은 이 시기에는 온도가 높았으나 출아 후에 일시적으로 외부의 저온 영 향인 것으로 추정 된다. ‘Genovië’는 늦게 식재 할 수록 개화 소요 일수가 단축되어 개화한 것은 식재 시기가 늦 을수록 저온 저장 기간이 길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 된다. 이와 같이 질적인 춘화처리가 충족된 후에는 저온 이 양적으로 작용해서 늦게 식재를 하여도 처리된 저온 의 양만큼 화아 형성이 촉진이 되어(Weiler and Langhans 1967) 다른 품종에 비해 늦게 식재를 하여도 개화수 및 개화기간이 더 길었다.

    정식시기에 따른 품종 별 생장의 특성

    정식시기에 따른 초장을 보면 ‘Mount Dragon’이 다른 품종에 비해 모든 식재시기에서 가장 작았으나 잎의 수 는 4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101.6개로 가장 많아 왕성 한 생육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4). 특히 5월 2일 식재시 31.6cm로 가장 작았다. Choi et al.(1999)은 아시아틱 나리 ‘Orange Pixe’외 5가지 품종을 3월 15일 에 정식한 결과 ‘Buff Pixe’의 초장이 37.5cm로서 가장 작았는데 ‘Mount Dragon’ 품종을 3월 18일 식재한 결 과 35.3cm 이어서 비슷한 경향 이었다. 따라서 아시아 틱 나리 ‘Mount Dragon’은 본 실험에 사용한 4품종에 서 가장 왜성종임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Fortune’은 3월 3일 식재시 64.8cm 까지 성장을 하였으며 4월 2일 식재를 제외한 모든 식재구에서 시험에 사용된 다른 품 종에 비하여 가장 초장이 길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재 시기에 따른 ‘Mount Dragon’의 초장은 4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39.7cm로 가장 길었다. 그러나 나머지 식재의 경우에는 식재구 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식재 시기에 따 라 엽수의 차이는 일정하지 않았으나 3월 18일 식재의 경우 86.3개와 5월 2일 식재의 경우 85.0개로 다른 식 재 시기에 비하여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엽장은 식재 시 기에 따라 차이는 일정하지 않았으나 3월 18일 식재의 경우 6.9cm로 가장 길었으며 3월 3일 식재의 경우에는 6.2cm로 작았다. 식재 시기에 따라 엽폭의 차이는 일정 한 원칙이 있지 않았으나 4월 17일 이후 식재는 그 전 에 식재한 것에 비하여 엽폭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줄 기직경은 5월 2일 식재의 경우 0.41cm로 제일 작았으나 나머지 식재의 경우에는 0.51 ~ 0.59cm로 식재 시기 간 에 유의성은 없었다. ‘Mount Dragon’의 개화수는 3월 3일 식재와 4월 17일 식재시 7.1개로 가장 많았으며, 3월 18일 식재시 6.1개로 1개의 개화 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5). 화폭은 3월 3일 식재시 18.5cm 로 가장 컸으며 다른 식재 시기의 경우에는 식재구 간 에 서로 비교하여 별 차이가 없었다. ‘Mount Dragon’은 본 실험에 사용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모든 식재구에서 꽃의 크기가 가장 컸으며 개화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3월 3일 식재시 엽수, 엽폭, 경직경, 꽃의 크기와 꽃의 수 등이 다른 식재구에 비해 가장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Lee et al.(2004)은 정식시기가 절화 생산에 미 치는 영향에서 4월 23일 정식보다는 6월 21일 식재 시 식재 시기가 늦어 질수록 절화장 등 영양생장이 저조하 여 품질이 떨어지며 병해 발생 정도가 높았다고 하였으 며, Yoo and Kang(2005)은 나팔나리 ‘Georgia’ 소인경의 생육에 미치는 정식시기와 식재 방법의 영향에서 9월 중 순에서 10월 초순경에 정식 한 것은 구근의 생육이 양 호하였다고 하였으나 6월에서 8월까지의 하절기에 정식 한 것은 전반적으로 구근의 생육상태가 불량하였다고 하 였다. 따라서 ‘Mount Dragon’의 경우 3월과 4월에 정식 을 할 경우 생육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3월 3일 식재시 생장이 우수 하였으므로 가능하다면 3월경에 식재를 하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 된다. ‘Angelique’의 식재 시 기에 따른 초장은 3월 3일 식재의 경우 44.1cm로 가장 길었다(Table 5). 식재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이 작 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 초장은 40.6cm이었다. 특 히 5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초장이 34.7cm로서 가장 작 았다. 분화용 백합의 초장은 30 ~ 50cm 정도가 알맞다고 하여(Rhee 2007; Song et al. 2005), ‘Angelique’ 품종 은 3월 ~ 5월에 식재시 초장이 30 ~ 40cm정도 이었기 때 문에 분화로서 적당하였으며 특히 3월중 식재의 경우 개 화수가 6.2 ~ 7.1개로 많아 분화로서 품질이 우수하였다. 식 재 시기에 따라 엽수의 차이는 일정하지 않았으나 4월 17일 식재의 경우 50.5개로 가장 많았으며 3월 18일 식 재와 4월 2일 식재의 경우 각각 47.0개와 45.9개로 서 로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Angelique’의 엽장은 식재 시 기에 따라 차이는 일정하지 않았으나 3월 3일 식재의 경우 7.5cm 가장 길었으며 다른 식재시기의 경우에는 6.5 ~ 6.9cm로 유의차가 없었다. 식재시기에 따라 엽폭의 차이는 일정하지 않았으며 3월 3일 식재의 경우 5.1cm 로서 가장 넓었으나 4월 2일 식재의 경우 4.9cm와는 차 이가 없었다. 3월 18일 식재와 4월 17일 식재의 경우에 는 4.6cm로서 서로 차이가 없었으며 5월 2일 식재가 4.2cm서 식재시기가 늦어짐과 여름철 고온기로 접어들어 식재의 경우에는 옆폭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줄 기직경은 3월 18일 식재와 4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0.71cm로 가장 컸으나 3월 3일 식재와는 차이가 없었다. 4월 17일 식재시 0.59cm, 5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0.60cm 로 두 시기간에 직경의 크기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Yoo and Kang(2003)은 백합나리의 저온처리 및 정식시기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의하면 9월에 구근을 정식하는 것이 가 장 좋고 늦어도 11월까지는 정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 였으며 봄에 구근을 식재 할 경우에는 12월이나 1월보 다는 2월에 식재했을 때 생육이 더 양호했다고 보고 하 였다. 따라서 백합은 추식 구근이기 때문에 가을에 식재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농가에서 틈새 시장을 위한 상시 출하 계획을 세울 경우나 정원 식재 현장의 경우에는 식 재 시기가 상시에 이루어지기는 하나 가능하다면 가을 이나 3월경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ngelique’는 식재 시기에 따라 화폭은 일정한 규칙이 있지는 않았으나 4월2일 식재의 경우가 12.5cm로 가장 컷으나 화수가 3.5개로 상대적으로 적었다(Table 5). 따 라서 화수가 적었기 때문에 화폭이 가장 큰 것으로 사 료된다.

    식재시기에 따른 ‘Fortune’의 초장은 3월 3일 식재의 경우 64.8cm로 가장 컸으며 4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40.3cm로 가장 작았다(Table 4). 본 실험에 사용했던 모 든 품종은 식재 시기가 늦어질수록 초장이 더 작아지는 데 ‘Fortune’의 경우 4월 2일 식재시 4월 17일 식재에 비하여 오히려 키가 더 작았다. 또한 본 실험에 사용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모든 식재구에서 초장이 가장 큰 품 종 이었다. 특히 3월 식재의 경우 초장이 61.0cm 이상 이었다. 따라서 분화용 품종 중에 ‘Fortune’ 품종은 초 장이 큰 것으로 사료가 되어 분화용을 이용하기 위해서 는 4월 이후에 식재를 하거나 왜화제를 처리 하여야 할 것이다. 엽수는 4월 2일 식재시 35.8개로 4월 17일 식 재의 34.9개와 별 차이가 없었다. 엽장은 식재 시기에 따 라 차이는 일정하지 않았으나 3월 18일 식재의 경우 12.5cm로 가장 길었으나 3월 3일 식재의 경우와는 별 차 이가 없었다. 또한 4월 2일 식재 이후에는 유의차가 없 었으나 식재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엽장이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엽폭은 3월 3일 식재시 4.3cm로 가장 컷으 나 3월 18일 식재와는 별 차이가 없었다. 또한 4월과 5월의 식재 시기간에 엽폭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3월 식 재와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5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엽폭이 3.1cm로 작았고 개화수도 3.0개로 가장 적었다. 줄 기직경은 3월 식재의 경우에 0.71cm 이었으나 4월 2일 식재의 경우 0.65cm, 4월 17일 식재의 경우 0.50cm, 5월 2일 식재시 0.40cm로 점차 작아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Fortune’은 다른 품종에 비하여 고온에 약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식재시기에 따라 3월 3일 식재 와 5월 2일 식재의 경우 각각 14.0cm로 화폭의 차이는 없었으나. 개화수는 4월 2일 식재의 경우 5.4개로 가장 많았으며 3월 3일 식재와 3월 18일 식재 경우 각각 4.3개, 4.4개 개화를 하였다. 4월 17일 식재의 경우와 5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각각 3.3개, 3.0개로 유의차가 없었다(Table 5). 개화수는 4월 2일 식재의 경우 가장 많 았으나 4월 17일 식재와 5월 2일 식재의 경우 각각 3.3개, 3.0개로 가장 적었다. 따라서 ‘Fortune’은 4월17일 이후 식재 시 개화수가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오리엔 탈 나리 ‘Casa Blanca’의 경우 5월 식재 보다는 6월 식 재의 경우에 개화수가 오히려 더 많다고 하였으나 (Cho and Jeong 2000) ‘Fortune’은 오히려 봄철에 식재 시기 가 늦어질수록 개화수가 적어 상품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실험에 사용한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개 화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적었다.

    식재시기에 따른 ‘Genovië’의 초장은 3월 3일 식재의 경우 63.6cm로 가장 컷으며 5월 2일 식재시에는 42.1cm 로 가장 작았다(Table 4). 또한 다른 분화용 품종 역시 3월 식재 보다는 5월 식재의 경우 초장이 점차 왜성화 되었다. 그러나 하계 고냉지에서 오리엔탈 나리의 정식 시기를 달리 하여 식재 하여 본 결과 정식시기가 늦어 질수록 초장이 길어졌다고 하여(Cho and Jeong 2000) 본 실험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것 은 분화용 품종과 절화용 품종간의 차이와 3월 ~ 5월 식 재와 5월~7월식재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Genovië’의 엽 수, 엽폭, 경직경, 화폭, 화수 등은 식재 시기에 따라 일 정하지 않았으나 3월 3일 식재시 양호하였으며 엽수는 4월 2일 식재의 경우 56.4개로 가장 많았다(Table 5, 6). 엽장은 3월 3일 식재의 경우 15.3cm로 가장 컸으며 5월 2일 식재의 경우에는 10.0cm로 가장 작았다. 엽폭은 3월 3일 식재 시 4.3cm이었으나 3월 18일 식재의 4.2cm와 는 별차이가 없었다. 식재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엽폭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화폭은 식재시기에 따라 일 정하지 않았으나 4월 17일일 식재의 경우가 15.8cm로 가 장 컸으나 3월 3일 식재 시 15.6cm와는 유의차가 없 었다. 따라서 ‘Genovië’는 4월 2일 식재시에 초장이나 화 수, 화폭, 개화기간 등이 다른 식재 시기에 비하여 분화 용 나리로 우수하였다.

    초 록

    본 연구는 Lilium Asiatic Hybrids ‘Mount Dragon’, ‘Angelique’, ‘Fortune’, ‘Genovië’ 등 분화용 나리 4품종 을 공시 재료로 2013년 3월 3일부터 5월 2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식재시기를 5단계로 하여 재배 한 후 생육특성 을 조사하여 농가에서 분화용 나리의 출하 계획 및 화단 의 식재 계획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Mount Dragon’ 은 정식후 식재 시기에 따라 개화까지 59일 ~ 95일이 소 요 되어 조생종 이었으며 다른 실험 품종에 비하여 엽 수가 85개 ~ 101.6개로 많아 관상가치가 높았다. 또한 식 재 시기 간에 초장 및 개화 수 등의 차이는 많지 않았 으나 4월2일 식재시 엽수 및 개화수 가 많았으며 개화 소요일수가 짧고 개화기간이 13.6일로 가장 길어 상품 성이 좋았다. ‘Angelique’는 3월 ~ 5월 식재 시 초장은 30 ~ 40cm 였으며 특히 3월 18일에 식재 한 경우 개화 수가 6.7개로 4~5월 식재의 경우보다 많아 분화로서 품 질이 우수하였다. ‘Fortune’은 5월 2일 식재 시 개화 소 요일수가 83.5일로 가장 짧았으며 꽃의 크기는 식재시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개화수는 4월 2일에 식재 하였을 경우 5.4개로 가장 많았다. 3월 식재의 경우 개화기간은 6.5일로 길었으나 초장이 61.0cm 이상 이어서 분화로서 상품성이 양호하지 못했다. ‘Genovië’은 정식 후 개화 까지 식재 시기 별로 88 ~ 130일 만에 개화하여 본 실 험에 사용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만생종 이었다. 특히 4월 17일 식재의 경우 개화수가 6.2개로 가장 많았고 꽃 의 크기는 15.8cm로 가장 컸으며 개화기간이 10.0일로 가장 길어 분화용으로 양호하였다.

    추가주요어:

    초장, 개화소요일수, 화단용백합

    Figure

    FRJ-22-215_F1.gif

    Monthly temperature during experimental period at Iksan, Korea (KMA, AWS.2013).

    Table

    General characertistics of Lilium Oriental hybrids bulbs used for this experiment.

    zValues are mean ± standard error (n = 30).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used for this experiment.

    zValues are mean ± standard error (n = 30)
    *O.M: organic matter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Effect of planting date on sprouting and flowering of Lilium Asiatic Hybrids cultivar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Effect of planting date on growth in Lilium Asiatic Hybrids culivar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Effect of planting date on growth of flowers in Lilium Asiatic Hybrids cultivar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Reference

    1. Boontijes J (1975) The influence of warm treatment of lily bulbs on growth and flowering , Horticultural abstracts, Vol.45; pp.106(Abstr)
    2. Cho WS , Jeong BR (2000) Study in the production system of cut flowers and bulbs of oriental hybrid Lilium in highland in summer part I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18; pp.726-726
    3. Choi JJ , Choi JM , Lee JS , Kwon KH (1999)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lily cultivars as pot plant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17; pp.686-686
    4. Jeong JH , Kim KS , Hong YP (1991) Distribution of Korean native lil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ir native habitats , Korean J Soc Hort Sci, Vol.32; pp.270-277
    5. Jeong JH , Kwon ST (2005) Effects of Uniconazole treatment concentrations and methods on growth and flowering of Potted Lilium lancifolium , Flower Res J, Vol.13; pp.39-43
    6. Kim HJ , Kim SK , Kang JG , Choi KJ , Chung SJ (2003) Effect of planting time and greenhouse heating on the growth and bulb development of Lilium longiflorum ‘Georgia’ bilblet produced by in vitro culture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3; pp.95(Abstr)
    7. Lee JW , Choi JJ , Lee JY , Hong KW , Lee EM (2004) Effcets of bulb size and planting time for cut-flower production of Lilium formolongi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2; pp.94(Abstr)
    8. Lee WB (1989) A systematic study on genus Lilium in Korea , PhD thesis Korea Univ Korea,
    9. Pak CH , Lee SH , Jeong SW (2005) Mineral distribution in Oriental Hybrid lily ‘Prato’ and ‘Chianth’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Uniconazole in pot production , J Agriculture & Life Sci, Vol.39; pp.47-52
    10. Park JJ , Kim HY (1997) Effect of bulb size and planting time i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Muscari armeniacum ‘Early Giant’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15; pp.562-563
    11. Park IS , Park SK , Naing AH , Hwang YJ , Kang SY , Lim KB (2010) Effect of drench application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development in cut lilies , Flower Res J, Vol.18; pp.165-170
    12. Rhee HK , Cho HR , Lim HK , Shin MS , Kim YJ , Kim HJ , Kim JM , Na YJ (2005) A new asiatic lily ‘Yena’ with bright pink for bedding flower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3; pp.471-474
    13. Rhee HK (2007) A New Asiatic Lily ‘Sabi’ with deep yellow flower for bedding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5; pp.291-294
    14. Shimizu M (1987) The lilies of Japan Species and hybrids , Seibundo Shinkisha Tokyo Japan, pp.148-165
    15. Song CH , Roh MS , Kim JH (2005)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seedling inbred line of Lilium longiflorum for potted plant production , Flower Res J, Vol.13; pp.101-106
    16. Suh JK , Lee SH , Park JC , Huh MR (2005) Growth of Oriental Hybrid Lily ‘Prato’ and ‘Chianti’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Uniconazole in pot production , J Agriculture & Life Sci, Vol.39; pp.77-84
    17. Weiler TC , Langhans RW (1967) Effect of photoperiod on the vernaliaztion requirement of Lilium longiflorum Thunb cv ‘Ace’ , Proc Amer Soc Hort Sci, Vol.93; pp.630-634
    18. Yoo DL , Nam CW , Kim SJ , Hong SY , Suh JT , Ryu SY (2001)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lowering for cultivating zone and planting time on Lily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001; pp.103-103
    19. Yoo YK , Kang SW (2003) Effects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planting time on dormancy breaking and growth of bulblet produced in vitro in Lilium logiflorum ‘Georgia’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1; pp.80(Abstr)
    20. Yoo YK , Kang SW (2005) Effects of planting time and method on growth of bulblet produced by tissue culture in Lilium longiflorum ‘Georgia’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3; pp.112(Abstr)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