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3 No.1 pp.27-33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5.33.1.04

Comparison of Postharvest Quality of Cut Roses after Transport in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Boxes
택배 운송한 절화장미의 포장 박스 종류에 따른 품질 비교

O Hyeon Kwon*, Pil Man Park, Hye Ryun An, Yae Jin Kim, Hyeon Young Song
Flo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gun 55365, Korea

권오현*, 박필만, 안혜련, 김예진, 송현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Correspondence to O Hyeon Kwon Tel: +82-63-238-6831 E-mail: rkddnjseo01@korea.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7996-4309
22/12/2024 04/01/2025

Abstract


The online sales of flowers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Various transportation systems and packaging methods are used for such sales; however, the quality of cut flowers after transport is unclear.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cut flowers delivered through couriers can be compromised due to their exposure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Generally, cut roses are transported using packaging boxes either with ventilation holes that expose the content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r without holes, which isolates the contents from the outside environment.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cut roses transported by couriers using these types of packaging boxes. We found that transport in boxes with ventilation hole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fresh weight due to low humidity during transport, which decreased flower quality. Transporting roses in sealed packaging boxes resulted in only a slight decrease in fresh weight; however, the increased internal temperature in the boxes also reduced the quality of the cut flowers. In contrast, transporting cut roses in a sealed packaging box with a refrigerant lower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packaging box during transport, resulting in the preservation of the flower quality.




최근 국내에서는 온라인 거래를 통한 화훼류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양한 운송 시스템과 포장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품질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일반 택배 배송을 이용하는 직거래 방식은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절화장미는 외부의 환경에 노출되는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와 외부의 환경과 단절된 밀폐된 포장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포장 박스의 종류에 따른 절화장미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통기구가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택배 운송한 절화장미는 운송 중의 낮은 습도로 인해 생체중 감소가 높아 품질이 하락하였다. 밀폐된 포장 박스를 이용해서 운송한 절화장미는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해 운송한 절화장미보다 생체중 감소는 작았지만,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 품질이 하락하였다.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박스 내부에 절화장미와 함께 냉매를 동봉하여 포장 후 운송하면, 운송 중 포장박스 내부의 온도를 경감하고 품질을 보존하는 효과가 있었다.



초록


    서 언

    오랫동안 국내 농가에서 생산한 화훼 상품은 민간위탁시장을 중심으로 거래되어 왔다(Lim et al. 2014). 민간위탁시장은 중 간도매상인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고 유통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서 소비자들이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경매 방식을 통해 가격이 결정되고 정보가 공개되는 공영 도매시장의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이다(Lee et al. 2024). 또한 화훼 유통의 효율을 증진하기 위해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업을 결합한 e-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Rhee et al. 2005, 2006).

    2019년 코로나 발생 이후 화훼는 대면 거래를 통한 판매가 줄어들면서,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거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농산물유통공사 화훼공판장에서 경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화훼 상품의 종류들은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으로 거래되고 있다(Go et al. 2023). 온라인을 활용한 거래에는 마켓컬리, 쿠팡, 오늘의 꽃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플랫폼이 이용된다. 온라인 거래 방법의 종류는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서 직접 매입 후 판매하는 직매입 형태와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순간 매입이 이루어지는 판매분 매입 형태, 농업인과 같은 판매자가 플랫폼에 직접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오픈마켓 형태로 나누어진다 (KREI 2023). 마켓컬리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을 가진 기업에서 직접 매입하여 판매하는 형태는 생산자가 수취하는 가격은 낮지만, 대량 판매가 가능하며 자체적으로 구축한 콜드체인과 같은 저온 유통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어서 수송성이 우수하다. 또한 생산자는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상품을 판매한 다음에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생산자는 보다 높은 판매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오픈마켓을 활용한 직거래 방식을 희망한다. 온라인으로 직거래된 화훼 상품의 대부분은 택배 운송을 통해서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배송된다. 하지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거래된 화훼 상품의 택배 운송을 위한 포장 방법과 같은 유통 기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판매자나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포장 박스와 포장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택배 운송 시 발생하는 외부 환경 변화를 차단하기 위해 포장 박스를 밀폐하거나, 기온이 높은 여름철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냉매를 동봉하여 운송 하기도 하지만, 절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정보가 없는 실정이다. 절화장미는 수확 후 저장 온도나 포장 방법, 수송 조건에 따라서 품질과 수명이 달라진다고 보고되었다(Kim et al. 2011;Lee et al.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절화장미를 포장하는 박스의 종류에 따른 택배 운송 중의 온도와 습도 변화를 조사하고 절화 품질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온실에서 재배한 절화장미 ‘루비 레드’ 품종을 9:00~10:00에 50cm의 길이로 절단한 후, 신문지로 둘러싼 다음 가로 60cm, 세로 25cm, 높이 20cm 크기의 타원형의 환기구(6cm×3cm)가 있는 종이 박스(Vented box, Van)와 밀폐된 종이 박스(Sealed box, SB), 내부가 은박으로 밀폐 코팅된 종이 박스(Sealed inner coating box, SCB)에 각 처리별 3박스씩 포장하였다(Fig. 1). 절화장미를 포장한 박스들은 같은 날 13:00~14:00에 전주의 덕진 우체국에서 택배 발송을 하였으며, 밤 동안 전주 근교에 위치한 집하장을 거쳐서 다음날 13:00~14:00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배송되었다. 운송이 완료된 절화장미 포장 박스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절화 수명 조사실에서 16:00~17:00에 개폐하였다. 절화장미는 각 처리별 10주씩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잎을 3매엽 남기고 줄기 길이를 45cm로 재절단한 후, 100mL 시험관에 물올림을 실시하면서 생체중, 수분흡수량, 절화수명을 매일 조사하였다. 생체중은 최초의 무게를 당일의 무게로 나누어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절화수명은 24℃±1, RH 40~50%의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꽃목 굽음, 꽃잎 탈리, 꽃잎 시듦이 관찰되었을 때를 종료일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6월과 8월에 각 1회씩 실시하였으며, 8월에는 택배 운송 중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 경감을 위한 얼음 생수(500mL)를 동봉하여 배송하면서 Data logger(Model U12-012, Onset Computer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온도와 상대 습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 간 유의성 검정은 SAS 9.4 프로그램(SAS Institute, Cary, NC, USA)을 이용하여 DMRT(Ducan’s multiple range test)를 유의 확률 5%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절화장미 포장박스 종류별 택배 운송 후 품질 비교(6월)

    6월에 절화장미를 택백 운송 한 포장박스 내부의 온도는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박스가 평균 25.5℃로 가장 높았다(Fig. 2). 밀폐된 포장박스의 내부는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이다. 식물은 빛이 없어 광합성 작용을 못하는 환경에서 호흡 작용을 통해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면서 열을 발생한다(Li and Kader 1989;Martinez-Romero et al. 2003). 포장박스 내부의 절화장미 줄기에 달린 잎에서 호흡 작용을 통해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면서 발생한 열이 밀폐된 포장박스 밖으로 방출이 안되어 내부의 온도가 올라간 것으로 생각된다. 밀폐된 포장박스 내부의 평균 온도는 24.6℃였으며, 통기구가 있는 포장 박스는 24.3℃로 가장 낮았다. 택배 운송기간 동안 포장 박스 내부의 상대습도는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박스는 평균 85.5%의 높은 습도를 유지하였으며, 밀폐된 포장 박스는 75.3%, 통기구가 있는 포장 박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69.8%의 습도를 유지하였다.

    포장 박스의 종류에 따른 택배 운송된 절화장미의 생체중의 감소율은 상대습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던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 박스에서 운반한 절화장미가 4.4%로 가장 낮았으며, 내부 코팅이 안된 밀폐형 포장 박스의 절화장미는 10.3%,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박스에서 운송된 절화장미는 13.9%의 높은 생체중 감소가 나타났다(Fig. 3).

    운송이 완료된 관상기간 동안 절화장미의 생체중 변화는 밀폐된 포장박스와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박스에서 운송된 장미는 1일차에 생체중이 증가하였다가 2일차부터 감소가 시작 되었으나,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해 택배 운송된 절화장미는 1일차부터 생체중이 감소하였다(Fig. 5A).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박스에서 운송한 절화장미는 택배 운송 중 24. 3℃의 높은 평균 온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69.8%의 습도 조건이 생체중 감소로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수분 흡수량은 밀폐한 포장 박스에서 운송된 절화장미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Fig. 5B). 절화수명도 밀폐된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운송한 절화장미가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운송된 절화장미보다 길게 유지되었다(Fig. 4). 원예작 물의 저장 시 습도는 품질과 저장 기간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습도조건에서 중량 감소율이 낮고 저장 가능 기간이 길어졌다고 보고되었다(Hong and Lee 2007). 본 실험에서도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로 운송된 절화장미는 택배 운송 기간 동안 낮은 습도 조건에 의해 생체중의 감소 정도가 커서 절화수명이 줄어 들었다고 생각된다.

    택배 운송 절화 장미의 냉매 처리에 따른 품질 비교(8월)

    밀폐된 포장박스에 얼음 생수를 동봉한 박스의 내부는 2~3℃ 온도를 10~12시간 동안 낮추었다(Fig. 7A). 밀폐 코팅된 포장 박스 내부에 얼음 생수를 처리한 포장박스 내부의 평균 온도는 25.8℃였으며, 얼음 생수를 처리하지 않은 포장 박스의 평균 온도는 26.4℃로, 얼음 생수는 내부가 코팅된 밀폐한 포장박스 내부의 평균 온도를 0.8℃ 낮추었다. 내부 코팅이 안된 포장박스에 얼음 생수를 넣은 포장 박스 내부의 평균온도는 25.4℃로 얼음을 넣지 않은 포장 박스의 평균 온도 25.6℃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상대습도는 높아진다. 하지만 온도가 낮아지면 식물체의 증산작용이 줄어든다. 포장 박스에 얼음 생수를 동봉한 포장 박스의 내부는 처리 후 2~3시간 동안 상대습도가 3~5% 더 낮게 유지되었다(Fig. 7B). 이는 얼음 생수의 처리로 인해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일시적으로 절화장미의 증산작용이 적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평균 상대습도는 내부가 코팅된 포장 박스가 91.8%였으며, 얼음 생수를 처리한 포장박스 내부의 평균 습도는 91.8%로 차이가 없었다. 내부 코팅이 되지 않은 밀폐된 포장 박스 내부의 평균 상대습도는 83.9%였으며, 얼음 생수를 동봉하였을 때의 평균 상대습도는 81.7%였다. 상대습도는 얼음 생수의 처리보다 포장 박스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얼음 생수가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포장 박스의 종류에 따라서 상대습도에 영향을 주었지만, 운송이 완료된 절화장미에서 생체중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Fig. 6).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 박스에 얼음 생수를 처리하였을 때, 절화수명을 조사하는 기간 동안 생체중이 완만하게 유지되면서, 수분 흡수량도 높게 유지되었다(Fig. 8). 절화수명 또한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 박스에 냉매를 처리한 처리가 가장 길게 나타났다(Fig. 9). 내부가 코팅이 되지 않은 밀폐형 포장박스에서 운송한 절화장미는 생체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얼음 생수를 처리하였을 때 감소 정도가 더 컸다. 이와 같이 포장 박스의 종류와 냉매 처리에 따라서 절화장미의 수명과 품질이 다르게 나타났다.

    절화장미는 수송 방법에 따라서 품질과 수명이 달라진다고 보고되었다(Lee et al. 2009). 절화장미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절단된 줄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습식수송 방법은 품질을 보존하고 수명을 연장한다. 본 조사에서 활용한 통기형 포장 박스를 활용해 절화장미를 택배 운송하는 방법은 운송 중 건조로 인한 생체중 감소 피해 정도가 크기 때문에 반드시 습식수송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원예작물을 포장할 때 박스 내부에 아이스 팩을 첨가하면 호흡률, 중량감소율, 색도, 경도 값을 지연하여 선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Choi et al. 2014). 이러한 효과는 알루미늄 코팅 보드로 처리된 박스에 처리하였을 때 일반 골판지 박스보다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고 보고되었다. 밀폐된 포장 박스를 이용해 절화장미를 택배 운송하는 방법은 외부 환경을 차단함으로써 포장 박스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고 절화장미의 수분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절화장미에서 발생하는 호흡열로 인해 포장박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온도를 경감할 수 있는 냉매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시험에서 사용하였던 냉매 처리 방법은 전체 운송 기간의 절반인 10시간 정도의 효과가 있었지만, 전체 운송 시간 동안 온도 경감이 가능한 냉매 처리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 사

    본 연구는 2024년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기관 고유사업(과제번호: PJ017162)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Figure

    FRJ-33-1-27_F1.gif

    Types of packaging boxes from left: vented, sealed, sealed internal coating for cut rose courier transport used in the investigation. A: external, B: interior.

    FRJ-33-1-27_F2.gif

    Temperature (A) and relative humidity (B) inside cut roses packaging boxes during delivery in June. Van: vented box,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FRJ-33-1-27_F3.gif

    Decrease rate of cut rose ‘Rubi red’ variety fresh weight in packaging boxes during delivery. Van: vented box,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MRT, p < 0.05. n = 3).

    FRJ-33-1-27_F4.gif

    Vase life of cut rose ‘Rubi red’ variety after delivery in packaging box Vase. Van: vented box,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MRT, p < 0.05. n = 10).

    FRJ-33-1-27_F5.gif

    Change of fresh weight (A) and water uptake (B) of cut rose ‘Rubi red’ variety after delivery in packaging box types. Van: vented box,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The vertical bars indicate the standard deviation (n = 10).

    FRJ-33-1-27_F6.gif

    Decrease rate of cut rose ‘Rubi red’ variety fresh weight in packaging boxes during delivery in August.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SB+R: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box, SCB: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internal coating box.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MRT, p < 0.05. n = 3).

    FRJ-33-1-27_F7.gif

    Temperature (A) and relative humidity (B) inside cut roses packaging boxes during delivery in August.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SB+R: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box, SCB: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internal coating box.

    FRJ-33-1-27_F8.gif

    Change of fresh weight (A) and water uptake (B) of cut rose ‘Rubi red’ variety after delivery in packaging box types in August.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SB+R: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box, SCB: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internal coating box. The vertical bars indicate the standard deviation (n = 10).

    FRJ-33-1-27_F9.gif

    Vase life of cut rose ‘Rubi red’ variety after delivery in packaging box varieties in August. SB: sealed box, SCB: sealed internal coating box, SB+R: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box, SCB: refrigerant treatment in sealed internal coating box.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MRT, p < 0.05. n = 10).

    Table

    Reference

    1. Choi WS, Chung DS, Lee YS ( 2014) Effect of the ice pack treatment in the corrugated box for improving the storage quality of the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 makuwa)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s during summer. Korean J Food Preserv 21:25-33
    2. Go GW, Moon SY, Kwon S, Kwon HJ ( 2023)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distribu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floriculture industry. Hort Sci Technol 41:152-153 (Abstr)
    3. Hong YP, Lee EJ ( 2007) Effect of relative humidity under various packaging treatments on quality of grape fruits during cold storage. J Korean Soc Hort Sci 25: 47-53
    4. Kim JK, Jang EJ, Pak CH ( 2011) Flowering plants in B2B distribution effectiveness of parcel service & delivery. J People Plants Environ 14:197-198 (Abstr)
    5. Kim YA ( 2014) Quality changes of cut ‘Vital’ rose flowers as influenced by holding solution,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e method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7:465-469
    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 2023) Agricultural outlook, Korea, pp 221-223
    7. Lee JS, Lee PO, Hwang SA, Choi MP ( 2007) Effect of Wet packing solution and transport conditions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roses. Korean J Hort Sci Technol 25:129 (Abstr)
    8. Lee JS, Lee PO, Hwang SA, Choi MP, Lee SS, Park SY, Lee HS ( 2009) Effect of wet transport and dry transport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roses breed in Korea. Korean J Hort Sci Technol 27:136 (Abstr)
    9. Lee SY, Jung SH, Chung YK, Kim YJ ( 2024)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cut flower distribution in the private flower market. Flower Res J 32:28-39
    10. Li C, Kader AA ( 1989) Residual effects of controlled atmospheres on postharvest physiology and quality of strawberries. J Am Soc Hortic Sci 114:629-634
    11. Lim JH, Seo JY, Sim MS ( 2014)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the public wholesale markets through surveying the cut-flower distribution system. Flower Res J 22: 117-124
    12. Martinez-Romero D, Castillo S, Valero D ( 2003) Forced-air cooling applied before fruit handling to prevent mechanical damage of plums (Prunus salicina Lindl.). Postharvest Biol Technol 28:135-142
    13. Rhee CO, Chiang MH, Jung K ( 2005) Floricultural Industry and flower distribution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8:121-127
    14. Rhee CO, Jeong K, Chiang MH ( 2006) Suggestions for systematic flower distribution in Korean floricultural industr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9:1-7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