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2 No.4 pp.308-312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4.32.4.10

Underdeveloped Embryos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Trillium tschonoskii Seeds, a Native Species of Ulleung Island
울릉도 자생식물 큰연영초 종자의 미숙배와 형태생리적 휴면

Seung Youn Lee1,2*†, Yong Ha Rhie3,4†

1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Breeding, Graduate School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92, Korea
2Department of Smart Horticultur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3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mart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4Department of Hort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이승연1,2*†, 이용하3,4†

1국립안동대학교 대학원 원예육종학과
2국립안동대학교 스마트원예과학과
3강원대학교 스마트농업융합학과
4강원대학교 원예학과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ence to Seung Youn Lee Tel: +82-54-820-5472 E-mail: mrbig99@anu.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5677-2171
26/11/2024 04/12/2024

Abstract


Trillium tschonoskii Maxim, a perennial species of the Liliaceae family, possesses significant ornamental potential for its use in gardens but is classified as an endangered species (EN category) on the Korean Peninsula. We studied the phenology of a seed dormancy break in a natural environment. The seeds had underdeveloped embryos, measuring less than 10% of the size of fully matured seeds. From late July 2013 to late June 2014, embryo growth was minimal. However, rapid embryo growth occurred from early July to mid-August 2014. Germination began on August 1, with most seeds germinating by late August 2014, approximately one year after seed dispersal. Emerged radicles developed during the second autumn, and after experiencing a second low-temperature period in winter, seedlings emerged in spring 2015 from seeds with developed roots. Thus, the dormancy break and seedling emergence in the natural environment required about two years. Experimental treatments involving incubation temperature, cold stratification, and GA3 application failed to induce germination within 8 weeks. The seeds of T. tschonoskii required a sequence of cold conditions to break the first physiological dormancy, warm conditions for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and another cold period to break the epicotyl dorma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 tschonoskii seeds exhibit deep simple doub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큰연영초는 백합과의 다년생 식물이며, 정원용으로 큰 관상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희귀식물(EN 범주)로 알려져 있다. 자연 환경에서 종자 휴면 타파의 phenology를 조사하였다. 큰연영초는 초기 종자길이의 10% 미만인 미성숙배를 가지고 있었다. 미성숙배는 2013년 7월 하순부터 2014년 6월 하순까지 거의 자라지 않았다. 그러나 2014년 7월 초순부터 8월 중순까지 빠르게 신장하였다. 종자는 8월 1일부터 발아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종자는 2014년 8월 하순에 발아했다. 따라서 종자가 탈리된 후 발아하는 데 약 1년이 걸렸다. 뿌리는 두 번째 가을 동안에 발달했고, 두 번째 겨울철 저온기간이 지난 후, 2015년 봄에 유묘가 출현하였다. 따라서 자연 환경에서 휴면이 깨지고 유묘가 출현하는 데 약 2년이 걸렸다. 기내의 배양 온도, 저온 처리 및 GA3 처리 실험에서, 종자는 8주 동안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큰연영초의 종자는 유묘을 생산하기 위해 ‘저온(첫 번째 생리적 휴면을 타파) → 고온(미성숙배의 신장 및 발아) → 저온(배축휴면을 타파)’의 순차적인 온도의 변화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큰연영초 종자는 deep simple doub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를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초록


    서 언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Maxim.)는 백합과[Liliaceae; 멜란티움과(Melanthiaceae, APG Ⅳ)]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KNA 2024). 한반도에는 연영초속(Trillium)으로 연영초(T. camschatcense Ker Gawl.)와 큰연영초 단 두 종만이 자생하고 있다(KNA 2024). 큰연영초는 동아시아 지역의 일본, 중국, 대만 등에 자생지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hn et al. 2007;KNA 2024). 5~6월에 돌려나기한 잎 중앙에서 길이 2~4cm의 꽃대가 1개 나와 끝에 지름 약 4cm 정도의 꽃 한송이가 피며 꽃색은 흰색 또는 분홍색이다. 큰연영초는 관상가치가 뛰어나며, 반그늘의 정원에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 관상식물이다. 큰연영초는 울릉도 전역에 많은 개체가 자생했던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도로 건설 등으로 상당한 자생지가 파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Hyun 2002). 이에 따라 국내 제한된 점유면적과 생육지 면적의 지속적인 쇠퇴로 평가하여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의EN B2ab(ⅲ) 범주에 포함되었다. 이는 IUCN Red List 범주(categories) 및 기준(criteria)에 근거하여 이용 가능한 최선의 증거가 5개(A에 서 E까지)의 기준(criteria)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될 때 해당 분류군은 야생에서 “위기”에 매우 높은 위험에 직면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KNA 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예적 가치가 매우 뛰어난 큰연영초의 유전자원 보존 및 지속적 활용기반을 구축하고자 종자의 휴면과 발아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2012년 6월 6일, 2013년 7월 23일 경기도 용인 한택식물원에서 채종하였다. 2012년에 채종한 종자는 과실을 수집한 후 실험실에서 약 2주간 후숙(20~25℃)을 시키고 종자를 분리하여 기본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기본특성은 길이 2.9±0.06mm, 너비 1.7±0.04mm, 100립중 392.4±9.22mg 이었다(Fig. 2A~C). 2013년에 채종한 종자는 phenology, 온도, 저온처리, GA3 처리 실험에 사용되었다. Phenology 실험은 채종한 종자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옥상정원의 노지에 묻어 조사하였다. 약 100개의 종자를 모래와 섞은 후 시판용 모기망에 넣고 노지에 묻었고, 2013년 7월 23일(채종 당일)부터 2014년 8월 23일까지 매달 5개의 종자를 꺼내어 종자와 배(embryo)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자연조건에서의 발아율, 유묘출현율을 조사하기 위해서 20립 3반복의 종자를 8cm 플라스틱 화분에 원예상토(Plant World, Nongwoo Bio, Suwon, Korea)를 채우고 약 5cm 깊이로 파종하였다. 발아율은 2013년 7월 23일부터 2014년 8월 30일까지, 유묘출현율은 7월 23일부터 2015년 4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자연상태의 온도변화를 data logger(Watch Dog Model 450, Spectrum Technologies, Plainfield, IL, USA)로 기록하였다. 온도 처리 실험에서는 5℃, 15/6, 20/10, 25/15℃로 설정한 멀티룸챔버 (DS-13MCLP, Dasol Scientific, Hwaseong, Korea)를 이용하였다. 챔버의 광주기는 12시간 광조건(30~40μmol·m-2·s-1) 으로 설정되었다. 저온 습윤 처리는 종자를 5℃에서 0, 4, 8, 12주간 저장한 후 25/15℃에 배양하였고, GA3 처리는 종자를 0, 10, 100, 1000mg·L-1 농도로 24시간 침지한 후 25/15℃에 배양하였다. 온도, 저온처리, GA3 처리 실험은 15립 3반복하여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다.

    일본에 자생하는 연영초속의 Trillium camschatcense가 종자발아 이후에 배축휴면으로 인하여 유묘출현이 지연된다는 보고(Kondo et al. 2011)가 있었기에, 2013년 7월 23일 약 100립의 종자를 노지에 매장한 후 2014년 9월 30일, 12월 9일, 12월 30일 세 번에 걸쳐서 발아된 종자를 꺼내어 실험실에서 배양하였다. 일부 종자는 부패하거나 소실되어 수량이 부족하였으며, 10립 2반복으로 25/15℃에 배양하면서 떡잎의 출현을 3주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는 SAS(SAS 9.4, SAS Institute Inc., USA)를 사용하여 분산분석 후 5% 유의수준에서 Duncan 의 다중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분석되었으며, 그래프는 Sigmaplot(Grafiti LLC., Palo Alto, CA, USA)으로 작성되었다.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 큰연영초 종자는 온도, 저온처리, GA3 처리 실험에서 8주이상 배양하였음에도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data not shown). 채종한 종자를 잘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종자 내부의 배는 종자 길이의 10%가 안되는 미성숙배를 가지고 있었다(Fig. 1, 2D). 자연상태에서 배발달, 발아, 유묘출현의 phenology를 조사한 결과, 채종한 당해년도에는 배의 발달이 미미하였고 발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Fig. 1). 야생식물의 종자에서 수분 흡수에 문제가 없는 종자가 약 4주간의 배양기간 동안 발아하지 않을 경우, 생리적휴면(physiological dormancy, PD)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Baskin and Baskin 2004). 또한 채종 당시의 종자 내부의 배가 추가적인 신장을 한 후 발아하게 되면 형태적 휴면(morphological dormancy, MD)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다(Baskin and Baskin 2014). 따라서 큰 연영초 종자는 생리적휴면과 형태적휴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형태생리적휴면(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연상태에서 미성숙배의 신장은 겨울철이 지나고 다음 년도 5월까지 큰 변화가 없다가, 온도가 높게 유지되는 7월 1일에 22%까지 신장하였고, 8월 15일에 85%까지 신장하였다(Fig. 1). 미성숙배가 성장함에 따라 8월 8일에는 38%, 8월 30일에는 98%의 종자가 발아하였다(Fig. 1, 2F). 종자가 발아하였으나, 2014년도에는 유묘가 출현하지 않았다. 큰연영초 종자는 발아된 상태로 두 번째 겨울철을 지나고(Fig. 2G~H), 종자탈리 3년 차인 2015년 4월에 유묘가 출현하였다(Fig. 1, 2I). 발아된 상태로 겨울철 저온기간을 보내고 이듬해 봄에 발아하는 일부 식물은 배축휴면(epicotyl dormancy)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Baskin and Baskin 2014;Kondo et al. 2011;Rhie et al. 2019).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발아된 종자를 2014년 9월 30일, 12월 9일, 12월 30일에 실험실로 입실하여 배양한 결과, 9월 30일에 입실한 종자에서는 유묘가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노지에서 저온처리를 받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묘출현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Table 1). 따라서 발아된 이후에도 일정기간의 저온요구도가 충족되어야 떡잎이 출현하는 배축 휴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형태생리적휴면은 미성숙배가 성장하는 온도조건,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기 위한 온도의 조건과 순서, GA 처리를 통한 휴면 타파 유무 등에 따라 크게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Baskin and Baskin 2014). 본 연구에서는 종자가 탈리된 후, 첫 번째 겨울 철 저온기간을 지나고 이듬해 여름기간 동안에 미성숙배가 신장하고 발아가 진행되었다(Fig. 1). 그러나 발아된 종자는 두 번째 년도의 겨울철 저온기간을 거쳐야 배축휴면이 타파되어 이후에 떡잎이 출현하였다. 따라서 종자의 휴면을 타파시키기 위해서는 ‘저온+고온+저온’의 순차적인 온도의 변화가 필요하고, 미성숙 배는 고온기간 동안 발달하는 deep simple double MPD로 분류할 수 있다.

    일본에 자생하는 동일속의 Trillium camschatcense 종자 (Kondo et al. 2011), Convallaria keiskei 종자(Kondo et al. 2015)도 deep simple double MPD로 보고된 바 있다. 이는 한국과 일본에 자생하는 동일속의 식물이 같은 휴면유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종자발아와 유묘가 출현하는 중간에 ‘가을-겨울’의 계절적인 변화가 존재하였다. 이것은 가을 동안에 충분한 근권부를 형성하고 이듬해 주변 식물들로 인한 그늘이 형성되기 전에 신속하게 유묘를 출현시켜 충분한 광합성을 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판단된다(Kondo et al. 2011). 생태적인 측면에서, 충분한 근계를 형성하고 이듬해 봄을 맞이한다는 것은 초기 유묘의 생장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에 자생하는 Trillium속의 큰연영초도 deep simple double MPD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향후 이러한 유형의 종자휴면 연구와 실용적인 번식을 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사 사

    이 논문은 국립안동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 되었음.

    Figure

    FRJ-32-4-308_F1.gif

    Soil temperature (A) and phenology of embryo growth (B),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C) of Trillium tschonoskii seeds buried at a depth of 5 cm in 2013 in an open field. E:S ratio means embryo to seed length ratio. Vertical bars indicate SE (n = 5 for B and n = 3 for C).

    FRJ-32-4-308_F2.gif

    Photos of flowering (A), fruit set (B), seeds (C), underdeveloped embryos (D and E), germination (F, G, and H), and seedling emergence (I) of Trillium tschonoskii seeds buri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Em, embryo; En, endosperm. Scale bars indicate 1 mm.

    Table

    Effect of transfer date on seedling emergence of Trillium tschonoskii seeds. Germinated-seeds were transferred from field to laboratory.

    z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ference

    1. Ahn YH, Lee SJ, Lee SH ( 2007)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Trillium tschonoskii in Ulleung Island. Korean J Pharmacog 38:1-18
    2. Baskin CC, Baskin JM ( 2014) Seeds: Ecology, biogeography,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3. Baskin JM, Baskin CC ( 2004) A classification system for seed dormancy. Seed Sci Res 14:1-16
    4. Hyun JO ( 2002) Categorization of the threatened plant species in Korea. PhD-thesis, Soonchunhyang Univ, Korea
    5. Kondo T, Mikubo M, Yamada K, Walck JL, Hidayati SN ( 2011) Seed dormancy in Trillium camschatcense and the possible roles of light and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seed germination in forests. Amer J Bot 98:215-226
    6. Kondo T, Narita M, Phartyal SS, Hidayati SN, Walck JL, Baskin JM, Baskin CC ( 2015)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Convallaria keiskei and a proposal to recognize two types of double dormancy in seed dormancy classification. Seed Sci Res 25: 210-220
    7.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 2021)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si, Korea
    8.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 2024) National species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Accessed Nov. 2024,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
    9. Rhie YH, Lee SY, Kim KS ( 2019) Deep simple epicotyl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 Moore) Takht., a rare species in Korea. Hortic Sci Techol 37:669-677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