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0 No.S pp.29-29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2.30.S.29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Hand-modified Farming Aids for Wrist Disease Prevention and Wrist Protection of Elderly Farmers

Si Hyun Kim1,2, Seong-Hwa Bak1,2, Hwan-Hee Park3, Young-Kwan Kim3, Tae-Ho Han1,2*
1Department of Hort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Republic of Korea
2Interdisciplinary Program in IT-Bio Convergence Syste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Republic of Korea
3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Republic of Korea

사사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PJ01531204202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Corresponding author: Tae-Ho Han
Tel. 062-530-0624, E-mail: wageningen@hanmail.net

Abstract

한국의 농촌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 중으로 2020년 통계청의 농림어업총조사에 따르면 농가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42.3%로 전국 평균(16%)보다 2.6배 높았다.이들은 타 산업분야에 비해 업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 유발 위험성이 높으며, 특히 기계화가 힘든 반복적인 농작업은 손목 및 상체 관절에 작업부담이 높다. 따라서 고령화된 농업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작업 요소 및 농작업에서의 피로도를 경감하고 농업인과 더 나아가 신체적 취약자들의 다양한 농업 농촌활동을 보조함으로써 국민건강 회 복 및 유지 증진을 도모하여 농촌 사회의 활력을 불어 넣는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해 농작업 보조도구의 개발 및 보급이 필수적이 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관절의 악화 방지에 보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손잡이 변형 농작업 보조도구 착용 시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우리는 호미를 대표적인 농기구로 선정하여 보조도구 도입 전후의 대상자의 어깨, 팔꿈치, 손목, 엉덩이, 무릎의 관절 가동 범위 및 관절각을 측정하여 손잡이 변형 보조도구 결합 시 동작을 호미 단독 사용 동작과 비교 분석하였다. 손목의 평균 관절 가동 범위는 기존 호미 작업 시 19.2도에서 보조 도구 결합 시 5.8도 로 손목 사용이 거의 없었으며, 팔꿈치의 관절 각도는 보조 도구 사용 시 구부리는 정도가 적어 팔꿈치 관절 사용이 줄었다. 어깨 의 관절 각도는 기존에 비해 커졌으며 이는 어깨의 움직임이 더 커진 것으로 팔꿈치와 손목의 움직임 감소에 따른 보상 동작으로 작은 관절의 잦은 이용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관절을 사용하는 것은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근육통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무릎 및 엉덩이 관절의 경우 관절 가동 범위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보조 도구 사용 시 평균 관절각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여 작업 시 전제적인 자세가 변형되는 것을 확인하여 추후 보상적으로 변화된 어깨, 무릎, 엉덩이 관절의 움직임이 전체 농작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손잡이 변형 농작업 보조도구 사용 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농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작업의 특성에 맞게 개발한 장비 보급과 사용은 농업인의 재해예방관리로 지속 가능한 작업 기반 조성과 이에 따른 안전한 노동활동을 지원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록

 

Figure

Table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