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4 No.1 pp.65-72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6.24.1.9

Effect of Holding Solutions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보존용액이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Moon Soo Cho*, Soon Ho Lee, Bon Soon Ku
Department of Horticulture, College of Life and Environment, Daegu University, Gyongsan 38453, Korea

조 문수*, 이 순호, 구 본순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Moon Soo Cho +82-53-850-6714mscho@daegu.ac.kr
February 1, 2016 February 23, 2016 March 13, 2016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lding solutions on fresh weight, solution uptake, chlorophyll content and vase life in cut branch of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Cut branches were subjected to treatment with several holding solutions containing CoCl2, CuSO4, 8-HQS, BA, kinetin, TDZ,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respectively or some combination. Distilled water was used as the control. In the treatments of CoCl2, CuSO4, 8-HQS and BA, fresh weight and solution uptake were the highest in single treatment of CoCl2, whereas lower in BA alone or combination. Vase life was prolonged to 7.1 days in 65 mg • L−1 CoCl2 along with control and chlorophyll contend was high in 80 mg • L−1 CuSO4. In the treatments of BA, kinetin, TDZ and sucrose, 1% sucrose showed the highest vase life to 13.5 days, besides high fresh weight and solution uptake than others. 10 mg • L−1 of BA and 20 mg • L−1 of kinetin had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d, but no effect on extension of vase life. In the treatments of sucrose and 8-HQS, fresh weight was high in 3% sucrose + 8-HQS and 5% sucrose + 8-HQS, and solution uptake in 1% sucrose + 8-HQS. Vase life was the longest with 11.8 or 11.2 days in 1% sucrose alone or combination of 8-HQS respectively. In the treatment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fresh weight was high in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of 2%, and vase life was improved to 15.7, 15.4 and 15.1 days in 1, 2% fructose and 1% glucose respectively than control of 6.3 days. Glucose and fructose were more effective than sucrose in extension of vase life. Our results clearly suggested that vase life of cut branch of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reatment with sugars.


본 연구는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절 지에 있어 COCl2, CuSO4, 8-HQS, BA, kinetin, TDZ,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 등의 여러 가지 성분으 로 조성된 보존용액 처리가 절지수명, 생체중, 용액흡수 량 그리고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 행되었다. 보존용액에 첨가된 COCl2, CuSO4, 8-HQS 그리고 BA에 있어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은 65mg • L−1 COCl2 단용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A 단용 또 는 혼용처리에서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 또한 증류수만을 사용한 대조구 와 함께 65mg • L−1 COCl2에서 7.1일로 높게 나타났다. 유 의차는 없었지만 엽록소 함량은 80mg • L−1 CuSO4 처리 에서 높았다. BA, kinetin, TDZ 그리고 sucrose에 있어 절지수명은 1% sucrose에서 13.5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 으며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도 다른 처리에 비해 높게 나 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10mg • L−1 BA, 20mg • L−1 kinetin 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절지수명 연장에는 효과가 없 었다. 처리 농도에 따른 sucrose와 8-HQS의 단용 및 혼용 처리에 있어 3% sucrose + 8-HQS와 5% sucrose + 8-HQS 에서 높은 생체중을 보였고 용액흡수량은 1% sucrose + 8- HQS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은 1% sucrose 단 용 및 8-HQS와의 혼용처리에서 각각 11.8일과 11.2일로 높게 나타났다.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에 있어 생체중은 2%의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에서 높 았다. 절지수명은 sucrose 보다 1, 2% fructose 그리고 1% glucose에서 각각 15.7, 15.4, 15.1일로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여러 종류의 당은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절지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 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glucose와 fructose는 절지수명 연 장에 sucrose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


    Daegu University

    서 언

    식물분류학상 도금양과(Myrtaceae)의 유칼립투스속 (Eucalyptus)에 속하는 유칼립투스는 호주가 원산으로 상 록교목에서 관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계 각지의 열대 및 온대 기후대에 걸쳐 약 500 여종이 분포되어 있다(Pacifici et al. 2007). 일반적으로 유 칼립투스는 주로 가로수, 정원수 그리고 목재로 이용되며 잎에서 추출한 정유는 의약용이나 향수로 쓰이고 있다. 전 세계에 수많은 종류가 분포되어 있으나 화훼용도로 이용 되는 것은 10여 종 이내로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E. cinerea, E. gunnii, E. parvifolia, E. perriniana 등이며(Pacifici et al. 2007) 국내의 경우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E. cinerea, E. gunnii 그리고 E. parvifolia 등 4종만이 주로 꽃꽂이 소재로 이용 되고 있다. 본 연구의 재료인 E. pulverulenta ‘Baby Blue’ 는 주로 꽃꽂이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종종 부케나 드라이플라워의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다(Ha 1998). 유칼 립투스는 절지류이나 이 식물의 특성상 꽃꽂이에서 주로 공간을 채우는 역할인 필러폴리지(filler foliage)로 사용 되어 절엽류로 취급하고 있다. 유칼립투스의 잎은 향기 가 있으며 둥근 형의 은녹색 잎을 지닌 줄기는 모양이 매 우 독특하고 쉽게 곡선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선의 형태 를 표현할 수 있는 율동적인 화훼장식에 많이 이용된다. 화 훼장식에 있어서 녹색 잎은 꽃의 화려한 색상을 부드럽게 하고 주위 환경과 쉽게 조화를 이루어 꽃을 보다 더 생 기 있고 돋보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Heo et al. 1996).

    꽃꽂이 소재로 이용되는 식물의 줄기 등은 잘려진 상 태로 이용되기 때문에 절지나 절엽에 있어 신선도 유지 는 화훼장식물의 감상이나 전시 기간 그리고 다양한 디 자인의 연출을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신 선도의 유지는 절지나 절엽의 수명을 가능한 한 오랫동 안 연장시키는 가에 달려 있다. 절화류의 경우는 수확 후 절화수명 및 품질에 관한 연구가 매우 광범위하게 많이 수행되었으나 절지류나 절엽류의 경우 절화류 만큼이나 화훼장식의 소재에 있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절지나 절엽은 잎의 탈리, 잎 의 황변화, 잎의 말림, 잎의 위조 그리고 줄기 굽음 등 의 현상에 의하여 수명이 종료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 들의 발생은 절지나 절엽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 소가 된다.

    대부분의 절지나 절엽류는 엽면적이 넓거나 줄기에 붙 어 있는 잎의 수가 많아 수확 후 절단면으로부터 공급 되는 수분 및 양분과 잎으로부터 공급되는 탄수화물 및 호르몬 공급 등이 원활하지 못하여 잎의 수명 및 품질 이 감소된다. 절엽의 수명은 용액 내의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도관 폐쇄, 수분흡수의 불균형, 양분의 소실, 에틸 렌 발생 그리고 절엽 재배조건의 불량 등으로 단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ren 1997). 절엽의 수명 및 품질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족한 수분 및 당 그리고 잎의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식물생장조절제의 공급을 외부 로부터 원활하게 해 줄 수 있는 보존용액 처리가 필요 하다(Lee et al. 2011).

    일반적으로 절지나 절엽의 수명은 절화보다 수확 후 특 별한 취급을 하지 않을 정도로 긴 편임에도 불구하고 몇 몇 절엽은 화학약품이 포함된 보존용액 처리로 수명을 연 장시킬 수 있다(Halevy 1995). 절엽은 종종 용액 내의 미생물 즉, 박테리아의 증식에 의한 도관 폐쇄로 인하여 수분 스트레스를 받는데(van Doorn et al. 1991) 이는 수분흡수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생체중의 감소를 야기 시 킨다(van Doorn 1997). 용액 내에 미생물의 증식이나 활 동을 억제시켜 수분흡수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존용액 내 에 금속 이온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나 유기살균제 등 이 이용된다(Halevy and Mayak 1974). 보존용액 내의 CuSO4는 용액 내의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수분흡수를 촉진시켜 Bouvardia longiflora의 절화수명을 연장시키고 (Vaslier and van Doorn 2003) 또한 절화수명은 CuSO4 의 처리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처리 시간이 길어질 수록 절화수명이 감소된다고 하였다(Ku et al. 2014). E. parvifolia에 있어 COCl2는 에틸렌 생합성을 억제시키 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COCl2의 역할은 에틸렌 생합성 억제보다는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Ferrante et al. 2002). 살균제로 주로 사용되는 8-HQS는 줄기 막힘 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용기 내의 용 액을 산성화시켜 절화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ousky 1972). 그러나 8-HQS는 고사리과 식물의 절엽수명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ujino and Reid 1983) Zantedeschia elliottiana에서는 절 엽의 수명을 심하게 감소시켰다(Janowska and Marek 2003). 보존용액에서 8-HQS와 sucrose의 혼용처리는 E. gunni 그리고 E. globulesE. cinerea의 절지수명에 효과 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rrest 1991; Michelle and Sedgley 1996). Cytokinin은 잎의 생장과 노화에 있어 중 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생장호르몬이다. 식물생장조절물질 이 식물의 생육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절지 및 절엽의 수명이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수확 후 절엽에 관한 연구에서 kinetin과 benzyladenine(BA) 등이 잎의 황화와 황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용되었다(Skutinic et al. 2001). 그 러나 노화를 지연시키고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효율은 식물의 종류, 처리 방법 그리고 용 액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낮은 농도의 BA 처리 는 Dracaena (Subhashini et al. 2011)와 Hosta (Skutinic et al. 2001)의 절엽수명을 증가시켰다. E. parvifolia의 절지 수명 연장에 BA는 큰 효과가 없으나 thidiazuron(TDZ)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errante et al. 2002). 보 존용액에 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성분 중의 하나는 당 이다. 당은 식물이 살아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에너 지원으로(Pacifici et al. 2007) 당으로 인한 삼투압에 의 해 절화의 수분 흡수를 촉진시키고 기공을 닫히게 함으 로서 수분 증산을 억제시켜 생체중을 증가시킨다고 알려 져 있다(Reid and Kofranek 1980). 보존용액으로 사용되 는 당은 수분 균형과 삼투압을 개선시켜 노화를 지연시 키는 것으로 나타나 수명이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나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Halevy and Mayak 1974).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칼립투스의 절지에 있어 여러 가 지 보존용액 처리에 따른 절지의 수명연장과 품질향상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의 재료는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로 2014년 6월 ~ 10월 충북 진천에 있는 월드플라워컴퍼 니 농장의 비닐하우스에서 토경재배되고 있는 3년생 묘 에서 당해 자란 가지를 절지하여 직접 배송 받아 사용 하였다.

    구입한 직후 E. pulverulenta ‘Baby Blue’ 절지를 생육 상태와 형태가 비슷한 것으로 선별한 다음 예리한 칼 (feather mess No.10, Japan)을 이용하여 55cm 길이로 균 일하게 수중에서 사선으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살균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보존용액의 조성은 65mg • L−1 COCl2, 80mg • L−1 CuSO4, 250mg • L−1 8- HQS 그리고 2mg • L−1 BA 등을 단용 또는 혼용으로 하 였다. Cytokinin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보존용액의 조 성은 BA(10, 20mg • L−1), kinetin(10, 20mg • L−1) 그리고 TDZ(10, 20mg • L−1) 등을 단용으로 하였으며 여러 가지 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보존용액의 조성은 sucrose(1, 2%), glucose(1, 2%) 그리고 fructose(1, 2%) 등을 단용 으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보존용액을 500mL의 플라스틱병에 300mL씩 넣 은 후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하여 병 입구 부분을 파라 필름으로 봉하였다. 절지 재료를 1대씩 각각의 보존용액 에 삽화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도 24 ± 2°C, 상대습 도 60 ~ 70%, 광도 11μmol • m−2 • s−1 PAR(16시간 광주 기, 형광조명) 등의 실험실 환경 조건을 유지하면서 생 체중, 수분흡수량, 엽록소 함량 그리고 절지수명 등을 조 사하였다. 모든 실험은 각 처리 당 7개의 절지로 하여 조사하였다. 가지 부러짐, 가지 상부 휘어짐, 잎의 안쪽 말림, 위조, 잎 변색 등이 나타나 관상가치가 없다고 판 단되는 시점을 절지수명의 종료로 정하였다. 생체중은 측 정당일의 생체중을 최초 생체중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 시하였으며, 용액흡수량은 전날의 용기와 용액을 합한 중 량에서 당일의 것을 뺀 후 자연 증발량을 뺀 값으로 하 였다. 엽록소 측정은 엽록소 측정계(Minolta, SPAD-502, Japan)를 이용하여 잎의 중앙 부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 과는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8.2, SAS Institute I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보존용액에 첨가된 COCl2, CuSO4, 8-HQS 그리고 BA 가 ‘Baby Blue’의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은 다음과 같다(Fig. 1). 생체중은 각각 조사일마다 65mg • L−1 COCl2 단용으로 처리한 구에서 가장 높은 경 향을 보였고 대조구도 다른 처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반면에 80mg • L−1 CuSO4 단용으로 처리한 구 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용액흡수량의 경우 COCl2 단 용으로 처리한 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CuSO4 단용으로 처리한 구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나 생체중의 증 가는 용액흡수량의 증가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 편 CuSO4, 8-HQS 그리고 BA는 대조구에 비해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 감소 지연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 었으며 오히려 증류수만을 이용한 대조구에서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의 감소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Cl2, CuSO4, 8-HQS가 BA와 혼용했을 때 단용보다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BA는 용액의 흡수 를 방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조구인 증류수 처리 그리 고 COCl2 단용으로 처리한 구에서 절지수명일이 각각 7.1 일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처리에 비해 절지수명이 1.4 일 ~ 3.7일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Fig. 5A).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CuSO4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나 처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E. parvifolia에 있어 COCl2는 에틸렌 생합성을 억 제시켜 절지수명이 연장된다고 하였다(Ferrante et al. 2002). COCl2의 절지수명 연장 효과는 어느 정도 본 연 구의 결과와 일치하였으나 에틸렌에 관한 실험을 하지 않 았기 때문에 에틸렌 생합성을 억제시키는 데서 기인된 것 인지 판단하기 어려웠다. 용액 내에 미생물의 증식이나 활 동을 억제시켜 수분흡수를 개선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 용되는 8-HQS는 줄기 막힘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억 제시키거나 용기 내의 용액을 산성화시켜 절엽수명을 연 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ousky 1972). 8-HQS는 고사리과 식물의 절엽수명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조사되었으며(Fujino and Reid 1983) Zantedeschia elliottiana에서는 절엽의 수명을 심하게 감소시켰다 (Janowska and Marek 2003). 항미생물 효과를 지니고 있 다고 알려진 구리 이온은 브바르디아의 연구에서 줄기 막 힘에 관여하는 peroxidase와 catechol oxidase 등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수분흡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aslier and van Doorn 2003). 그러나 본 연구에서 이들은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 그리고 절지수명 증가에 효 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Cytokinin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보존용액에 첨가된 BA, kinetin, TDZ 그리고 sucrose가 E. pulverulenta ‘Baby Blue’ 의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 다(Fig. 2). 생체중은 1% sucrose에서 실험이 종료될 때까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 sucrose는 여 러 가지 농도의 BA, kinetin, TDZ 보다 생체중 감소 지 연에 약간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다. 1% sucrose에서 실 험 초기 2일째 용액흡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그 이후 모 든 처리에서의 용액흡수량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은 1% sucrose에서 13.5일로 가장 높게 나타나 대조구 9.1일에 비해 4.4일 연장되었다(Table 2, Fig. 5B). 여러 가지 농도의 BA, kinetin, TDZ 등은 오히 려 절지수명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DZ에서 의 절지수명은 2.2일로 가장 짧았다. 엽록소 함량은 10mg • L−1 BA, 10mg • L−1 kinetin에서 높게 조사되었으며 TDZ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ytokinin은 잎의 생장과 노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생장호르몬 이다. Cytokinin의 일종인 BA를 처리했을 때 잎의 생장 이 촉진되고 노화가 지연되었다(Leopold and Kawase 1964). 낮은 농도의 BA 처리는 Dracaena(Subhashini et al. 2011)와 Hosta(Skutinic et al. 2001)의 절엽수명을 증 가시킨 반면에 고농도로 사용하거나 장시간 처리 할 경 우 오히려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Heide and Oydvin 1969; Staden 1973). BA 전처리는 E. parvifolia 의 절지수명 연장에 큰 효과가 없으나 TDZ의 전처리는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또 한 엽록소의 분해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Ferrante et al. 2002). 본 연구의 E. pulverulenta ‘Baby Blue’에 있어 cytokinin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위의 결과 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BA와 kinetin 에서 엽록소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하더라도 이는 절지 품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보존용액에 첨가된 sucrose와 8-HQS가 ‘Baby Blue’의 생 체중 및 용액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Fig. 3). 실험 6일째까지 3% sucrose + 250mg • L−1 8-HQS의 혼용 처리에서 높은 생체중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250mg • L−1 8- HQS 단용처리에서 가장 낮은 생체중을 보였다. 단용처리 시에 sucrose 농도가 높을수록 생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8-HQS와 혼용처리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 였다. 8-HQS의 단용 및 혼용처리는 생체중 증가에 효 과가 없었다. 한편 sucrose 및 8-HQS 처리에서 실험 종 료까지 계속 용액흡수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용액흡수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용처리의 절지수명은 sucrose 경우 1% sucrose 처리에서 11.8일로 가장 길었으며 혼용처리 시 절지수명은 1% sucrose + 250mg • L−1 HQS에서 11.2일로 길게 나타났다 (Table 3, Fig. 5C). Sucrose 단용 및 혼용처리에서 sucrose의 농도가 높을수록 절지수명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보 존용액에서 1%의 sucrose는 절지수명을 연장시켰으며 고농 도에서는 절지수명이 단축되어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는 1%의 sucrose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8- HQS 단용처리의 절지수명은 5.5일로 가장 짧았으며 sucrose와 혼용시 sucrose 단용처리에 비하여 절지수명이 연 장되지 않았다. 보존용액에서 8-HQS와 sucrose의 혼용 처 리는 E. globulesE. cinerea (Michelle and Sedgley 1996) 그리고 E. gunni (Forrest 1991)의 절지수명에 효과 적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상반 된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절지수명이 가장 낮 은 250mg • L−1 8-HQ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 와 1% sucrose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보존용액의 당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하여 보존용액에 첨가된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가 ‘Baby Blue’의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다 음과 같다(Fig. 4). Sucrose의 경우 실험 4일째까지 높은 생체중을 보이다가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glucose 와 fructose의 생체중은 실험 종료까지 이르는 동안 완만 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대조구는 가장 낮은 생체중을 보이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의 용 액흡수량은 실험 4일 째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실험 8일째까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은 1% glucose, 1% fructose 그리고 2% fructose에서 각각 15.1일, 15.7일, 15.4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 6.8일 에 비해 무려 약 8일이 연장되었다(Table 4, Fig. 5D). Glucose와 fructose는 sucrose에 비해 절지수명에 효과적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록소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존용액으로 사용되는 sucrose는 수분 균형과 삼투압을 개선시켜 노화 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절지의 수명이나 품질을 향 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나(Pacifici et al. 2007) 용액 내 의 미생물 증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적어도 한 종류의 살균제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 나 당과 살균제의 혼용에 의한 절지수명이나 품질향상 효 과는 Eucalyptus의 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살균제 역할로 이용된 COCl2, CuSO4, 8- HQS 등은 용액흡수 개선 및 절지수명 연장에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용액 내의 미생물 증식에 의 하여 도관이 폐쇄되어 수명 및 품질이 감소되는 염려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Baby Blue’의 줄기에 있어서 해 부학적 구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각 실험의 대조구 에 있어서 절지수명의 차이는 실험재료의 생육상태에 의 한 것으로 판단된다.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만 으로도 충분히 ‘Baby Blue’의 절지에 있어 수명 및 품질 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절지수명이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당은 수분균형 및 삼투 개선보다 호흡 기질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사 사

    이 논문은 2013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 한 논문임.

    Figure

    FRJ-24-65_F1.gif

    Effect of COCl2, CuSO4, 8-HQS, and BA in holding solution on fresh weight (A) and solution uptake (B)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Vertical bars represent standard deviation. DW: Distilled water, 65 COCl2: 65 mg • L−1 COCl2, 80 CuSO4: 80 mg • L−1 CuSO4, 250 HQS: 250 mg • L−1 8- HQS, 2 BA: 2mg • L−1 BA, 2 BA + 65 COCl2: 2mg • L−1 BA + 65mg • L−1 COCl2, 2 BA + 80 CuSO4: 2mg • L−1 BA + 80mg • L−1 CuSO4, 2 BA + 250 HQS: 2mg • L−1 BA + 250 mg • L−1 8-HQS.

    FRJ-24-65_F5.gif

    Effect of holding solutions on postharvest quality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A) a: distilled water, b: 65 mg • L−1 COCl2, c: 80 mg • L−1 CuSO4, d: 250 mg • L−1 8-HQS, e: 2 mg • L−1 BA, f: 2 mg • L−1 BA + 65 mg • L−1 COCl2, g: 2 mg • L−1 BA + 80 mg • L−1 CuSO4, h: 2 mg • L−1 BA + 250 mg • L−1 8-HQS, (B) a: distilled water, b: 10 mg • L−1 BA, c: 20 mg • L−1 BA, d: 10 mg • L−1 kinetin, e: 20 mg • L−1 kinetin, f: 10 mg • L−1 TDZ, g: 20 mg • L−1 TDZ, h: 1% sucrose, (C) a: distilled water, b: 1% sucrose, c: 3% sucrose, d: 5% sucrose, e: 250 mg • L−1 8-HQS, f: 1% sucrose + 250 mg • L−1 8-HQS, g: 3% sucrose + 250 mg • L−1 8-HQS, h: 5% sucrose + 250 mg • L−1 8-HQS, (D) a: distilled water, b: 1% sucrose, c: 2% sucrose, d: 1% glucose, e; 2% glucose, f: 1% fructose, g: 2% fructose.

    FRJ-24-65_F2.gif

    Effect of BA, kinetin, TDZ and sucrose in holding solution on fresh weight (A) and solution uptake (B)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Vertical bars represent standard deviation. DW: Distilled water, 10 BA: 10 mg • L−1 BA, 20 BA: 20 mg • L−1 BA, 10 Kinetin: 10 mg • L−1 Kinetin, 20 Kinetin: 20 mg • L−1 Kinetin, 10 TDZ: 10 mg • L−1 TDZ, 20 TDZ: 20 mg • L−1 TDZ.

    FRJ-24-65_F3.gif

    Effect of sucrose and 8-HQS in holding solution on fresh weight (A) and solution uptake (B)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Vertical bars represent standard deviation. DW: Distilled water, 250 HQS: 250 mg • L−1 8-HQS.

    FRJ-24-65_F4.gif

    Effect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in holding solution on fresh weight (A) and solution uptake (B)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Vertical bars represent standard deviation. DW: Distilled water.

    Table

    Effect of CoCl2, CuSO4, 8-HQS, and BA in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chlorophyll content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Effect of BA, kinetin, TDZ and sucrose in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chlorophyll content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Effect of sucrose and 8-HQS in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chlorophyll content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Effect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in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chlorophyll content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Reference

    1. Ferrante A , Mensuali-Sodi A , Serra G , Tognoni F (2002) Effects of ethylene and cytokinin on the vase life of cut Eucalyptus parvifolia Cambage branches , Plant Growth Regulation, Vol.38 ; pp.119-125
    2. Forrest M (1991) Post-harvest treatments of cut foliage , Acta Hort, Vol.298 ; pp.255-261
    3. Fujino D , Reid MS (1983) Factors affecting the vase life of fronds of maidenhair fern , Scientia Horticulturae, Vol.21 ; pp.181-188
    4. Ha SH (1998) KwangJin Press, ; pp.370-371
    5. Halevy AH (1995) The use of plant bioregulators in ornamental crops , Acta Hort, Vol.394 ; pp.37-43
    6. Halevy AH , Mayak S (1974) Transport and conditioning of cut flowers , Acta Hort, Vol.43 ; pp.291-306
    7. Heide OM , Oydvin J (1969) Effect of 6-benzylaminopurine on the keeping quality and respiration of glasshouse carnation , Hort Res, Vol.9 ; pp.26-36
    8. Heo BG , Lee SB , Han YH (1996) Basic theory on the wreath for congratulation and condolences , J Korean Flower Soc, Vol.5 ; pp.65-72
    9. Janowska B , Marek J (2003)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post-harvest leaf longevity of Zantedeschia elliottiana , J Fruit Ornamental Plant Res, Vol.11 ; pp.69-76
    10. Karen LBG (1997) Postharvest handling of fresh cut flowers and plant material ,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11. Ku BS , Lee KH , Cho MS (2014) Pretreatments effect on the vase life of cut Bouvardia longiflora , Flower Res J, Vol.22 ; pp.74-80
    12. Lee OP , Hwang SA , Choi MP , Kim YA , Han DH , Lee JS (2011) Effect of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stem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9 ; pp.217-223
    13. Leopold AC , Kawase M (1964) Benzyladenine effects on bean leaf growth and senescence , Amer J Bot, Vol.51 ; pp.294-298
    14. Marousky FJ (1972) Water relations, effects of floral preservatives on bud opening and keeping quality of cut flowers , HortScience, Vol.7 ; pp.114-116
    15. Michelle GW , Sedgley M (1996) Production and postharvest treatment of cut stem of Eucalyptus L. Her foliage , HortScience, Vol.31 ; pp.1007-1009
    16. Pacifici S , Ferrante A , Mensuali-Sodi A , Serra G (2007) Postharvest physiology and technology of cut Eucalyptus branches: a review , Agr Med, Vol.137 ; pp.124-131
    17. Reid MS , Kofranek AM (1980) Postharvest physiology of cut flowers , Chronica Hort, Vol.2 ; pp.25-27
    18. Skutinic E , Lukaszewska A , Serek M , Rabiza J (2001)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Zantedeschia aethiopica , Postharvest Biol Technol, Vol.21 ; pp.241-246
    19. Staden OL (1973) Physiology of cut flowers , Annual Report for 1972, Sprenger Inst, ; pp.54-56
    20. Subhashini RMB , Amarathunga NLK , Krishnarajah SA , Eeswara JP (2011) Effect of benzylaminopurine, gibberellic acid, silver nitrate and silver thiosulphate, on postharvest longevity of cut leaves of Dracaena , J Ceylon Science, Vol.40 ; pp.157-160
    21. van Doorn WG (1997) Water relations of cut flowers , Hort Rev, Vol.18 ; pp.1-85
    22. van Doorn WG , Zagory D , Reid MS (1991) Role of ethylene and bacteria in vascular blockage of cut fonds from the fern Adiantum raddianum , Sci Hort, Vol.46 ; pp.161-169
    23. Vaslier N , van Doorn WG (2003) Xylem occlusion in bouvardia flowers evidence for a role of peroxidase andcathechol oxidase , Postharvest Biol Technol, Vol.28 ; pp.231-237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