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3 No.2 pp.92-97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5.23.2.16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Leaf Color of Indoor Foliage Plants
광도가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 및 엽색에 미치는 영향

Kei Jung Kwon, Bong Ju Park*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362-763, Korea

권 계정, 박 봉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Corresponding author: Bong Ju Park Tel: +82-43-261-2528 bjpak@chungbuk.ac.kr
February 26, 2015 June 10, 2015 June 16,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leaf color of foliage plants that are commonly used for indoor greening. Four species of foliage plants (Chlorophytum comosum ‘Picturatum’, Dieffenbachia ‘Marrianne’, Epipremnum aureum, Spathiphyllum spp.) were grown under PPFD 15, 30, 60, and 120 μmol • m−2 • s−1 using fluorescent lamps for 120 days. As result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Dieffenbachia were found to be most greatl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The Dieffenbachi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biomass according to the light intensity. Among growth categories, plant height showed the greatest response to the light intensity, but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af width. Overall, light intensity was found more influential to shoots than to roots of the biomass except for the case of Chlorophytum comosum ‘Picturatum’ which showed the opposite results. Light intensity did not affect the value of SPAD significantly. Dieffenbachia yielded the lowest Fv/Fm value in 120 μmol • m−2 • s−1, which was considered as the stress response due to high light intensity.


본 연구는 광도가 실내녹화에 많이 사용되는 관엽식물 의 생육과 엽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 했다. 접란(Chlorophytum comosum ‘Picturatum’), 디펜바 키아(Dieffenbachia ‘Marrianne’),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의 4종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120일간 광도(PPFD) 15, 30, 60, 120μmol • m−2 • s−1에서 형광등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디펜바키 아는 광도에 따라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바이오매스 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4종 관엽식 물 중 광도가 생육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의 여러 항목 중 초장이 광도에 가장 잘 반응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가 크게 나지 는 않았으나 엽폭에도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광도는 전체적으로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의 바이오 매스에 더 많이 반영되었으나, 접란의 경우는 지상부보 다는 지하부의 생육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광도는 SPAD 값에는 영향을 크게 주지 않았다. 디펜바키아는 120μmol • m−2 • s−1에서 가장 낮은 Fv/Fm값 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높은 광량에 대해서 스트레스 반 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엽색의 밝기는 광도에 비례하여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8495042014

    서 언

    최근 도시화율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현대인들의 주 생 활공간이 실내로 옮겨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실내 활동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루의 80-90%의 시 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나(Statistics Korea 2009),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는 방법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있다. 1980년대부터 진행되어온 NASA의 연구에 의하면 따르면 실내에 식물을 배치하면 적정 실 내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고, 실내 오염물질을 효율적으 로 제거할 수 있다(Wolverton et al. 1989). 또한 실내 식물 도입은 현대인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며 스트 레스를 경감하고(Son et al. 1997), 친환경적인 공간 연 출로 실내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 유로 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식물을 도입하려는 노 력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내 공간에서의 녹 지 공간 조성은 기존의 건축 조명에만 의지하여 광에 취 약한 실정이다(Son 2013). 광량은 식물의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물의 종류마다 생육에 알맞은 적절한 광 도가 다르기 때문에 실내조경에서는 실내조건에 알맞은 식물을 선택하거나 생육에 적합한 실내조건이 필요하다 (Song et al. 2013). 현재 실내녹화에 주로 이용되고 있 는 식물들은 내음성이 강한 열대 및 아열대 원산의 관 엽식물류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Son 2013), 식 물의 생육 반응을 조사하여 적절한 광량 및 광원을 구 명하고자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조경 측면에서는 단조로운 단일 엽색에 변화를 주 기 위해 엽색과 무늬가 다양한 반입식물(variegated plant) 을 도입하여 미적 가치 상승에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요 구가 증가하고 있으나(Park et al. 2013), 이에 대한 연 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녹화에 많 이 이용하고 있는 식물 4종을 선정하여 광도가 실내식 물의 생육 및 엽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 였다.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실내녹화에 많이 사용되는 접란(Chlorophytum comosum ‘Picturatum’),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Marrianne’), 스 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spp.)의 초본식물 4종을 이용하였다. 이들 식물은 2014년 5월, 청주 근처 농원에서 일괄 구입 후 직경 10cm 포트 에 원예용 상토(Wonjo Mix, Nongkyung, Korea)로 분갈 이한 후 완전임의배치법 3반복으로 조성하였다. 관수는 식 물이 수분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정도로 주 1회 저면관 수하였으며, 시비는 별도로 실시하지 않았으며 실험은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120일간 수행하였다.

    광조건

    실험은 냉난방장치를 이용하여 온도를 25℃로 설정 한 실험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형광등(NB-T5 28W, CH Lighting, China)을 이용해 식물 정단부에서 광도계(Li- 1400, Li-Cor, USA)를 이용하여 광도(광합성유효광량자속 밀도, PPFD)를 15, 30, 60, 120μmol • m−2 • s−1의 4수준 으로 조절하였으며, 90% 차광막으로 외부광 유입을 차 단하였다. 광조사 시간은 명기 12h / 암기 12h로 자동 조절하였다.

    측정항목

    실험기간 동안 4주 간격으로 초장, 엽장, 엽폭, 엽록소 량, 엽록소형광, 엽색 등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측정 하였다. 초장은 식물의 지면에서 정단부까지의 길이를 측 정하였으며, 스킨답서스는 가장 긴 줄기 선단까지의 길 이를 측정하였다. 엽장과 엽폭은 정단부 아래 5cm 이내 의 가장 크고 신선한 잎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은 실험 종료 후 측정하였다. 엽면적은 엽 면적측정기(Li-3000A, Li-Cor, USA)를 이용하여 모든 잎 을 측정하여 합산했다. 건물중은 열풍순환식 건조기(HB- 502M, Hanbaek Science, Korea)를 이용하여 70℃의 온 도에서 7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엽록소량과 엽록소형광은 엽폭과 엽장을 측정 한 잎을 이용하여 엽록소계(SPAD-502Plus, Konica Minolta, Japan)와 엽록소형광측정기(PAM-2000, Walz,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엽색은 색차계(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잎 윗부분에서 엽맥을 피해서 Hunter 값 (L, a, b)을 측정하였다. 초장, 엽폭, 엽폭,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은 식물당 3반복으로 측정하였으며, 엽록소량, 엽록 소형광, 엽색은 식물당 9반복으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 9.3, Cary, NC, USA)를 이용하여 P < 0.05 수준에서 DMRT(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접란의 초장은 30μmol • m−2 • s−1 PPFD에서 가장 높았 으며, 120μmol • m−2 • s−1에서 가장 낮았다(Figs. 1, 2). 접란의 잎 크기(엽장, 엽폭 엽면적)는 광도에 따른 유의적 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디펜바키아의 초 장은 120μmol • m−2 • s−1에서 초기 2개월 동안 급격히 성장 한 이후 완만히 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냈다(Fig. 2). 디펜바 키아의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은 120μmol •m−2 • s−1에서 가 장 컸으며, 그 밖의 광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엽폭은 15μmol •m−2 • s−1보다는 30, 60μmol • m−2 • s−1 에서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킨답서스의 초장 증가율 은 광량에 따라 현저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장이 가 장 좋았던 60μmol • m−2 • s−1에서는 실험 종료 시 초기값 의 3.4배로 증가하였다. 광도에 따른 엽장, 엽폭의 차이 는 없었으나 엽면적은 초장의 증가에 따른 엽수의 증가 때문에 초장이 가장 길었던 60μmol • m−2 • s−1에서 가장 넓었으며, 15μmol • m−2 • s−1에서 가장 좁게 나타났다. 스 파티필럼은 광량에 따른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은 유 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광도는 4종의 관엽식물 중 디펜바키아의 생육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특히 초장이 광도에 가장 잘 반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 Fig. 2, Table 1).

    접란, 스킨답서스, 스파티필럼의 SPAD 값은 광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디펜바키아는 광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Table 3). 30μmol • m−2 • s−1에 서 가장 높았으며, 60μmol • m−2 • s−1에서 가장 낮았다. 반입 성향을 나타내는 다른 식물에 비해서 스파티필럼의 SPAD 값이 전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반입식물의 엽 록소 함량이 일반식물에 비해 적으며, 엽록소 함량은 반입 면적비가 높을수록 낮다는 Park et al.(2013)의 연구 결 과와도 일치한다. 디펜바키아는 반입식물 중 광도에 따 른 SPAD값의 차이가 15.8로 가장 높아 광도에 따른 반 입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광 도가 무늬 발현에 크게 미친다는 Wang and Boogher (198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모든 식물에서 SPAD 값 이 60μmol • m−2 • s−1보다 30μmol • m−2 • s−1에서 높게 나 타났는데, 이는 낮은 광도에서는 광합성의 효율을 높이 기 위해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Lee et al. 2013).

    생체중 및 건물중은 모든 식물에서 광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접란은 지상부 바이오매스에서 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하부 바이오매스는 광도 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Table 2). 디펜바키아 는 120μmol • m−2 • s−1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고(Table 1), 이는 바이오매스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특히 지상부가 지 하부보다 광도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 타났다. 스킨답서스 또한 생육에 나타난 유의적인 차이 가 바이오매스에 영향을 미치며, 지상부와 지하부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스파티필럼은 초장, 엽장, 총엽 면적 등의 생육에서는 광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 었으나 바이오매스에서는 차이가 나타나 광량이 높을수 록 엽육 상태나 지하부의 발육상태가 좋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지상부, 지하부 모두 건물중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Table 2). 따라서 바이오매스는 지상부 의 생육이 잘 반영되었으며, 접란은 광도가 지하부보다 는 지하부의 생육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식물체의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광화학반응 효율(Fv/Fm)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접란은 광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Table 3). 디펜바키아는 120μmol • m−2 • s−1에 서 Fv/Fm은 0.661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생육 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Dieffenbachia longispatha 를 이용한 내음성 실험에서 광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율과 지상부의 바이오매스는 높게 나타난 반면에 Fv/Fm 값은 감소하였다는 Skillman et al.(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하 였다. 스킨답서스도 60과 120μmol • m−2 • s−1에서 생육은 높았으나 Fv/Fm값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Hunter 값을 측정하여 밝기를 나타 내는 L값과 붉은색과 노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a, b로 표 시하였다(Lee and Lee 1992). L값은 반입 특성으로 디펜 바키아, 접란, 스킨답서스, 스파티필럼 순으로 높았으며, 광 도가 높을수록 L값이 높아 엽색이 밝은 것을 나타났다 (Table 3). Kalmia latifolia 품종의 차광 정도에 의한 엽 색 연구에서도 광도가 높을수록 L값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Brand 1997). 본 실험에도 120μmol • m−2 • s−1에서 가장 높았으며, 15μmol • m−2 • s−1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 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SPAD값이 59.95로 가장 높 았던 스파티필럼이 L값은 28.8로 가장 낮게 나타나, 엽 록소 함량이 많아지면 엽색이 짙어지는 경향이 있어 엽 록소함량을 엽색의 변화로 판단 할 수 있다(Simpson and Lee 1975). 접란은 a, b값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a값은 디펜바키아는 광도가 낮을수록 0에 가까웠고, 스킨답서스와 스파티필럼은 0에서 멀어지는 경 향을 보였다. b값은 디펜바키아는 광도가 낮을수록, 스킨 답서스와 스파티필럼은 광도가 높을수록 수치가 높아지 는 경향을 보였다(Table 3).

    Figure

    FRJ-23-92_F1.gif

    Four species of foliage plants grown under 15, 30, 60, and 120 μmol • m−2 • s−1 PPFD for 120 days.

    FRJ-23-92_F2.gif

    Plant heights of four species of foliage plants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for 120 days. Vertical bar means standard error (n = 3).

    Table

    Growth responses of four foliage plant species t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z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Biomass of four foliage plant species as influenced by light intensity.

    z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SPAD, Fv/Fm and Hunter values of four foliage plant species influenced by light intensity

    z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yThe value of lightness or darkness of color, 0 (black) ~ 100 (white
    xThe value of redness to greeness, –80 (green) ~ 80 (red
    wThe value of yellowness to blueness –80 (blue) ~ 80 (yellow).
    NS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Non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Reference

    1. Brand MH (1997) Shade influences plant growth, leaf color, and chlorophyll content of Kalmia latifolia L. cultivars , HortScience, Vol.32 ; pp.206-208
    2. Lee KC , Wang MH , Song JM (2013) Physiological responses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endangered plants to changes in light environment , Protected Hort Plant Factory, Vol.22 ; pp.154-161
    3. Lee HD , Lee CH (1992)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d pepper by color measurement , Korean J Dietary Culture, Vol.7 ; pp.105-112
    4. Park IS , Shin YG , Oh W , Kim KW (2013) Comparisons i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foliages with variegated leave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1 ; pp.447-456
    5. Simpson DJ , Lee TH (1975) Plastoglobules of leaf chloroplasts of two cultivars of Capsicum annuum , Cytobios, Vol.15 ; pp.139-147
    6. Skillman JB , Garcia M , Virgo A , Winter K (2005) Growth irradiance effects on photosynthesis and growth in two cooccurring shade-tolerant neotropical perennials of contrasting photosynthetic pathways , Am J Bot, Vol.92 ; pp.1811-1819
    7. Son HY (2013)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indoor gardening plant Ardisia pusilla under different supplemental lighting regimes. MS Thesis, Univ of Seoul,
    8. Son KC , Park SK , Boo HO , Bea GY , Beak KY , Lee SH , Heo BG (1997) Horticultural therapy , Seowon press , ; pp.35-95
    9. Song EY , Kim SC , Kim CH , Lim CK , Moon KH , Son IC , Moon YE , Chun SJ (2013)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and Piper kadzura Ohwi , Protected Hort Plant Factory, Vol.22 ; pp.131-137
    10. Statistics Korea (2009) Time use research.http://www.kostat.go.kr/ survey/lifestyle/index.action,
    11. Wang YT , Boogher CA (1987) Effect of stock plant shading, development stage and cytokinin on growth and lateral branching of Syngonium podophyllum ‘White Butterfly’ , Scientia Horticulturae, Vol.33 ; pp.137-145
    12. Wolverton BC , Johnson A , Bounds K (1989)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 NASA/ALCA final report, Plants for clean air council,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