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0 No.3 pp.142-147
DOI :

Effect of Different Bulb Size and Culture Altitude for Bulb Enlargement of Lilium Oriental Hybrid
오리엔탈 나리의 종구크기 및 양구지역이 구근비대에 미치는 영향

Jae-Young Ko*, Kang-Joon Choi, Dae-Ki Hong, Hee-Sun Noh
1Horticulture Research Division, Gangwon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고재영*, 최강준, 홍대기, 노희선
강원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Received 26 July 2012; Revised 31 August 2012; Accepted 10 September 2012.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 of different bulb size and two culture areas inGangwondo for bulb enlargement, and to predict bulb production from tissue cultured bulbs of Lilium Orientalhybrid ‘Siberia’. Bulbs yielded from different bulb sizes in high land (Inje, 500 m above sea level)were more effective in bulb size, bulb weight, and the number of daughter bulb as compared with low land(Gangneung, 20 m above sea level). In highland, bulb circumference and bulb weight increased from10.8 cm to 17.9 cm and from 19.5 g to 85.5 g,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the size of planted bulb from4.0 cm to 10 cm.

오리엔탈나리 ‘Siberia’ 품종 조직배양구를 이용하여 생산된 소구 및 중구를 강원지역 고랭지(인제)와 평난지(강릉)의 무가온하우스에 정식하였을 때 정식한 구근 크기와 재배지역에 따라 구근비대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나리 종구 생산의 예측가능한 구근생산모델을 제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제지역(해발 500 m)에서 재배된 것이 평난지 보다 종구 생존율, 구주가 크고, 구중이 무겁고, 자구수가 많아 효과적이었다. 인제지역에서 구근 크기별로 정식한 후 180일간 재배하여 수확한 구근의 비대 결과, 구주(구근둘레) 4.0-5.9 cm 크기의 구근을 정식하였을 때 수확한 구근 크기는 10.8-11.3cm, 구중은 19.5-23.4 g, 구주 6.0-8.9 cm 크기의 구근 정식 시 수확 한 것은 12.5-13.9 cm, 구중은 29.2-43.5 g, 9.0-10.9 cm 크기의 구근 정식 시 수확한 것은 16.0-17.9 cm, 구중 58.9-85.5 g의 구근을 생산하였다.

8. F12-22_20(3)142-147.pdf769.3KB

서 언

 오리엔탈 나리의 종구 증식은 조직배양, 자구 및 인편을 이용하며, 개화구까지 양성기간은 보통 2-3년 정도 소요된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절화용 나리 구근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 재배농가에서의 본격적인 구근생산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수입되어 사용하고 있는 오리엔탈 나리 구근은 수입국인 네덜란드에서 보급 종구를 양구하였기 때문에 바이러스 이병율이 상당히 높은 상태로서 국내에서 이들 구근을 이용하여 구근 생산 시 바이러스 이병율이 증가된다(Kim et al., 1998c; Kim et al., 2000; Park et al., 2003). 따라서 국내에서의 구근양성을 위해서는 바이러스가 없는 무병 종구를 이용해야 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나리를 이용하여 무병 종구의 생산을 위해서는 화학약제 및 열처리를 통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이나 경정배양을 이용하여 기본 종구를 생산한다(Kim et al., 1996; Seo et al., 1998). 무병 종구로 확인된 후에 인편 및 자구 계대배양과 저반부배양(Han et al., 1999) 등을 통해 기내에서 대량 생산된다. 기내에서 생산된 조직배양구는 순화를 거쳐 소구나 중구까지 종구 비대가 필요하며, 개화구까지 약 3년 정도 소요된다. 이렇게 생산된 개화구는 구주(구근둘레) 크기가 약 16-18 cm 이상으로 곧바로 절화생산용으로 이용한다면 오히려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농가에서의 구근 양구는 반드시 조직배양구로부터 양성된 개화구를 이용하여 인편번식을 하고, 여기에서 비대된 소구 및 중구를 이용하여 2-3년 간 재배된 후 개화구를 생산한다. 이 후 생산된 개화구를 이용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조건에서 2차 이상 인편번식을 거쳐야만이 우량한 나리 종구의 대량증식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오리엔탈 나리는 조직배양구에서 개화구까지 종구 생산 기간이 길어 국내 농가에서 시도는 하였지만 정착되진 못하였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종구 생산 술이 미흡하고, 종구 생산, 수확 후 관리 및 저장 등의 기술체계가 확립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병종구 생산기간 단축기술 개발과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여 농가에서 종구 생산을 할 수 있도록 기술 보급이 중요하다.

 구근 생산은 고랭지가 평난지에 비해 구근비대에 유리하다는 보고(Kim et al., 1998a)도 있으며, 외국의 경우도 기후에 따라 네덜란드 외에도 프랑스, 뉴질랜드 및 칠레에서의 생산이 증가하는데, 이는 보다 나은 일사량, 기후 환경 또는 계절적 차이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Schenk and Rhee, 2007)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구근 정식 시기 및 환경조건에 따라 비대양상이다를 수 있다. 오리엔탈나리 구근의 정식 시 종구 크기에 따라 수확 시에 비대 된 구근 크기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면 계획적인 구근 생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어느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이 구근비대가 양호한지를 파악하는 것은 안정적인 구근생산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오리엔탈나리 무병 조직배양구와 소구 및 중구를 구근 크기 별로 정식하여 재배한 후 수확시 구근비대를 예측하고, 강원지역의 고랭지(인제)와 평난지(강릉)에서의 지역별 구근 비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재료는 오리엔탈나리 ‘Siberia’ 품종의 조직배양구(구주 3.38-3.5 cm, 구중 1.34-1.37 g, 구고 1.4 cm)를 2007년 4월 하순에 정식한 후, 2007년 10월 하순에 수확하여 종구의 크기에 따라 소구 및 중구를 사용하였다. 종구 크기를 구주(구근둘레) 4.0-4.9, 5.0-5.9, 6.0-6.9, 7.0-7.9, 8.0-8.9, 9.0-9.9, 10.0-10.9 cm로 나누어 2008년 4월 20일에 정식하였다(Fig. 1).정식 상자는 넓이 0.20 m2 (0.56 m × 0.36 m), 높이 20 cm인 나리 구근 수입 상자를 사용하였다. 상토는코코피트 단용으로 하고, 상자당 정시에 사용한 상토의 부피는 약 35 L(56 cm × 36.5 cm × 17 cm)였다. 나리종구의 정식을 위해 상자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코코피트를 바닥부터 10-12 cm 가량 부은 후, 종구를 골고루 정식한 후 상토를 종구크기에 따라 5-7 cm 복토하였다. 구근 정식 종구수는 구주크기에 따라 달리하여 4.0-4.9 cm은 40구, 5.0-5.9 cm은 36구, 6.0-6.9 cm은 32구, 7.0-7.9 cm은 28구, 8.0-8.9 cm은 24구, 9.0-9.9 cm은 21구, 10.0-10.9 cm은 18구씩 정식하였다. 비료는 오스모코트(15N + 11P2O5 +13K2O+ 2MgO+ TE, Scotts, USA)를 상자 당 52.5 g(1.5 kg ·m-3 )을 정식전 상토와 혼합하여 시비하였으며, 관수는 1주일에 1-2회 실시하였다(Ko et al., 2010).

Fig. 1. Planting material for bulb production by bulb size (cm)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고랭지와 평난지 간 구근비대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정식하였다. 고랭지는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귀둔리(해발 500 m) 농가 비닐하우스에, 평난지는 강릉 사천면 강원도농업기술원 특화작목연구소(해발 20 m) 비닐하우스에 각각 정식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실시되었다. 생육조사는 신초 출현시에 출현율, 초장 및 엽수를 측정하였고, 구근은 2008년 10월 20일에 인제와 강릉지역 2곳의 구근을 모두 수확하여 구주(구근둘레), 구고, 구중 및 자구수등을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program(version 8.0; SAS Institute, Gary, NC, USA)의 ANOVA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군 평균값 간의 유의수준 P ≤ 0.05, 0.01과 0.001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오리엔탈나리 재배 환경에 따른 구근비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랭지인 인제지역과 평난지인 강릉지역 2지역의 양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두 지역의 시설하우스 내부 온도 비교를 한 결과 인제지역의 평균 온도는 강릉지역 보다 2.6οC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2). 지상부 출현율은 모든 처리에서 95-100%로 큰 차이가 없었다. 초장은 정식 구근 크기별로 인제지역에서 재배된 것이 강릉지역 보다 3.0-12.6 cm 더 컸다. 정식구근의 크기가 작을수록 초장이 작아 인제지역 재배의 경우 4.0-4.9 cm 크기의 정식구근은 26.5 cm 였으며, 구근이 클수록 5.3-16.2 cm씩 늘어나서 10.0-10.9 cm 크기의 정식구근의 경우 62.6 cm였다. 그러나, 엽수는 인제지역에서 재배된 것이 강릉지역에서 재배된 것에 비해 구근 크기별로 1.8-2.3개 정도 더 적은 결과를 보였다. 정식구근의 크기가 작을수록 엽수가 적어 인제지역 재배의 경우 4.0-4.9 cm 크기의 정식구근은 10.6개였으며, 구근이 클수록 0.8-3.2개씩 늘어나서 10.0-10.9 cm 크기의 정식구근의 경우 21.1개였다(Table 1).

Table 1. Effect of culture area and planted bulb size on above-ground part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Fig. 2. Changes in average temperature during cultivation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in Gangneung and Inje.

 종구 생존율은 인제지역에서 재배한 것이 강릉지역 재배보다 그리고 종구 크기가 클수록 더 높았으며 구근  크기에 따라 1.2-3.7% 더 높았다. 정식 구근 크기가 작을수록 생존율은 떨어져 4.0-4.9 cm 크기의 정식구근은 강릉지역 86.3%, 인제지역 87.5%로 비교적 낮았다.

 그에 비해, 구주 9 cm 이상 정식구에서 생존율은 강릉지역에서 92.1-94.4% 보다 인제지역에서 96.8-98.1%로 더 높게 나타났다(Table 2). 구주의 경우에도 인제지역이 강릉지역에 비해 대부분 정식 구근크기에서 0.7-1.6 cm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지역에서 정식 구근 크기별로 구주 4.0-4.9 cm 크기의 정식구근에서 수확한 것은 10.8 cm, 6.0-6.9 cm 크기의 정식구근에서의 수확 한 것은 12.5 cm로 두 처리 모두 약 2.4배 증가하였다. 구주 8.0-8.9 cm 크기의 정식구근에서의 수확 한 것은 13.9 cm로 약 1.6배 증가하였고, 10.0-10.9 cm 크기의 정식구근에서의 구주는 17.9 cm로 약 1.7배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Table 2). 즉, 정식한 구근크기가 작을수록 구근 비대율이 높게 나타났고, 구근 크기가 클수록 구근 비대율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나리 구근 생산 시 재배지의 환경조건과 정식 시 구근 크기에 따라 생산되는 구근의 평균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어 계획적인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중 역시 인제지역 정식구가 강릉지역에 비해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더 무거웠다. 구주 4-5 cm의 소구에서는 인제지역 정식구가 강릉지역에 비해 1.8-4.3 g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8-9 cm에서는 14.4- 197 g으로 차이가 커졌다. 구주 10 cm 정식구의 구중은 강릉지역에서 56.6 g인 반면, 인제지역에서 85.5 g으로 28.9 g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구수는 인제지역정식구에서는 1.1-2.7개로 강릉지역의 0.6-1.5개에 비해 약 0.4-1.7개 정도 더 많았다. 자구중 역시 인제지역 식재구가 강릉지역에 비하여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더 무거웠다(Table 2). 이러한 결과는 오리엔탈나리 ‘CasaBlanca’, ‘Acapulco’, ‘Marco Polo’의 경우 구근 생산성은 산간지 >해안지 >평야지 순이었다는 보고(Kim et al., 1998a)와 ‘Casa Blanca’, ‘Le Reve’, ‘Marcoolo’의 경우 평난지 보다 표고 300 m 재배에서 양호하였다는 보고(Woo et al., 2002)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4월 하순 정식하여 10월 하순에 수확하는 재배작형으로 구근을 생산할 경우 인제지역에서재배하는 것이 강릉지역 재배에 비해 구근 생존율은 96.8-98.1%로 높고, 구주는 7 cm 이하소구를 정식하였을 경우 약 2.4배 증가한 반면, 8.0-10.9 cm 크기의 구근을 정식하였을 경우에는 약 1.6-1.7배 증가하였으며, 구중은 정식 구근이 무거울수록 구근비대가 급격히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구수는 정식구근이 8.0-9.9 cm의 경우 가장 많아 2.6-2.7개였으며, 자구중도 8.4-8.6 g으로 무거워 구근비대에 효과적이며 2차증식에 유리한 조건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2. Effect of culture area and planted bulb size on the quality of harvested bulbs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오리엔탈 나리 ‘Siberia’ 조직배양구를 재식밀도 400구/m2 재식구에서 당년에 수확된 구근의 생존율은 79.3%였으며, 구근 크기 분포는 구주 6-8 cm 범위가 53.8%이었고, 구주 8 cm 이상은 14.8%로, 구주 6 cm 이상은 61.6%를 차지하였다(Ko et al., 2010). 이렇게 생산된 종구를 인제지역에서 구근 크기별로 재배하여 수확한 구근의 비대 결과, 구주 4.0-5.9 cm 크기의 구근을 식재하였을 때 수확한 구근 크기는 10.8-11.3 cm, 구주 6.0-8.9 cm의 구근 식재시는 12.5-13.9 cm, 9.0-10.9 cm의 구근 식재시는 16.0-17.9 cm 크기의 구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2). 수확된 구근의 생존율은 88.7-98.6%를 나타내었으며, 수확된 구근 크기 분포는 10/12 cm는 약 22.1%, 14/16 cm는 약 39.3%, 16 cm 이상은 약 11.6%를 나타내었다(Table 2). 즉 인편 모구로서 가능한 구주 14 cm 이상은 초기 식재된 조직배양구의 약 51%를 차지하였다. 이후 10/12 cm의 중구 크기는 98.6%의 생존율을 나타내고, 21.8%의 18 cm 이상의 대구가 생산되었다. 실제 농가에서 종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구는 1년차 조직배양구 생산단계에서 식재된 종구의 40% 정도가 추가로 생산되고, 2년차에서 구근 크기에 따라 110-270%의 자구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매년 종구를 증식할 때마다 발생하는 자구 관리를 잘 한 다면 초기 조직배양구를 식재한 수량에 비해 매년 1.4-2.7배 이상 종구 증식이 가능하며, 또한 2-3년차에서 생산된 인편모구를 통해 인편증식을 한다면 10배 이상의 증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초기 무병 조직배양구에서 출발하여 개화구까지 증식속도가 비교적 오랜 기간이 소요되더라도 이러한 과정을 몇 년간 지속한다면 종구 자급화를 위한 증식은 충분히 진전 될 것이다. 그렇지만 백만개에서부터 천만개 단위의 종구를 증식하고 수확 후 관리 및 저장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재배면적, 수확 후 종구 처리 및 저장시설과 그에 알맞은 기계등 일련의 종구생산 체계를 갖추는 일이 선행되어야 종구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고품질의 국내산 종구를대량생산하여 자급화 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

1.Han, B.H., B.W. Yae, D.H. Goo, and J.Y. Ko. 1999.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light on th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of bulblets with swollen basal plate from in vitro culture of bulb scal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J. Kor. Hort. Sci. 40:463-466.
2.Kim, C.S., J.M. Kim, H.J. Kim, H.G. Kim, J. Ryu, J.S. La, and S.T. Lee. 1998a. Effect of cultivated areas on the bulb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 Kor. J. Hort. Sci. Technol(Supple.). 16:451.
3.Kim, H.J. C.S. Kim, H.G. Kim, J.S. La, J.M. Kim, Y.J. Kim. 1998b. Effect of planting-depth on growth and bulb development in Lilium spp. Kor. J. Hort. Sci. Technol(Supple.). 16:451.
4.Kim, J.Y. S.T. Choi, M.S. Roh, T.S Ko. 1996. Production and detection of virus-free lily plants by shoot tip culture and virazole treatment of bulbils. J. Kor. Hort. Sci. 37:64-69.
5.Kim, J.Y., Y.H. Han, H.S. Soh, S.J. Lee, J.S. Kim, and Y.J. Ra. 1998c. Occurrence of lily viruses and damages of viral diseases in oriental lilies. RDA. J. Crop Protec. 40:58-65.
6.Kim, S.J. S.Y. Ryu, Y.I. Hanm, and K.Y. Shin. 2000. Aspect of virus occurrent in lily plant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successive subcropping. Kor. J. Hort. Sci.Technol. 18:741.
7.Ko, J.Y., K.J. Choi, D.K. Hong and H.K. Rhee. 2010. Proper planting density and depth for acclimation of tissue-cultured bulblets in Lilium oriental hybrids. Kor. J.Hort. Sci. Technol. 28:363-369.
8.Park, K.I., J.D. Choi, I.S. Park, S.J. Eum, and K.W. Kim. 2003. Virus-infected status in imported bulbs of Lilium oriental hybrids. Kor. J. Hort. Sci. Technol. 21:57-61.
9.Schenk P.C. and H.K. Rhee. 2007. The globalization of the lily bulb production and breeding in the Netherlands. Flower Res. J. 15:287-297.
10.Seo, S.Y., H.C. Lim, J. Ryu, J.S. Na. 1998. Effect of chemo- and thermotherapy on LSV inactivation in Lilium oriental hybrid. Kor. J. Hort. Sci. Technol. (Supple.). 16:464.
11.Woo, J.H., H.H. Nam, K.B. Choi, and K.W. Kim. 2002. Effect of attitude on bulb enlargement and virus reinfection in Lilium oriental hybrid. Kor. J. Hort. Sci. Technol. 20(suppl.):141.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